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바다의 채소 감태를 아시나요?

| 조회수 : 9,421 | 추천수 : 56
작성일 : 2010-11-05 23:08:27
메생이나 파래는 아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감태는
전반적으로 모르시더군요.
생소하신분들이 많고 요리에 대해 82에서도 키친토크에선 없네요.
해서 집사람이 담은 것 올려 볼께요.


메생이는 주로 국끓어 먹을때 넣어먹으면 좋지요.
메생이보단 감태는 굵어요.
간장 ,참기름,  복끈 깨를 넣어 양념을 맞추었어요.

파래는 초묻힘을 주로 해서 먹었드랬는데...
감태는 파래보단 가늘어요.
담아서  먹으면 바다 냄새가 그렇게도 나는가봐요. (전 코맹)








감태란 무엇인가?
원명은 가시 파래 옛날부터 입맛 잃은분 들이 잡수셨던 식품입니다
분포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 1∼2m이고 기부는 뿌리 모양을 이루며
줄기 끝에 측엽편(을 가진 하나의 편평한 잎이 있다.
이 중앙엽의 길이는 1m 정도이며 양쪽에 우상의 작은잎이 분지된다.
중앙엽은 두껍고 혁질이며 갈색이다.
유체는 봄에 나타나고 초년에는 줄기의 길이 5~10cm 지름
5mm 중앙엽의 길이 20~30cm 너비 4cm 정도로 되고
2년째의 가을에 중앙엽에 형성된 자낭군에서 중앙엽은 소실되고 줄기만으로 있다가
구엽의 자리에 새 중앙엽이 만들어진다.
조장을 구성하는 중요한 종류로서 전복 소라 등의 먹이가 된다.
알긴산이나 요오드 칼륨 제조의 주요 원료가 되기도 한다.



*감태김치와 감태지 만들기

감태는 씻지 않으셔도 되구요

요리전에 한번 씻어주면 좋습니다.
양념방법은 기호도에 따라 다양함

마늘을 적당히 빻아 넣고, 대파 썰어 넣고, 풋고추와 붉은 고추를 썰어 넣고 굵은 소금 약간 넣어 간 을 맟춥니다.
그 외는 어떤 양념도 필요 없습니다.
.외간장, 참기름은 넉넉히 , 깨소금, 고추가루 약간 넣어서 섞어드세요.
한꺼번에 모두 무치시지 말고, 조금씩 무쳐서 드세요.

*감태굴국 만들기
무는 너무 가늘게 하지 말고 적당히 굵게 채 썰어 둡니다.
글고 잔파는 작게 잘라 두고, 마른 감태는 손으로 4cm정도로 뜯어 둡니다.
생굴은 연한 소금물에 흔들어서 씻어서 물기를 빼 둡니다.
멸치와 다시마 다시물을 충분히 만들어 둡니다.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채 썬 무를 국간장을 넣고 볶습니다.
숨이 약간 죽으면 다시물을 분량데로 넣고 끓입니다.
무가 끓으면 마른 감태를 넣고 끓으면 굴을 넣고 한소끔 더 끓인 다음 잔파를 넣고 불을 끕니 다.
이때 모자라는 간은 소금으로 해 주세요.
.무와 굴이 들어가서 더욱 시원하고 향긋한 감태의 바다내음도 좋습니다.
해장국으로도 그만 이겠습니다.
굴은 제일 나중에 넣어야 향도 날아가지 않고 모양도 살아 있습니다.
모자라는 간은 소금으로 해야 시원한 맛이 납니다.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janicekim
    '10.11.5 11:47 PM

    배꼽만 보여요. ^^ 매생이보다는 굵고 파래보다는 가늘다라...구별하기 쉽지 않겠는데요? 근데 사진상이라 그런가 색상이 좀 틀린 것도 같아요.

  • 2. inverso
    '10.11.6 12:24 AM

    감태 어릴때 많이 먹었는데... 커서 서울로 상경한 후로는 10년 넘게 먹어본적이 없네요...
    아.. 먹고파라..

  • 3. james kim
    '10.11.6 3:31 AM

    저도 어렸을 적 고향이 남도 섬이라서 많이 먹고 감태 뜯으러 겟가에 갔었던 기억이 납니다.
    사진으로 보니 잘 삭인 것 같군요.
    보리밥 한 숟갈에 올려 먹으면 세상에 그보다 맛있는 것 없죠.

