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3박 4일 동안 밥해먹기, 대표선수 <소고기 무국>

| 조회수 : 8,049 | 추천수 : 31
작성일 : 2006-05-08 17:08:20
황금연휴의 시작이였던 5일 아침.
7시 비행기를 타고 부산에서 시부모님이 올라오셨습니다.
아니 무슨 서울에서 9시 미팅 참석하실일이 있으신것도 아닌데
첫 비행기가 왠말인지..

늦잠은 고사하고 쿠쿠에 밥 앉혀놓고 공항으로 모시러 나갔지요..
그리고 장장 3박 4일간 밥해먹기가 시작됐습니다.

결혼하고 국이라고는 된장국,콩나물국,김치찌게,황태국,청국장.
이렇게 다섯가지로 먹고 지냈는데
명색이 시부모님 오시는데 다섯가지중 하나로 시작하기는
왠지 성의없어 보여서 전날 소고기무국을 끓여봐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친정에선 잘게 썰은 소고기를 집간장, 마늘 넣고 볶다가
삐친무 넣고 좀 더 볶다가 물 붓고 끓인다..간은 소금간, 마지막에 대파 숭숭..
이 정도였는데 막상 하려니..쩝..

일단 고기를 사 놓고 레시피 검색을 합니다.
실패하지 않는 레시피인 쟈스민님의 소고기 무국이 나오더군요.
마침 고기도 레시피와 비슷한 300g 정도.

---------
쟈스민님 [ 무우국 ]

제 버젼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담백한 걸로....
보통은 국물 따로 내고, 무는 참기름에 볶아서 하는데....고소하죠....

오늘은, 시원하게 끓이는 법
양지 반근(300g), 무우 1/4개 - 10인분 쯤.
1) 양지는 덩어리로 찬물에 끓인다. - 센불에 5분 - 약불에 30 ~ 40분.
2) 무우도 1)에 덩어리로 넣어준다.
3) 고기가 부들부들해지면, 고기와 무를 건져서 잘라준다(사진).
4) 양푼에 넣고, 국간장, 후추, 마늘에 버무려 간이 배게 5분쯤 둔다...간은 살짝만 하세요.
5) 끓고 있는 국물에 4)를 넣어준다.
6) 파 넣고 소금으로 마무리 간.

-------------

그러나 첫 번째 난관에 부딪힙니다.
물을 얼마나 부어야 할 것인가..
쟈스민님 레시피에는 물을 얼마나 부어야 할 지가 안나와있어서..

모밀장국도 아니고 원액을 희석할일도 없을터인데
처음부터 적당량의 물을 넣어야 할 것 같은데 얼만큼이 적댱량인지..흑
친정에라도 전화를 해볼까 싶었는데 그 시간이 새벽 1시..--;

물을 넣었다 뺐다를 반복하다가 10인분이면 대접으로 10개쯤이면 될까 싶어
다시 대접으로 부어놓고 무 두 토막, 생강 한쪽을 넣고
불을 지르기전에 다가온 두번째 난관.

비닐팩을 뜯은 양지 300g,
고기를 씻어야 할 것인가 아니면 그냥 넣을것인가..--;
순간 이 생각이 왜 났는지 모르겠지만,
고깃집에서 생고기 (등심이나 차돌박이)먹을 때 씻어주진 않겠지 싶은 생각이 들면서
그냥 넣었습니다.

고기를 집어넣자 또 생각나는 것 하나.
'고기는 핏물을 빼주시고...' 그 고기는 갈비만 해당이 되는지..
여하튼 고기는 물 속에 이미 들어가고 난 후였습니다.

레시피에 충실하여 쎈 불 5분 후 거품을 걷어내고
약불로 줄이고 나서
뚜껑으로 들여다 보이는 냄비 속은 의심 그 자체!

오그라든 고기는 너무 작아 보이고
무우도 너무 작은것 같고
물 색깔은 여전히 희멀건하고..

참고 기다리니 기름이 조금씩 뜨기 시작하면서 무우국의 형태가 나오더군요.
호빵 먹는것도 아니고 손 호호 불어가며 고기를 찢어두고
무를 썰어 같이 간해 두고 육수에 넣고 끓여주니
의심의 구름이 걷히더이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소고기 무국.
기념사진 안 찍어두면 안될 것 같아서 밥 차리기전 얼른 한 컷.




