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장본 재료 모두 써서 요리 만들기[냉장고 비우기 요리법] - 보쌈과 겉절이, 닭볶음탕과 닭죽, 월남쌈과 양장피

| 조회수 : 9,285 | 추천수 : 101
작성일 : 2010-12-01 14:11:11
어제 굴 요리 글을 올렸는데 그래도 꽤나 많은 분들이 좋은 레시피라고 해주셔서
오늘 또 용기를 내어 글을 더 올려요...
처음 결혼하고 요리하면서 가장 힘든 것 중 하나가 바로 냉장고 비우기였어요.
시장에 가면 사고 싶은 재료는 많은 데 다들 하나같이 왜이리 큰 덩이로만 파는지..
특히 제가 재래 시장을 마트보다 더 좋아하는데 재래시장은 마트보다 한 묶음의 양이 많아요.
그렇다고 조금씩 파는 비싼 백화점에서만 장을 볼 수는 없고,,,
그래서 찾은 방법이 요리를 할 때 같은 재료가 들어가지만 조리법을 달리해서
다른 맛을 만들어 가능한 한상에 모두 올리는 방법을 써요. 아니면 몇일 간격을 두고
조리법을 달리해서 냉장고에 있는 재료를 가능한 모두 꺼내 쓰는 방법을 하던지요.

그 중 첫번째는 보쌈과 겉절이 그리고 배추국과 부추전이여요.
보통 보쌈을 하면 겉절이를 함께 하자나요. 그럴 때 배추 한통을 모두 겉절이로 하지 않고
[한통 다하면 둘이 다 못먹더라구요] 조금 남겨두어 배추국을 끓여 함께 상에 올려요.
그리고 겉절이 할때 들어가는 쪽파대신 부추 한단을 사서 겉절이에 조금 넣고 나머지는 부추전을 부치고
또 일부분은 돼지 고기 보쌈위에 올려서 함께 먹으면 그 향기가 무척 좋아요.
이렇게 하면 저녁 한상이 푸짐하고 알차게 차려지더라구요.

두번째는 닭볶음탕을 할 때인데요, 둘이서 닭 한마리를 야채와 당면까지 넣어 닭볶음탕을 하면
양이 너무 많아 남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아예 닭 한 팩을 사오면 4덩이 정도
냉동실에 얼려두었다 급할 때 닭죽을 끓여서 먹어요. 4덩이 정도만 되도 충분히 닭 육수가 우러나오고
살도 꽤 있어서 둘이 한끼 닭죽먹기에 아주 좋더라구요. 주말에 장은 안봤는데 나가서 먹기도,
시켜서 먹기도 싫을 때 냉동실의 닭을 꺼내 끓여 먹으면 점심으로 딱이여요.

마지막은 월남쌈과 양장피여요. 보통 손님용으로 많이들 해드시는데 2인분만 준비하면 그렇게
힘들지 않고 저녁에 맥주한잔 할 때 이 요리 하나면 딱이여요. 근데 문제는 2인분을 준비하다 보니
재료들이 거의 남는 다는 거죠. 그래서 전 보통 주말쯤에 월남쌈을 해서 신랑과 맥주 한잔을 하고
그 다음 주중에 양장피를 해서 저녁 상에 올려요. 뭐 재료가 다 겹치는 건 아니지만 그래도 당근
오이 같은 것들은 오래 두면 무르는데 이렇게 하면 거의 다 먹어요. 그래도 남는건 무쳐먹고
생으로 먹기도 하고요...
마지막으로 하나 더 있다면 전 호박을 사는 날은 된장 찌개에 호박을 넣고 반은 전을 부쳐서 올려요.
그러면 호박이 물러서 냉장고에 뒹구는 사태를 방지 할 수 있더라구요.

뭐 대단한 요리에 대단한 레시피들은 아니지만 그래도 다른 분들도 저처럼 냉장고에
재료들이 가득 차 있으면 한숨 나오잖아요.
제가 굴 요리 7종 세트를 개발한 것도 신랑이 굴을 너무 많이 주문해서 얼려두고 먹긴 했지만
신선하게 빨리 많이 먹으려고 다양한 요리법을 찾은 거 였거든요.
다른 분들도 혹시 냉장고 비우기 요리 비법 있으면 함께 공유해요~
주저리 주저리 말이 많았던 8개월차 새댁 유한 마담이였습니다~~ ^^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아웃사이더
    '10.12.1 2:55 PM

    참 지혜로우십니당 정말 배울만한 정보네요 맨날 손만 커서 많이 사놓고 아주 씁쓸하게 버릴때가 종종 있어서요 식구들 입들이 짧아서 요리법변화를 시도해야겠네요 아예 식단표를 짜놓덩가 해야지 싶어요 좋은 아이디어 얻어가요