  • 4. 아줌마
    '10.11.6 12:48 PM

    몇년전에 감태김을 먹어본적이 있어요
    지인이 고향섬에서 왔다고 줬는데 일반김이랑 같은데 거칠더군요
    그냥 살짝 구어서 먹는데 향이 긑내주더만요
    또 먹고 싶어요

  • 5. 철리향
    '10.11.7 9:00 AM

    감태에 대한 추억들이 많으시군요.
    전 코맹이라서 향을 몰라요. ^^*
    향이 바다 향이라고도 하는데 도체 뭔말인지....

  • 6. 소국
    '10.11.7 12:42 PM

    매생이를 접하게 된지도 몇년 되지 않은데 감태는 더 생소하네요...맛이 어떠할지 궁금합니당 ^^

  • 7. 아따맘마
    '10.11.7 9:01 PM

    친정아버지 고향이 전남 신안이라서 감태 자주 먹어요.
    말려서 뭉치로 가져오시는데 뜯어서 그냥 먹어도 맛나구요.
    그걸 간장에 찍어먹어도 좋더라구요.
    메셍이는 먹어보지 않았지만 엄마가 조물조물 무쳐주시는 감태무침..
    입맛 돋우는 겨울음식이지요.

  • 8. 철리향
    '11.2.11 1:33 PM

    어려서 간식거리 없었을때 겨울에 말린 감태를 많이 먹었던 추억이 새롭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3032 참 그렇답니다 :: 대구탕, 병어감자조림, 돼지불고기, 버섯볶음.. 27 프리 2010.11.08 11,103 89
33031 이글루스 활용해서 82쿡에 이미지 올리기!! (도움될까 해서 올.. 4 에버너스 2010.11.08 3,263 94
33030 점점 추워지지만, 그래도 늘 따뜻한 아침밥상...^^ 37 보라돌이맘 2010.11.08 16,636 110
33029 기름진 음식들...- -; 15 옥수수콩 2010.11.08 7,598 86
33028 우리집 저녁 식탁 :: 건강밥상보다 중요한 건 소식(小食)이지만.. 24 LittleStar 2010.11.08 22,373 103
33027 여자의 삶 :: 오이맛고추와 샐러리, 낙지칠리소스조림, 아롱사태.. 8 프리 2010.11.08 7,202 72
33026 [종로5가 닭한마리] 이번주는 낙엽 경보주간..... 15 노니 2010.11.07 7,751 64
33025 나만의 고구마 맛땅..ㅎㅎ 4 얼떨떨 2010.11.07 7,144 79
33024 부엌에서 꼽사리 껴서 요리하기 6 나비 2010.11.07 6,995 86
33023 장어덮밥과 칠리새우 2 이프로 2010.11.07 3,974 54
33022 제가 드디어 깍두기를 만들었답니다!! 6 소국 2010.11.07 5,583 78
33021 빈 껍데기 게로 만든 미국식 꽃게찜 3 에스더 2010.11.07 5,286 108
33020 고독구절판 21 아몬드 2010.11.07 7,786 1
33019 신혼의 요리재미 1 에버너스 2010.11.07 6,012 81
33018 주말엔..... 잘 먹자주의 :: 꽃게탕, 삼겹살된장소스구이, .. 16 프리 2010.11.06 10,315 62
33017 녹두질경이죽 아시나요? 8 젊은그대 2010.11.06 3,992 82
33016 바다의 채소 감태를 아시나요? 8 철리향 2010.11.05 9,421 56
33015 1박2일과 함께한 일요일 저녁밥상 ^^ 9 소국 2010.11.05 11,822 84
33014 가을비 내리는 날의 꽈리고추찜 13 에스더 2010.11.05 8,387 78
33013 콸콸콸 하는 노래가 뭐니? :: 동그랑땡, 감자채전, 무나물, .. 19 프리 2010.11.05 12,386 72
33012 그들이 결혼하게 된 이유 ㅡㅡ;; 42 마리s 2010.11.05 20,297 109
33011 거저먹은 밥상 9 훈이민이 2010.11.04 8,740 87
33010 돈까스 만들기(된장이 쓸데가 많더라) 23 국제백수 2010.11.04 11,951 109
33009 스크램블드 에그와 쇠고기 찹쌀구이 49 옥수수콩 2010.11.04 8,326 98
33008 우리집 주말 저녁 상차림~~ 12 소국 2010.11.04 10,363 92
33007 단촐한 자취 식단 공개, 사과 타르트 49 벚꽃동산 2010.11.04 7,696 1
33006 광어 간장 조림..^^ 8 동물원 2010.11.03 6,973 67
33005 온전하게 나만을 위한 밥상 차려먹기 32 프리 2010.11.03 13,246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