다행히 어머님, 아버님 맛있게 한 그릇 다 드셨답니다.
(쟈스민님. 감사..)

그리고 점심,
친척 어른이 오셔서 술상을 봐야했습니다.
새송이버섯전, 두부김치, 두릅, 과일 한 접시를 해서 술상.

식사도 하신다 하여 남은 소고기 무국을 다 먹게 됐습니다.
점심, 저녁은 다른것 먹고 다음날 아침도 먹으려 했는데..흑흑

아침에 어른 네명,
점심에 어른 여섯명.
정말 정확하게 10인분이 나오는 소고기 무국이였습니다.

무우국 끓는 중에 밑반찬 하나 도전.
이 역시 처음 시도해보는 반찬이죠.
밀가루 묻혀 찐 꽈리고추무침.

어렸을 때 밥 뜸들일때 얹어 찌곤 했던 꽈리고추.
그땐 밥에 매운맛이 들어 싫어라 했는데
요즘 가끔 식당에서 반찬으로 나오면 어찌나 반갑던지..

물기있는 꽈리고추에 밀가루 묻혀 쪄낸 후
맞는지 안맞는지는 모르겠지만
집간장,마늘,고추가루,깨소금,참기름 넣고 뒤적뒤적.
이것 역시 아버님이 맛있게 드셔서 다행이였지요..



늦은 점심을 먹고 꽃박람회장을 다녀오니 금새 저녁때.
저녁엔 풀무원 요리국물로 샤브샤브를 해 먹었습니다.
아버님, 어머님 처음 드셔본다고 하시더군요..
국수에 죽까지 해서 먹었습니다.
이렇게 다른 반찬없이 한 끼가 훌륭하게 해결되는 순간..

저녁 설겆이를 하면서 다시 다음날 아침 메뉴 고민..--;
만만한 된장찌게 한 냄비 끓여놓고
계란찜 한 그릇 해놓고 다음날 아침도 해결.

비가와서 어디 나가지 못하고 대신 어머님과 김치를 담궜습니다.
알타리무, 물김치, 오이소박이..
김치 다듬는 순간에도 점심 뭐먹나..--;

비도 오고 밥해도 먹을 반찬이 없기에 수제비와 호박전으로..
멸치육수때문에 결혼 후 한번도 안해먹었던 수제비..(남편이 안 먹어요.)
기회는 이때다 싶어 멸치와 새우 잔뜩넣고 국물을 냈지요.
그래도 땀흘린 보람있게 맛있게 또 한끼 해결.




수저 놓는 틈을 타서 한 컷.

그리고 저녁은 아버님,어머님은 고모님댁 모셔다 드리고
친정에서 먹기로해서 적어도 저녁 한 끼는 덜었군..싶었습니다.

그러나 친정에 도착했더니 저녁 준비가 시작하려 하더군요.
제가 무슨 상전도 아니고 앉아서 구경만 할 수 있나요.
다시 팔 걷어 부치고 나물볶고, 생선튀기고, 밥도 하고..
단 설겆이는 안 했지요.

날씨 화창한 일요일, 황태국 끓여 아침을 먹고,
설겆이 해놓고,
빵을 한 판 구워서 과일이랑 싸들고 바람쐬러 나갔습니다.
빵과 과일 덕분에 늦은 점심은 밖에서 사먹고
어정쩡한 저녁을 건너뛰는 통에 내심 기뻤습니다. --;

그리고 오늘 아침.
저희 부부는 어제 먹다 남은 황태국 마저 먹고
어머님 아버님용으로 청국장 한 냄비 끓여놓고 나왔습니다.

끼니마다 새 밥 지으려니
또 뭐 하나라도 새 반찬 만들어 내려니
3박 4일동안 밥 만 먹은 느낌입니다.

오늘 저녁은 어버이날이기도 하니 밖에서 먹고
시부모님은 내일 아침 내려가십니다.

