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고해성사, 그리고 반찬 몇 가지

| 조회수 : 7,318 | 추천수 : 88
작성일 : 2010-07-20 02:13:34
손님들이 하룻밤 주무시고 가기 때문에 저녁식사 뿐만 아니라, 다음날 아점 준비도 미리 해두었어요.

밥과 국은 아침에 일어나서 만들어도 되지만, 이것저것 반찬은 미리 만들어놓지 않으면, 굼뜬 손놀림으로 손님을 기다리게 할 수도 있고, 또 식사가 아닌 다른 손님 대접에 소홀하기 쉬우니까, 반찬 몇 가지를 미리 만들어 두었습니다.

사실, 평소에도 저는 주말에 반찬을 여러 가지 만들어서 냉장고에 넣어두고, 밥만 그 때 그 때 해먹어요. 심지어 밥조차 매일 못하고 밥솥에 며칠씩 넣어두고 먹기도 한답니다. (민망민망...)

오늘 이 자리를 빌어 여기 훌륭하신 선배님들께 고해성사를 조금 더 하고 싶어요.

저는 맞벌이 주부랍니다. 지금은 방학이라 여유를 즐기고 있지만, 학기 중에는 행주 빨아 쓰는 것조차 버거워서 한 번 쓰고 버리는 키친타올을 사용해요.

직접 행주를 만들어서 뽀얗게 삶아서 쓰시는 분들, 정말 존경합니다. 그리고 환경오염시켜서 죄송합니다. 제가 조금 더 내공이 쌓이면 키친타올 사용을 줄여가겠습니다.

이른 아침부터 부지런히 가족들의 아침상을 준비하시는 선배님들, 저를 부디 용서하세요.
남편 아침밥은 열에 아홉 번은 남편이 차려 먹고, 저는 아침을 안먹어요. 그나마 요즘엔 아들 아이 때문에 토스트나 팬케익을 가끔 만들어 준답니다.

제가 요즘에 올리는 음식 사진 보시고서 부지런하다고 칭찬해 주시는 모든 분들, 정말 감사하고 부끄럽고 죄송합니다.
방학 동안에나 이렇게 하지, 학기 중에는 정말 형편없는 주부랍니다.

하지만, 키친토크 보면서 많이 배우고 있어요.
위안과 용기도 얻고요.
직장 다닌다고 저도 모르게 마음 깊은 곳에서 남편과 아이에게 "내가 이만하면 되었지, 뭘 더바래?" 하는 교만한 생각을 한 적이 많았는데, 여기서 훌륭하신 님들을 보고 배우면서 "조금 더 수고를 들이면,  내 남편, 내 아들이 이렇게 건강하고 행복해 지는구나" 하고 깨우친답니다.

다시 한 번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드려요 ^__^

자, 그럼 반찬 몇 가지 만들어 볼께요.
사진은 다음 블로그에 올린 것을 링크했으니, 이젠 시간에 상관없이 보실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청경채가 좋아보여서 사왔지요. 꼭지에 붙은 부분 안쪽에 흙이 묻어있는 경우가 많아서 꼭지를 따서 흐르는 물에 잘 씻었어요. 안쪽의 어린 잎은 꼭지 채로 흔들어 씻었구요.


전자렌지에 뚜껑을 덮고 1분을 돌렸더니, 약간 숨만 죽은 정도네요.


아래위로 한 번 뒤집어주고 다시 2분을 더 돌렸어요.


된장으로 간을 하고, 다른 양념도 조금씩 넣어서 맛을 만들어갑니다.


한국에서 즐겨먹던 풋배추 무침과 비슷한 생김새와 맛인 것 같아요.


전자렌지에 채소를 데치면, 다른 그릇에 옮길 필요없이 그대로 양념을 넣어 무칠 수도 있고, 그래서 설겆이도 줄고, 다른 요리와 함께 진행할 수도 있어서 저는 자주 사용합니다.
이번엔 숙주나물을 무치려구요.
뚜껑이 들릴 정도로 부피가 크지만, 4분을 돌린 후에는 숨이 폭 죽어서 줄어든답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드시는지 모르지만, 저희 엄마는 숙주나물을 무칠 때 식초와 설탕을 넣어서 새콤달콤하게 해주시곤 했어요.
다진 파와 소금, 참기름, 깨도 넣었어요.


오동통하니 잘 무쳐진 것 같죠?


날라리 주부가 잔꾀를 부려, 잘라서 냉동된 연근을 샀어요.
봉지에 메이드 인 인디아 라고 되어있는데, 인도 사람들도 연근을 즐겨 먹나봐요.


냄비에 들이붓고, 저염간장, 물엿, 마늘가루, 후추를 넣었던 것 같아요.


간단하게 또 한 가지 반찬 완성


고사리 나물도 일본제 봉지 물고비로 만들기로 했어요.


후라이팬에 식용유를 두르고 다진 마늘을 먼저 볶아서 매운 맛을 없애 주어요.


물고비를 볶다가 들깨가루를 듬뿍 뿌려주었어요.
모든 나물 요리에 들깨가 들어간 것을 좋아하시는 한국에 계신 엄마 생각이 나서, 한 스푼 넣을 것을 두 스푼 더 떠넣었죠.


물고비 나물까지 모두 네 가지 반찬을 새로 만들었네요.


