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나 거기에 그들처럼-박노해 사진전

| 조회수 : 1,717 | 추천수 : 41
작성일 : 2010-10-09 13:35:44

  
금요일 역사모임 가는 날, 만약 예술의 전당에서 하는 음악회가 있다면 점심 식사후에 영화 한 편 보고

강남 교보에서 새로 나온 책 구경하고, 서초동에 가면 딱 좋겠다 그렇게 대강 하루 코스를 정하고 나섰습니다.

그런데 알고보니 음악회 장소가 금호 아트홀이라고요, 그래서 순간적으로 마음을 바꾸어서 박노해 사진전

그리고 학고재의 전시를 보면 딱 맞겠다 싶더라고요.

만약 영화관이었다면 캘리님은 집에 들어갔다 다시 나왔을텐데 사진전과 학고재에 갈 생각이라고 하니

그렇다면 나도 하고  길동무가 되었습니다.






처음 그의 시를 읽었을 때의 충격이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나는군요.

그리고 또 한 가지 이름이 특이하다고 생각했었는데 알고 보니 본명은 다른 이름이고 노동 해방의 그 날까지

그런 의미를 담은 필명이라고 들었습니다. 이상하게 몸 쓰는 일에 서툰 저는 육체노동에 대한 상당한 기피

증세가 있어서 반복적으로 일해야 하는 공장 노동이 농작물을 키우는 농사보다 더 어렵고 힘든 일이

아닐까, 더구나 농업은 손수 키운 작물에서 생명이 자라는 전 과정을 지켜보는 즐거움이 있지만

공장노동은 결과물이 자신의 것도 아닌, 참으로 험한 일이 아닐까 막연하게 그렇게 생각하고 있던 차에

노동자의 삶을 들여다보고 고민하고 그들에 대해서 마음속에 담고 생각할 수 있는 강력한 시에

마음속에 폭풍이 일었거든요. 어찌 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해도 그들 세계에 대해서 도망가지 않고

고민하게 했던 시인, 그래서 제겐 잊을 수 없는 이름이었습니다.



사노맹 사건으로 오랫동안 수감되었던 그가 출소하고 나서 낸 에세이집에서 그가  정신적으로 많이

성숙했구나, 그렇지만 함께 일했던 동료들로부터는 일종의 변절? 혹은 나이브하게 변한 것이 아닌가

오해받기 딱 맞는 상황일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도 했지요. 그렇지만 그 뒤론 그에 대해서  별다른

이야기를 듣지 못하고 세월이 흘러가던 어느 날  나눔 문화라는 것을 만들어서 활동한다는 것을 알았지요.



나는 대학을 그만둔다고 선언하고 대학을 스스로 박차고 나온 김예슬씨가  그 뒤 활동하는 공간이 나눔문화라는

것을 알고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진심을 다해 일하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가득했습니다.




지금 나는 내가 하는 일만으로도 벅차다고 ,그러니 각자 자신이 선 자리에서 하는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그 뒤론 발걸음을 하지 않고 있었지만 마음속에 그 속의 이야기는 남아있었던 차에

신문에서 사진전 소식을 들었습니다.



마침 지난 목요일 역사시간에 현대사속의 아프리카에 관한 글을 읽었습니다. 서구인의 시각으로 쓴 아프리카

이야기와 박노해의 이야기로 서술된 아프리카는 과연 이 곳이 같은 곳인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들더군요.

그러니 역사는 중립적이거나 객관적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일까요?



처음에는 아이들이 노는 장면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설명을 보니 무두질을 하는 장면이더라고요.

이 사진전에서 사진과 글의 절묘한 어울림이 다른 사진전과는 사뭇 다른 점이었습니다.

글로 다 표현할 수 없어서 사진을 찍었노라는 시인의 말처럼 빛으로 쓴 경애의 시라는 말이 딱 맞는 전시였어요.