당분간 밥 안해먹고 지내렵니다.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떡순이
    '06.5.8 5:18 PM

    다 맛있어보여요..
    결혼전에 엄마가 해준거 먹을때는 그렇게 쉬워보이드니..
    내가하면 다 맛이 없드라고요..
    그래서 훌륭한 고수님들의 레시피를 그래로 따라하면
    조금 맛이 괘안드라고요..
    우리도 열띠미 해서 언젠간 요리고수 되자구요~ ^^*

  • 2. jack
    '06.5.8 5:28 PM

    제가 다 숨이 찹니다.... 제가 너무나...초보주부라....
    헉...전 뻗었을 거예요....
    휴일이 밥하는것만으로도 무진장 바뿌셨지여?^^;;

  • 3. 챠우챠우
    '06.5.8 5:45 PM

    저두 숨차요 ㅎㅎㅎ
    힘드셨겠어요...

  • 4. 미뉴엣
    '06.5.8 5:54 PM

    어이쿠~ 황금연휴에 정말정말 수고 많으셨네요.
    언제쯤 한끼먹는 인간으로 진화하려는지......^^;;;

  • 5. 코코샤넬
    '06.5.8 6:14 PM

    새댁 애쓰셨네요.. 아니지..
    내일 아침까지 조금만 더 기운내요^^;;;
    어른들 밥상 차리기 정말 보통일 아니예요...

  • 6. INA
    '06.5.8 9:38 PM - 삭제된댓글

    너무 exciting 하게 읽었습니다 !
    언젠가 저런 자리 생길텐데, 실감 나네요. 하하하

  • 7. 둥이둥이
    '06.5.8 9:45 PM

    저도 헥..헥..
    예전에 울집에 시어머니 와 계실때.. 밥 해드리고..식사후 운동 꼭 하셔야 해서..
    운동 시켜 드리고.. 심심하실까..여기저기 구경 시켜드리고..
    을마나 힘들던지..-.-
    간식 드리면..얼마나 조금밖에 안 드시는지..그거 다 먹다 저만 몇 킬로 쪄주고..-.-
    앤님~~ 이제 좀 쉬세요......^^

  • 8. yuni
    '06.5.8 9:46 PM

    시부모님께서 우리 새아가 솜씨가 부쩍부쩍 늘었다고 흐믓해 하시겠네요.
    혹시 내일 돌아가시는 길에 수고했다고 금일봉이라도 하사하시면 더 좋을텐데.. *^^*

  • 9. jasmine
    '06.5.8 10:01 PM

    정말 욕봤네요....남편이 고맙다고 하는지 궁금...^^
    요즘도 이런 색시가 있었다니...남편 분, 복 마니 받으셨습니다.
    담주는 밥하지 말고 다 사드세욤.....

  • 10. 수인맘
    '06.5.8 10:21 PM

    정말 수고 많이 하셨네요. 어른들 밥상 차리는 것이 여간 힘들지 않지요. 근 20년째 하는 일인데도
    어떤때는 막막할 때가 있답니다. 푹 쉬시고 남편께 어깨도 주물러달라 하고 그러세요.

  • 11. 아녜스
    '06.5.8 11:18 PM

    예. 이제는 좀 쉬세요^^ 글, 즐겁게 읽었습니다. 제 옛날 생각 많이 났구요,감사~
    그렇게 하드 트레이닝을 받고 나면, 훨씬 요리하기랑 손님상 차리기가 수월해집니다. 요리학원 다니는
    것보다 나아요. 위로 드리구요.

  • 12. 앤 셜리
    '06.5.9 8:44 AM

    헉헉헉!!!
    긴 여정으로 느껴집니다.
    정말정말 수고하셨네요!!!
    애때문에 제대로 된 밥상에서 먹어본지가 오래되어서 사진들이 넘 부러워요!!!
    아~~~~아침부터 침만 꿀꺽~~~~~!!!!!!

  • 13. 페페
    '06.5.9 9:25 AM

    헉!!! 젊은 처자분 맞아요?
    16년차 아줌마 꼬랑지 바로 내립니다.