  • 2. 룰루랄라
    '10.12.1 4:44 PM

    이건 사기, 새댁이라고 할 수 없음..
    흑~ 기죽어.. 결혼 15년차-

  • 3. 다몬
    '10.12.1 5:48 PM

    에~궁 야무지기도하~징~~~~~` ^&^

  • 4. 소년공원
    '10.12.2 6:05 AM

    8개월차 새댁이 참 알뜰하게 살림도 잘 하시고, 음식도 잘 만드시고... 참 휼륭하세요!
    자주 요런 글 올려주세요. 저도 살림 공부좀 하게요 ^__^

  • 5. 피자소녀
    '10.12.2 12:42 PM

    이런 글 좋아요 저도 소량 식사준비를 하는 사람이라 늘 어떻게하면 지혜롭게 준비를 할까 고민하거든요 다른 노하우 또 전수히주실거 없나요? ^^ 잘 배워갑니다

  • 6. 이겔
    '10.12.2 8:05 PM

    저ㅡ희도 두식구 인데오.. 뭐든지 사면 너무 남아요.... 항상 한국음식만 먹는게 아니라서 더하는것 같아요.. 만약에 야채를 사면 김밥. 비빔밥, 잔치 국수, 월남쌈으로 마무리 해요. 멸치육수를 만들었는데 넘 많이 남았으면 수제비, 떡국, 칼국수 등등으로 해결하구요.. 그래도 버리는게 너무 많아요..ㅠ.ㅠ

  • 7. 유한 마담
    '10.12.3 3:44 PM

    멸치 육수가 많으면 생수팩에 넣어 얼렸다 두고 두고 쓰시면 되요. 그리고 멸치 육수에
    참치액이나 가다랭어 포 조금 넣고 끓이면 훌룡한 우동 국물 되고요~ 참고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3144 감기 초장에 잡자& 막내의 다이어트 :: 보름간 이런 저런 밥상.. 21 프리 2010.12.01 11,858 51
33143 장본 재료 모두 써서 요리 만들기[냉장고 비우기 요리법] - 보.. 7 유한 마담 2010.12.01 9,285 101
33142 고상하게 후랜취 뚜드흐레이저를 마십니다... (무료레시피첨가) .. 39 부관훼리 2010.12.01 13,699 80
33141 파삭함이 일품인 바게트와 하드롤 27 안젤라 2010.12.01 7,496 74
33140 첫눈내리던날 11 오란氏 2010.11.30 6,534 48
33139 1박2일 장흥 삼합 해 먹었어요...(사진 무) 9 졸린달마 2010.11.30 7,043 74
33138 어느 날의 간단한 저녁 상차림 18 LittleStar 2010.11.30 15,671 86
33137 사랑하는 딸의 점심입니다~(22편) 16 매력덩어리 2010.11.30 10,104 60
33136 굴 요리 7종 세트!! 13 유한 마담 2010.11.30 17,154 83
33135 동생과 함께한 가을날 16 소년공원 2010.11.30 9,233 54
33134 덕분에 김장 잘 마쳤어요. 3 미니모 2010.11.29 6,137 78
33133 난 비루한 쇤네 팔자 뿐이고... ㅠ_ㅠ 8 코나모르 2010.11.29 8,091 59
33132 요리책 이야기 1 15 미모로 애국 2010.11.29 8,921 71
33131 인천 차이나타운 15 minimi 2010.11.29 11,000 72
33130 저도 김밥 열다섯 줄 21 작은기쁨 2010.11.28 16,743 70
33129 김밥의 정석은 이런것이 아닐런지요~^^ 27 노니 2010.11.28 23,071 94
33128 망한빵+런던 크림티+도시락+푹신한 스콘 레서피 42 구박당한앤 2010.11.28 25,312 69
33127 김장했습니다. ^^ 5 이프로 2010.11.28 8,403 46
33126 쇠고기 탕수육 8 에스더 2010.11.28 9,590 73
33125 들깨부추수제비 5 아몬드 2010.11.28 6,614 39
33124 래디시 물김치 + 군고구마, 호떡 6 꿈꾸다 2010.11.27 7,293 65
33123 크랙이 멋진 땅콩샤브레와 기타등등 20 안젤라 2010.11.26 8,286 78
33122 송새벽도 울고갈... 24 코나모르 2010.11.26 12,921 71
33121 초간단 연어요리 4 돈데크만 2010.11.26 10,269 105
33120 미국 추수감사절 브런치와 디너 상차림 12 에스더 2010.11.26 15,940 73
33119 김장들은 하셨어요. 간편(?)김치 두가지 소개해요. 49 jasmine 2010.11.26 46,398 153
33118 귀차니즘에 빠졌어요.(사진 추가) 8 minimi 2010.11.26 6,739 85
33117 넘의 아들 생일이여서 똑을 만들었습니다 12 스페셜키드 2010.11.25 9,919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