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게으름 걷어내니 할일은 태산이요, 한일은 표시도 안나고.....

| 조회수 : 6,266 | 추천수 : 17
작성일 : 2007-10-06 14:26:02
   한동안 게으름과 간세(간새) 를  사이를 오고가다시피 하면서....

더이상 게을러 지면 안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

울집에 김치냉장고 들어 온지 딱 3개월이 되었네요.

3개월에 한번씩은 성애도 제거해야 된다고 어디선가 읽은 적이 었어서...

찹쌀 한되, 그리고 멥쌀 한되를 12시간 이상 담근 걸 가지고 방아간에도 갔다오고,

김냉 한쪽은 냉동 모드로 해논터라서... 그속에 고추가루와 마른 고추 황태포 등등은 제일 깊이

한통에 넣어 두었고,   또한통은 찹쌀과 멥쌀 한되씩 갈아서 5컵씩 정량으로 담아서 포장을 하니....

김치통이 하나 가득이고,  그런데 멥쌀은 한컵을 넣으니 찹쌀보다 좀 무겁네요....

방아간에서 물주기를 하고 한번 더 내려서 그런건가???






[예전에  제가 유성 네임펜인가 하는 걸로 적어서 두었는데 조금 시일이 경과 하다보니  지워 졌는지...
#쌀 이라고 보여. 당연히 전 멥쌀로  알고서...  떡을 만든적이인는데... 약간의 시루떡이 찰시루떡이
된적이 있어서 그뒤로는 아주 표시하고는 꼭 따로 적어 둡니다.]


어제 아침 우리딸 소풍을 가는데.....도시락 안싸주고 옷으로 사주면 좋겠다는 말이 있어서 .....
옷도 사주었겠다,하고 맘먹고 김밥재료도 롤 재료도 사지 않고 왔는데...

한밤중을 지나서 새벽이 되니 엄마의 마음이 그런게 아닌가 봅니다.

그래도 딸이 소풍을 가는데......
도시락을 안챙겨 주기가......
급조로해서 집에 있던 재료를 생각해보니  8월의 이벤트에서 본 안동댁님이 만드신

새우랑 오이랑 맛살이랑이 생각나서  도시락은  감자 샌드위치와 함께 만들어 주었네요.







도시락 싸주고서 원래는 그시간에 잠을 자야 하는데...

잘시간 지나서 그런지 오지 않는 잠을 청하기도 뭣하고 해서   식혜 만들기에 들어 갔습니다.

식혜를 직접 만들어 본지가 무지 오래 되었습니다.

10여년은 족히 지났네요.

앞집 삼촌이 건내준 식혜를 우리딸이 홀짝홀짝 마시길래 " 엄마가 만들어주랴~~"  했드만,

누구의 말처럼 내발등 내가 찍었네요.  "엄마도 식혜 만들줄알아~~" 하는게 아닙니까.

그래서 동네 슈퍼에서 아주 좋은 거라고 하시길래 엿기름(골가루)을  사왔네요.

그런데 이식혜  맛이 싱숭 맹숭하네요.

엿기름 3컵에다가  물은 삼다수 큰병 3병을 사용했어요.

물이 많은 건지...  발효는 밥통에서 3시간 30분정도 되니  쌀알이 7~8개 떠오를때 까지 발효 했는데..

발효가 덜 된건가요??  참고로 찹쌀밥은 125ml의 쌀를 넣고 밥을 고들고들하게 해서 했어요.













설탕은 처음 밥통에서 발효시킬때 반컵을 넣었구, 나중에 끓일때 한컵반을 넣었습니다.
어찌되었든 식혜맛이 약간은 심심하다고 할까 무엇인가 5%부족한듯 합니다.

그리고는 김냉 성애가 끼어서 통이 잘 들어 가지 않으려 합니다.
손댄김에 성애 제거까지 ~~~











이렇게 냉동고 정리를 하니 아주 기분이 좋은걸요~~~

그리고 제과 제빵할때 사용하는 재료들도 김치통 하나에다가 조금씩 남은 걸 모아봤네요.



<imgsrc="http://www.photoabyz.com/album2/500/user3/gmlwjd011/gmlwjd011_1191644182-1.jpg">
싱싱한 고등어 조금 작은 놈으로 세마리에 만원을 주고 샀는데...

그릴에 안굽고 무쇠팬에다 종이호일 깔고서 구워주었는데...
옆지기랑 한마리 다 먹었네요.  소금간이 아주 적게되어서 싱거운듯 아니듯해서~~~
냠~~냠하고  맛있다.



제주공룡원에서 ~~~~





















질문 하나 합니다.
오이가 나중에 뭃기가 많이 생겨서 그러는데..  오이 필러로 길게 밀어 놓고 소금에 살짝 절여주고
물기를 닸아야 되는건지~~~

우리딸은 도시락싸간거 오이와 새우 맛도 보지 못했다네요.......
1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카페라떼
    '07.10.6 3:16 PM

    들녘의 바람님 정말 부지런하십니다..
    저도 멥쌀 담궈놨는데...
    방앗간 갔다와야 하는데 귀차니즘이 자꾸 몰려들어오네요..
    저두..식혜 먹고 싶어요..
    한잔 주세요..

  • 2. 우향
    '07.10.6 3:40 PM

    너무너무 부지런하십니다.*^^*

  • 3. Bellissima
    '07.10.6 7:29 PM

    오이를 식초,설탕,소금에 살짝 절여서 키친타원에 꾹꾹눌러 물기를 제거하고 만들면
    더 잘 붙고 물기도 없더라구요^^

    아.. 배고프네요^^

    근데 전 식혜를 만들면.. 식혜색이 저렇지 않고 진갈색을 띄는데 왜그런걸까요?