  • 14. 포비쫑
    '06.5.9 9:38 AM

    와 정말 대단하시네요
    부모님들 입맛 맞추기도 힘든데
    맛있게 드셨다니 제가 다 기분이 좋네요
    고생 많으셨어요

  • 15. zxcv
    '06.5.9 9:49 AM

    와 ~ 정말 애쓰셨어요. 짝짝짝!
    근데 빵까지 구우시고 결혼 16년차 저보다 나아요>

  • 16. 풍경소리
    '06.5.9 11:51 AM

    정말 수고 많으셨어요~
    소고기 무국,샤브샤브,수제비까지..
    남편 분은 잘 드셨는지.. 궁금하네요..^^

    전 수제비 집에서 안 해봤는데..
    멸치육수대신 황태로 육수내면 그 맛이 안 날까요??
    전 떡국도 고기 잘 안 넣고, 황태육수로 가끔 하는데..먹을만 해요..

  • 17. 맑은물
    '06.5.9 2:22 PM

    수고 많이 하셨네요
    덩달아 같이 급해진것 같아 숨이 차고
    정신이 없네요 마치 제가 한것같아요^^
    ㅎㅎㅎㅎ

  • 18. 알몬드
    '06.5.14 1:49 PM

    고추무침...와~~먹음직스럽네요....배고파지네요..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8145 돌솥비빔밥과 사과카레 6 호랑이 2006.05.10 5,056 26
18144 꾸물꾸물한 날 <호박전&양파전> 6 노처녀식탁 2006.05.10 6,148 3
18143 밤참 2 namu 2006.05.10 4,882 4
18142 유치원 다니는 딸 소풍 도시락 6 서정 엄마 2006.05.10 8,598 1
18141 키톡 덕분에 돌잔치 잘 치렀습니다 15 영주맘 2006.05.10 7,874 77
18140 엄마표 된장 칼국수 7 광년이 2006.05.09 5,423 7
18139 스끼야끼 3 김해영 2006.05.09 5,086 9
18138 첨으로 차려본 남편 생일상 9 생명수 2006.05.09 8,156 9
18137 쵸콜렛이 들어감 더 맛있당...쵸코 피칸 파이 바 3 yun watts 2006.05.09 3,721 11
18136 오이&당근으로 만든 부침개와 수제비 33 경빈마마 2006.05.09 11,131 34
18135 쨍한날 땀빼고 있네요-백설기.잔치국수- 12 밥밥밥 2006.05.09 6,092 21
18134 쉽고도 어려운 두부 부치기~ 무쇠팬 11 프리스카 2006.05.09 6,942 54
18133 오레오쿠키 치즈케익 12 inblue 2006.05.09 9,634 12
18132 쑥.녹차 버터설기... 2 꿈이상^^ 2006.05.09 2,803 17
18131 (닭) 매콤한 두부조림 - 이야기 압박.. -_-;;; 8 선물상자 2006.05.09 6,241 14
18130 우리신랑 도시락 싸주기 2 15 안동댁 2006.05.09 8,145 7
18129 5월이여!! - 내맘대로 볶음국수 3 2006.05.09 4,859 14
18128 이런 맛난빵.......흐미..죽음인..건포도&호두빵 2 yun watts 2006.05.09 4,107 3
18127 수라간 창작요리 + 뒤늦은 어린이날 행사 간식 4 전박사 2006.05.09 6,047 17
18126 봄 맞이 케잌 5 이윤경 2006.05.09 3,219 14
18125 -- 선물용 과자세트 -- 17 안젤라 2006.05.08 6,054 18
18124 장미 초코칩 호두 건포도 머핀 4 cherry22 2006.05.08 2,967 6
18123 빌린 디카로 찍은 렌지 찹쌀떡...(드디어 이짓까지 하게 되네요.. 4 한해주 2006.05.08 4,995 8
18122 가마솥 밥 28 경빈마마 2006.05.08 6,661 16
18121 3박 4일 동안 밥해먹기, 대표선수 <소고기 무국> 17 빨강머리앤 2006.05.08 8,049 31
18120 볶음인데 하고보면 전골이 되네요.(낙지전골) 49 프리스카 2006.05.08 4,875 40
18119 갑자기 찾아온 여름...<김치말이국수> 11 노처녀식탁 2006.05.08 5,697 7
18118 프라이팬에 음식이 안 붙어서 좋긴좋은데요... 16 엉클티티 2006.05.08 5,72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