그래서 사진과 더불어 글을 읽느라 그리고 다시 돌아가서 사진을 보느라 다른 날보다 훨씬 전시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낸 전시이기도 했습니다.



사진에 맞은 편의 사진이 겹쳐 보이기도 하고 맞은 편에서 보고 있는 사람들의 실루엣도 겹쳐서 묘한

사진이 되고 말았지만 저는 오히려 그런 것을 잡아서 표현하는 것이 더 좋았습니다. 그 공간의 분위기를

살릴 수 있으니까요.



철로변의 노점상, 나무 그늘 아래의 카페, 시장, 아이들이 노는 놀이터라고 부를 수 없지만 놀이 공간이 되는 곳

이렇게 공간이 이용되는 방식이 다른 곳을 바라보면서 우리가 머리속에 형성한 관념이 깨지는 경험을 하는

곳이기도 했지요.



수단에서 시인에게 들어와서 차 한 잔 하고 가라고 권한 수다니, -수단의 여성인지 수단의 어머니란 뜻인지

벌써 가물가물하지만 -라고 하네요. 낯선 사람에게 권하는 차 한 잔의 의미..



어제 그랜드 시네마 앞에서 영화상영 프로그램을 바라보다가 두 편의 새로운 영화 정보를 읽게 되었습니다.

하나는 축구로 하나는 악기로 아프리카에서 고난의 삶을 사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전한 두 사람의 한국인과

그들의 이야기를 다룬 다큐멘터리에 가까운 영화였습니다.

그런데 사진전에서도 축구공이 단순히 공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아이들에게 삶에의 끈이 되는 혹은

삶의 생명력을 자극하는 그런 도구로 그려져 있더라고요.














전시장안에 다양한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런 사람들 각각의 표정을 찍어보고 싶었으나  결레가 되지

않아야 해서 조심스럽게 찍었지요. 그 중에서 마음에 드는 사진을 몇 장 골랐습니다.

사진전시장 안에서 만난 마음을 뒤흔들거나 감동을 주는 사진들, 안쓰러운 마음에 차마 발길을 옮기기

힘든 표정의 사람들, 아 거기가 바로 역사의 시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이로구나 ,아 여기가 바로 문병의

시작점이네 이렇게 놀라서 다시 다가가게 만든 사진들.이야기가 넘쳐 흘러 한 번에 다 소개하기엔

무리가 있네요. 밤에 들어와서 다시 찬찬히 한 번 더 보고  ,조금 더 이야기하고 싶네요.

주말에 어디갈까 정하지 못한 사람들이 있다면 가족과 함께 아니면 친구와 함께, 아니면 혼자서

사진속의 사람들을 만나는 의미있는 시간을 보내는 것은 어떨까요?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살림열공
    '10.10.9 4:58 PM

    어제 같이 계시던 분이 켈리님이셨던가요?
    다른 분 같았는데...
    어제 아주 잠깐 이지만 얼굴 뵈어 기뻣습니다.
    전 삼청동에서 친구 잠깐 만나고 홍대 앞으로 가던 참이었어요.
    홍대 그 강의실에서 금요일마다 정윤수 선생님이 하시는 클래식 관련 수업을 듣고 있답니다.
    어젠 바그너와 브람스에 대해서 이야기 듣고 그들의 주요 작품을 연주한 공연실황을 보았어요. 클래식 역사 속의 주요 곡들이 어떤 배경으로 만들어졌는지 통사적으로 훑어가는 수업입니다.
    다음주에는 말러와 바르톡에 대한 이야기를 해 주신다고 하여 기대가 큽니다. ^^
    당분간은 강의 안 듣고 외부활동을 줄이려 했는데 정윤수 샘의 강의는 꼭 듣고 싶어서 듣고 있는 거랍니다.

  • 2. 곰돌이
    '10.10.9 11:15 PM

    박기평...

