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내 맘대로 샐러드와 숙주이야기

| 조회수 : 5,273 | 추천수 : 104
작성일 : 2010-08-09 13:12:27
#1 내 맘대로 샐러드 ‘아쉬움’



저녁 설거지 하며 ‘아침엔 샐러드 해야지’ 맘먹었었다.
잠자리 들기 전 ‘아침에 뭐 하려고 했었지?’ 한참을 다시 생각했었다.
5시 일어나 밥물 앉혀 올려놓고 ‘멍’ 때렸다. 1분, 5분 아니 10분이던가!

냉장고 문 열고 고구마줄기 삶아 놓은 것 보며 그렇게 멍하니 있었다.
분명 저걸 가지고 뭘 하려고 했는데 도통 생각이 안 났다.
‘찌개는 아니고 무침이었나? 뭐였지. 괜찮은 아이디어였는데…….’
이러다 냉장고 문 열렸다는 ‘삑삑’거리는 소리에 문 닿고 김치냉장고 야채 칸 열어
아무 생각 없이 주섬주섬 손에 잡히는 대로 식재료 꺼냈다.

‘표고버섯, 새송이, 느타리, 풋고추, 파…….’ 생각났다.
일요일 장 보며 발사믹 식초를 샀다. 그 발사믹 때문에 버섯샐러드를 해야지 했었는데,
고구마줄기 넣고 발사믹 식초를 뿌린 샐러드를 생각했었는데 정신머리하곤…….

다시 냉장고 문 열어 다듬어 살짝 데쳐 놓은 고구마줄기 한 움큼 꺼냈다.
후라이팬에 올리브유 두르고 다진마늘에 소금과 간장으로 간해 센불에 살짝 볶았다.
마늘 향이 날 쯤 불 끄고 느타리 버섯 반 움큼 쯤 넣어 여열에 함께 볶아냈다.

표고와 새송이 버섯은 적당한 크기로 잘라 끓는 물에 데쳐 꼭 짰다.
소금과 깨로 조물조물 무칠 생각이었지만 고구마줄기와 느타리 볶음 간이 좀 센 듯해 버섯은 그냥 올렸다.

마지막으로 어제 밤 발사믹 식초에 재 둔 연근 몇 조각 꺼냈다.
얇게 썰어 소금물에 담갔다가 끓는 물에 넣었다 빼 발사믹 식초 자작하게 부어 잰 연근피클이다.
아삭하니 씹는 맛이 괜찮다. 물론 발사믹 향은 말할 것 없고.

고구마줄기와 느타리버섯 볶음에 각종 버섯 올리고 연근피클로 마무리 하고
발사믹 식초 좀 뿌린 내 맘대로 샐러드 완성이다.
사진 찍고 보니 고추든 과채소든 붉은 색이 좀 들어갔으면 이뻤겠다는 아쉬움이 든다.
그래서 오늘 아침 내 맘대로 샐러드의 이름은 ‘아쉬움’이다. ‘멍 끝의 아쉬움’이라고 할까?





#2 일요일 아침 -- 그리움, 속상해진 이야기

여름휴가 마지막 아침은 잔인했다.
한 밤중인 2시 경부터 울기 시작한 매미 소리와 열어 놓은 창으로 들려오는 차 소리는
마치 길바닥에 누워 있는 것처럼 느껴진 밤이었다.
해 뜨자 매미는 더 극성스럽게 울어대고 따갑게 들어오는 햇살은 더 이상의 잠을 허락하지 않았다.
그렇게 달콤한 휴일의 아침잠마저 박탈당한 잔인한 휴가 마지막 아침은
덥고 모자란 잠 탓에 살짝 짜증으로 시작되었다.

말복이란다. 아무리 불 쓰기 싫어도 삼계탕은 아니라도 뭐 뜨거운 찌개라도 끓여야겠다.
김장김치 이파리 쪽으로 잘라 넣고 다시마 한 조각 띄운 냄비를 불에 올렸다.
숙주 한 봉지 씻어 한주먹은 찌개에 넣고 나머지는 끓는 물에 데쳐 나물로 무쳤다.




‘숙주’ 참 서러운 이름이다. 녹두에서 나왔으나 녹두 나물로 불리지 않으니
‘아비를 아비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 신세다.
게다가 녹두의 본래 성질과 아무 상관없이 변절자를 조롱하여 붙여진 이름이니 더 서러운 이름이다.

언젠가 베트남 요리에 숙주가 많이 들어가는 걸 보고
‘왜 덥고 습한 곳에서 잘 상하는 숙주를 먹을까?’ 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녹두는 해독 작용이 탁월한 음식이라 한다.