그리고 김치 냉장고에서 잘 익은 배추김치와 열무김치를 올리면 그럭저럭 먹을만한 밥상이 되었기를...
소년공원 (boypark)

소년공원입니다. 제 이름을 영어로 번역? 하면 보이 영 파크, 즉 소년공원이 되지요 ^__^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보라돌이맘
    '10.7.20 4:09 AM

    청경채에 숙주나물,연근에 물고비까지....
    모두 하나같이 정겹고 맛깔스러운 반찬이네요.
    구수한 들깨가루 냄새가 은근하게 풍겨나는 저 마지막 사진까지...
    밥 한 공기가 정말 필요해요...이럴때는...
    얼른 우리집도 아침밥 준비하러 갑니다...^^

  • 2. 소년공원
    '10.7.20 4:30 AM

    우와 보라돌이맘님, 아침 지으러 가시는 길에 들러주셨군요!
    칭찬말씀 감사합니다.
    오늘 아침도 맛나게 드시고 건강하세요.

  • 3. 윤주
    '10.7.20 8:00 AM

    우아~ 모두 정갈하고 몸에 좋은 나물들이네요.

  • 4. 단추
    '10.7.20 9:22 AM

    다 맛있어보여요.
    청경채로 김치 담궈도 맛있다는....
    꼭 얼갈이 배추김치 같아요.

  • 5. 소박한 밥상
    '10.7.20 9:42 AM

    숙주나물을 무칠 때 식초와 설탕을 넣어서 새콤달콤하게 ??
    맛의 특이한 경험이겠어요 !!
    그런데 외국에도 저 친근한 구멍 송송 빨간 플라스틱 바구니가 있었네요 ??? ^ ^

  • 6. 뽀드락쥐
    '10.7.20 9:51 AM

    청경채랑 고사리 저희집 냉장고에 있는것들이네요.
    저도 오늘 반찬두개 합니다^^

  • 7. 소년공원
    '10.7.21 1:50 AM

    윤주님, 글마다 정겨운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단추님, 청경채 김치... 한 번 해봐야겠네요.
    그런데 얼갈이 배추보다 하얀 줄기 부분이 두꺼워서, 질기거나 아삭한 맛이 덜하지는 않은가요?

    소박한 밥상님, 저 소쿠리가 십 년 전에 저따라 미국으로 날아온 녀석이예요. 저희 엄마가 쓰시던 거죠.
    새콤한 숙주나물이 "특이한 경험" 이 될 수도 있군요. 저는 사실 새콤한 것 말고 다른 방법은 모른답니다. ^__^

    뽀드락쥐님, 반찬 두 개 아이디어 득템을 축하합니다. ^__^
    여름에 끼니마다 식구들 밥 해먹이는 것, 보통 수고가 아니지요.

  • 8. 독도사랑
    '11.11.18 7:57 AM

    진짜 맛있어보이네요 ㅎㅎ 너무 먹어보고싶어요 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2361 리큅건조기로 말린 가지볶음 11 프로방스 2010.07.21 11,661 89
32360 어쩌다보니 찌찌뽕~ 유부 졸여 유부초밥 만들기 ^^; 17 오렌지피코 2010.07.21 13,630 118
32359 감자샐러드샌드위치로 어린이집도시락싸서 보냈어요 5 얼떨떨 2010.07.21 8,889 114
32358 모델값 VS 양배추쌈정식값..공정한 판결을~ 28 프리 2010.07.21 9,196 71
32357 잡초나물로 맞은 아침 15 오후에 2010.07.21 4,628 105
32356 냉동 유부 한봉다리로... 13 어중간한와이푸 2010.07.21 10,127 83
32355 6월 이벤트 당선작 발표 49 enter 2010.07.05 12,446 122
32354 <이벤트> 간편하게, 건강하게 즐기는 수제비 49 천사꽃뉨이 2010.07.21 5,125 137
32353 [면] 오메 더워요!! 20 면~ 2010.07.21 11,119 72
32352 <이벤트> 초딩 남매를 위한 덮밥 시리즈 1탄 9 다이아 2010.07.21 10,728 116
32351 한국에서 2마트에 갔다가... + 잡설... ^^;; - >.. 27 부관훼리 2010.07.20 15,020 117
32350 온니가 요즘 돈이 음써서.... 48 순덕이엄마 2010.07.20 46,361 304
32349 비빔냉면 만들었어요 ㅎ 3 토담보담 2010.07.20 4,796 88
32348 핸드메이드 막걸리 만들기 14 추억만이 2010.07.20 6,220 118
32347 태안 울엄니가 만드신 약식떡케이크요~ 11 Birdy 2010.07.20 6,426 116
32346 초복날 월요일의 아침밥상입니다. 28 보라돌이맘 2010.07.20 15,291 126
32345 버지니아 Mrs. Park의 3일간 상차림 13 에스더 2010.07.20 9,997 70
32344 도시락 12 파랑 2010.07.20 6,575 32
32343 여름보양식 추어탕 30인분 끓이기 17 경빈마마 2010.07.20 8,207 99
32342 고해성사, 그리고 반찬 몇 가지 8 소년공원 2010.07.20 7,318 88
32341 [클리닉이 필요한 요리책]....^^ 13 노니 2010.07.19 7,186 106
32340 일주일 동안 만든 빵빵!! - 사진 많아요!! 24 욕심많은여자 2010.07.19 8,339 54
32339 혼자보기 아까운- 누나의 요리2- 14 가드업 2010.07.19 12,368 97
32338 시원한 검은콩냉콩국수 한그릇 드세요 ^^ 5 얼떨떨 2010.07.19 4,617 96
32337 미리먹은 복날음식-냉채족발,비빔족발 14 쪼매난이쁘니 2010.07.19 8,203 109
32336 신랑첫생일맞이 도시락 ^^ "써프라이즈!!!~~~~!" 41 올리 2010.07.19 20,986 100
32335 손님맞이 이야기 9 소년공원 2010.07.19 7,684 75
32334 일요일 아침의 밥상입니다. 40 보라돌이맘 2010.07.19 23,304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