  • 3. intotheself
    '10.10.10 1:09 AM

    살림열공님

    차속에서 스쳐 지나가면서도 얼굴을 알아보고 불러서, 얼마나 놀랐던지요.

    그 날 현대갤러리에서 작년에 작고한 화가라고, 전시가 있었습니다.사실은 문을 닫으려고

    하는 시간인데 여럿이서 보고 싶어하니 들어오라고 하더라고요. 그런 여유가 좋아서

    그 안에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사람이 살면서 그런 절묘한 틈을 만들어가는 것

    정윤수씨의 글을 한겨레신문에서 한참을 잘 읽었답니다. 그래서 그가 음악에 대해 쓴 글이

    있다고 해서 읽어보려고 마음먹고 있어요. 요즘 음악회는 무엇을 들으러 다니는지요?

  • 4. 안나돌리
    '10.10.10 6:25 AM

    인투님
    셋째 금요일 시간이 된다면
    아네모 모임 벙개를 앞당겨 볼까 하는 데...연락주시길^^

  • 5. 땡아저씨
    '10.10.30 12:05 PM

    사진공부 열심히하는 1인.
    흑백사진은 언제봐도 정겨운것같아요.
    특히 옛날사진은 더욱더 좋구요.
    예전 필카시절에 흑백사진을 찍은 경험때문인가요?
    요즘은 디지털에 포토샾이 있어서 굳이 필요가 없지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3978 나 거기에 그들처럼-박노해 사진전 5 intotheself 2010.10.09 1,717 41
13977 우리나라 가장 아름다운 성당중 하나라는~ 공세리성당 8 안나돌리 2010.10.09 2,532 59
13976 행복하시죠?.. 2 서티9 2010.10.09 1,730 102
13975 아름다운 동반자... 6 카루소 2010.10.08 2,759 74
13974 '내가 사랑하는 사람' 을 가을에 다시 만나다...- 8 보리 2010.10.08 1,886 68
13973 여행자의 노래, 그리고 for you 3 intotheself 2010.10.08 2,059 42
13972 이렇게 멋질수가....@!@ 8 마실쟁이 2010.10.07 2,458 92
13971 등이 휠 것같은... 13 카루소 2010.10.07 3,431 65
13970 백운산 야영장의 아침 7 여진이 아빠 2010.10.07 2,238 78
13969 일상에서의 관성의 법칙 1 intotheself 2010.10.07 1,726 64
13968 고들빼기꽃&주목열매 9 wrtour 2010.10.07 2,632 79
13967 철학공부? 3 노니 2010.10.07 1,879 74
13966 파래 부침개도 있다고요? 4 intotheself 2010.10.07 2,302 57
13965 지리산편지(8) 스트레스 날리기 1 지리산노섬뜰 2010.10.06 1,711 79
13964 올림픽 공원 장미 축제 7 청미래 2010.10.06 2,002 91
13963 나일강에서 5 예쁜솔 2010.10.06 1,715 96
13962 분리 수거 후 ,동네 한 바퀴 4 intotheself 2010.10.06 1,798 43
13961 이집트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구경하기 8 예쁜솔 2010.10.06 2,119 79
13960 말벌의 종류 4 철리향 2010.10.05 5,251 90
13959 능이버섯 생김새... 1 어랍쇼! 2010.10.05 2,299 114
13958 얼마전에야 82쿡을 알게 되었지 모예요ㅠ.ㅠ 쭌쭌사랑 2010.10.05 2,064 98
13957 돈덩어리는 무겁지 않아 3 어부현종 2010.10.05 1,991 103
13956 화요일, 집에서 철학 공부를 한 날 intotheself 2010.10.05 1,798 81
13955 니들이 엄마 잘못만나 고생이 많다!ㅋㅋ 9 안나돌리 2010.10.05 2,191 60
13954 아름다운 동행 - 처남이 아름다운 동행을 시작합니다. 축하해주세.. 9 미실란 2010.10.05 2,154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