나는 녹두하면 녹두전 보다 죽이 먼저 생각난다.
미음처럼 곱게 간 녹두죽, 어릴 적 몇 날씩 이유 없이 앓고 나면 어머닌 꼭 녹두죽을 떠 먹여주셨다.
녹두의 해독성 때문에 어머닌 녹두죽을 해주셨는지도 모르겠다.
중환자실을 정기적으로 드나들던 작은아버님 병문안을 갈 때도 꼭 녹두죽을 쑤어가셨다.
지금처럼 깐 녹두를 따로 팔지 않던 시절일 텐데,
녹두 불려 껍질 까고 믹서도 없던 시절 갈고 미음으로 내기까지 참 고단했을 음식이다.
여름이면 불 앞에서 곱게 퍼지도록 젓는 건 또 좀 고단한 일이었을까 싶다.

녹두하면 H씨 K 가졌을 때 생각이 난다.
산후까지 입덧을 한 H씨 하도 못 먹기에 아프고 기운 없을 때 어머니 해주던 녹두죽 생각이 났다.
어머니께 전화 해 ‘녹두죽 어떻게 하는 거냐?’ 물었더니
“그건 왜” 하셨고 ‘아무것도 못 먹는 것 같아 그거라도 해주려고’ 대답했다가
욕을 바가지로 먹고 “혼자만 입덧 하냐! 유난은, 안 죽는다.”하며 끊어버리시더라.
참 대단한 ‘시’자 노릇하신다 생각하고 외할머니께 전화해 물었더니
“왜 얼마나 심해서? 암 것도 못 먹냐?” 하시며
“쌀가게서 깐 녹두 달라고 해라” 말씀하셔서 녹두 껍질을 깐다는 것도 배웠고
“푹푹 끓이다 쇠숟가락으로 퍼지도록 저여야 한다.” 말씀하셔서 ‘죽이 퍼진다.’는 게 뭔지 알았다.

아무튼 그날 밤 녹두죽을 할머니 말씀대로 쑤긴 쑤었으나
맛이 없어서인지 몸이 안 받아서인지 H씨 못 먹었던 걸로 기억한다.
다음날 어머니 회사로 전화해. “할머니한테 전화했다며…….”하시며
“녹두죽 쒀 놨으니까 퇴근 할 때 가져가라. 이구 썩을 놈!” 하셨다. 어머니 주신 죽은 어찌했는지 기억에 없다.

아버지 돌아가셨던 해 추석 때였다. 한쪽에선 음식하고 나는 설거지를 했던가?
아무튼 “어머 어떻게 해” 하는 형수 목소리가 들렸다.
바라보니 숙주나물 무치던 형수, 참기름 넣는다는 게 그만 들이 붓고 말았던 거다.
“어머니 어떡하죠?” 하는 형수. “얼마나 넣었기에 저런 다냐. 마늘 좀 더 넣어라.” 하시고
곧이어 형수는 “느끼해요. 못 먹겠어요.” 한다.
옆에 있던 나, “줘 보세요.” 하며 맛을 보고 “좀 느끼한데 파 좀 더 넣으면 먹을 만하겠는데요” 했더니,
어머니 “저 썩을 놈, 얼마나 해 봤으면 느끼하다고 파 넣을 줄도 알고” 하시며 또 욕 한 바가지 하셨다.




김치와 숙주나물 넣은 찌개가 끓기 시작하자
중간불로 줄이고 버섯과 듬성듬성 썬 호박 넣고 간 맞추어 한소끔 더 끓여 냈다.
숙주나물, 찌개, 먹다 남은 깻잎 볶음, 잔멸치 볶음, 고구마줄기로 말복 아침상을 차렸다.
말복인 어제 아침상은 그리움이었다. 그리고 애틋함이다. 어머니, H씨, K, 할머니에 대한 애틋함.

글을 쓰다 보니 속상해진다.
더 이상 음식 어떻게 하냐고 물어볼 어머니 안계시고
“니가 그걸 왜 물어, 썩을 놈” 하고 욕하며 가르쳐 줄 엄마가 없어 속상하다.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후라이주부
    '10.8.9 1:28 PM

    마지막 문단 읽으며 울컥....

  • 2. 거품
    '10.8.9 2:35 PM

    가슴뭉클..ㅡㅜ

  • 3. 프리
    '10.8.9 6:04 PM

    녹두...사람에게 참 이로운 재료인데...
    정말... 서러운 사연들도 많지요...

    전 오후에님 글을 읽으면서...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나무 앉지 마라. 녹두꽃이 떨어지면 청포장수 울고 간다라는 노랫말이 떠오르네요... 그 노래를 불렀던 민초들의 한도요...

    이래저래.... 코끝이 찡해집니다... 오후에님~

  • 4. 가브리엘라
    '10.8.9 6:35 PM

    어머님의 애정담긴 욕 한마디가 어떤 다정한 말한마디보다 더 와닿네요...