  • 4. 하얀책
    '07.10.6 9:30 PM

    제주 공룡원 사진... 어쩜 저리 일제히 공중부양을 했는지요. ^^

  • 5. 콩선인장
    '07.10.6 11:14 PM

    맛있겠어요~~ 정성들어간 도시락 침넘어갑니다.

    식혜 끓일 때 생강을 편썰어 넣어 같이 끓여주면 맛이 더 나지요.

    식혜 색깔이 정말 맑고 이쁘네요.

  • 6. 들녘의바람
    '07.10.7 12:14 AM

    그러니까 어제 낮에 집에 오신 앞집 삼촌님께 여쭤보고 맛 좀 봐주십사 했드만,

    식혜 아주 잘되었는데 5%부족이 찰밥이 부족하다고 하네요.

    마시고 끝에 맛이 밥을 삿힌 맛이 나야 된다고....

    엿기름은 아주 좋다고 하십니다.

    자주 만들려구 합니다.

    그리고 저 부지런한 사람은 아닌데... 칭잔에 힘입어서 약간 오버 하는 것같아요.

    Bellissima님 !! 오이를 단촛물에 절여야 되는군요.

    바쁘게 하다 보니 그걸 찾진 못했네요.

    고맙습니다. 전 항상 82cook을 컴퓨터 켜면 열어 보는데....

    질문도 하고 궁금한것도 찾아보고......

    모두 감사 드립니다.

  • 7. 들녘의바람
    '07.10.7 12:15 AM

    그리고 하얀책님 제주공원에서 공중부양 시킨것

    우리딸과 친구들인데...

    이런 사진 자주 찍던데... 저는 잘 안되더라구요...

    이김에 배워두어야 하겠네요.

  • 8. 딸기야사랑해
    '07.10.7 1:10 PM

    질금(엿기름이죠) 에 비해 물의 양이 많아 뵈네요. 밥의 양도 적구요. 발효시간도 최소 6시간 최대 8시간 되야하고. 끓이는 시간도 최소10분 정도...은근 맛내기 어려운 식혜...^^ 너무 많이 끓이면 물엿 맛 납디다.

  • 9. 딸기야사랑해
    '07.10.7 1:10 PM

    참 !! 그나저나 도시락 사랑 가득 맛 가득...정말 멋지네요. ^^ 딸래미가 엄청 행복했을 거예요.

  • 10. 성은
    '07.10.8 4:35 PM

    엿기름의 양이 물에 비에 적네요 ...그런데 전 첨에 조물조물한 엿기름물을 따로 분리해 놓구서
    그물로 발효를 시키면 첫물이 달기 때문에 발효가 빠르게 되더라구요 딸기야....님처럼 6시간이상은 돼야 되는것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5006 도시락이에요. 9 은행나무 2007.10.09 9,687 48
25005 혹시 김치밥국(김치죽)이라고 아시나요? 89 rosa 2007.10.09 15,324 74
25004 두부버거 5 이윤경 2007.10.09 4,057 63
25003 세아이 엄마표, 피-이-자 9 ivegot3kids 2007.10.09 5,480 29
25002 퓨전 스타일(fusion style ) 상차림~` 23 P.V.chef 2007.10.09 9,293 30
25001 [E] 한국식 샐러드 11 라니 2007.10.09 7,441 55
25000 9살짜리 한 접시 저녁 1 어림짐작 2007.10.09 7,898 90
24999 9살짜리 아침에 밥 먹이기 3 어림짐작 2007.10.09 6,972 64
24998 단호박 케익 7 inblue 2007.10.08 5,353 52
24997 * 집들이용, 팥시루떡이예요~.^^* 10 바다의별 2007.10.08 6,077 51
24996 miki님 따라서 해본 호박 푸딩입니다. 7 하얀책 2007.10.08 5,385 41
24995 [E] 무진장 쉬운 새콤 상큼 새싹 샐러드 4 우훗 2007.10.08 5,379 25
24994 며느리가 좋아한다는 전어.. 2 망구 2007.10.08 3,619 38
24993 만능전골양념다대기 만드는법 42 경빈마마 2007.10.08 56,458 285
24992 김무전할머니표 김밥으로 싼 걸스카웃행사 도시락 19 아도로 2007.10.08 16,544 49
24991 10월6일 나오미네 저녁밥상 2 나오미 2007.10.08 6,389 55
24990 검정깨 참기름과 검정깨.. 그리고 늙은호박 8 들녘의바람 2007.10.08 4,418 33
24989 추석에 만들어 간 양갱 외... 8 상구맘 2007.10.07 7,833 39
24988 다들 매실 건지셨나요? 8 뿌요 2007.10.07 4,249 26
24987 남편을 위해...키톡복귀!!(보라돌이맘님의 쫄우동) 15 시심 2007.10.07 8,723 43
24986 들녘에서의 만찬 25 온새미로 2007.10.06 9,689 19
24985 간단 뚝딱 카레밥 7 프로방스 2007.10.06 5,851 86
24984 홍시랑 단호박이랑 5 금순이사과 2007.10.06 4,186 58
24983 입맛이 없는 날...양푼 비빔밥 7 우향 2007.10.06 5,698 8
24982 색다른 도라지 생채.. 2 내맘이야~ 2007.10.06 4,537 6
24981 게으름 걷어내니 할일은 태산이요, 한일은 표시도 안나고....... 10 들녘의바람 2007.10.06 6,266 17
24980 갑자기 쳐들어온 친구를 위한 식탁.... 3 ivegot3kids 2007.10.06 7,257 12
24979 삼겹살 샐러드 9 miki 2007.10.06 6,13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