  • 5. 보라돌이맘
    '10.8.9 9:21 PM

    저도 부모님만 떠 올리면...
    늘 그리움과 애틋함이 벅차게 다가오네요.
    나이가 들어갈수록 언제나 똑같은 자리를 맴도는 듯 하는데
    그 깊이는 더 깊어져만 가네요.
    살아가는 이런저런 모습들에 공감하면서... 써 주신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6. 미남과야녀
    '10.8.9 10:00 PM - 삭제된댓글

    사진에서 할머니께서 해 주시던 소박하고 그리운 음식들이 나와서 뭉클, 오후에님 글에서 뭉클 했네요. 한국에가면 다들 저런 음식들이 먹고 싶은데 다들 퓨전이니 하는 세련된 음식들을 해줘서 아쉬움이 남았던 기억이 있네요.

  • 7. 두루두루
    '10.8.10 1:48 AM - 삭제된댓글

    눈물이 ....

  • 8. 변인주
    '10.8.10 9:09 AM

    늘 담백한 음식이 좋아보여서 들여다 보는데
    오늘은 맘까지 찡하네요.......

  • 9. 오후에
    '10.8.10 11:10 AM

    애구 다들 엄마얘기에 약하신가보다.
    변인주님, 두루두루님, 미남과야녀님, 보라돌이맘님, 가브리엘라님, 프리님, 거품님, 후라이주부님!
    다들 좋은 하루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2557 마땅한 반찬이 없을때?? 감자볶음 & 참치 김치찌개 8 에버너스 2010.08.11 10,559 127
32556 베이컨으로 간단밥상& 이런 저런 우리집 기록들 42 프리 2010.08.11 16,205 125
32555 자취생님 보세요 엄지맘 2010.08.11 5,539 122
32554 초간단 새송이 치즈 볶음요리... 3 들국화 2010.08.11 5,019 157
32553 7월이벤트 - 한그릇으로 뚝딱! 12 enter 2010.07.07 12,338 197
32552 8월 볕에 흔들리는 봉선화 4 오후에 2010.08.11 4,070 113
32551 세가지밥을 한번에 ....(쌀밥, 보리밥, 조밥) 12 노니 2010.08.11 9,138 107
32550 경상북도수목원이 눈 앞에 있는 집의 주말,,, 8 나오미 2010.08.11 7,899 112
32549 화요일의 아침상입니다. 49 보라돌이맘 2010.08.10 16,727 159
32548 뉴욕 직딩아잣씨 샌트랄파크에서 빈곤한 점심.. ^^;; - &g.. 49 부관훼리 2010.08.10 15,764 129
32547 곱디 고운 눈꽃 밀크 빙수의 비밀~~ 25 Terry 2010.08.10 13,498 89
32546 덥지만 말 한마디라도 곱게 주고 받는 하루였으면~ 삼색전, 두부.. 30 프리 2010.08.10 11,861 107
32545 훠.궈.랑 회 한접시등... 주의!! 언제나 말 많아요. 39 마리s 2010.08.10 8,733 106
32544 밥솥에서, 반찬하기.. 감자조림 12 깜찌기펭 2010.08.10 9,340 79
32543 그동안 저희집 밥상 그리고 .. 49 오뎅조아 2010.08.10 8,186 104
32542 도련님 도시락 (8/9) 14 아자아자 2010.08.10 9,655 1
32541 키톡에도 급이 있습니다. 밑장 깔기의 진수 12 깍뚜기 2010.08.10 5,703 85
32540 혼자 먹는 밥은 왠지 -- 혼자일수록 잘먹자 5 오후에 2010.08.10 5,491 116
32539 한 번에 밥부터 반찬까지 4 토마토 2010.08.10 5,291 104
32538 손님 초대요리 두가지와... 49 순덕이엄마 2010.08.10 34,957 1
32537 8월에 먹은 몇가지와 무서운 이야기하나(실화) 15 노니 2010.08.10 9,905 102
32536 눈물젖은 도시락을 먹어보셨나요? 14 소년공원 2010.08.10 7,899 83
32535 아까 일어난 너무나 이상한 일 13 morning 2010.08.09 8,823 142
32534 더운 여름 대충 밥 해먹기 49 꿀아가 2010.08.09 6,823 85
32533 월요일의 아침상입니다. 49 보라돌이맘 2010.08.09 12,437 140
32532 동그랑땡과 말복 닭튀김, 그리고... 49 만년초보1 2010.08.09 18,430 169
32531 이 복더위에..제대로 불 앞에 선 여자:: 탕수육, 버섯탕수, .. 15 프리 2010.08.09 9,590 86
32530 낸시네 Baby Shower 파티 6 에스더 2010.08.09 7,337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