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으로 모르시더군요.
생소하신분들이 많고 요리에 대해 82에서도 키친토크에선 없네요.
해서 집사람이 담은 것 올려 볼께요.

메생이는 주로 국끓어 먹을때 넣어먹으면 좋지요.
메생이보단 감태는 굵어요.
간장 ,참기름, 복끈 깨를 넣어 양념을 맞추었어요.

파래는 초묻힘을 주로 해서 먹었드랬는데...
감태는 파래보단 가늘어요.
담아서 먹으면 바다 냄새가 그렇게도 나는가봐요. (전 코맹)






감태란 무엇인가?
원명은 가시 파래 옛날부터 입맛 잃은분 들이 잡수셨던 식품입니다
분포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 1∼2m이고 기부는 뿌리 모양을 이루며
줄기 끝에 측엽편(을 가진 하나의 편평한 잎이 있다.
이 중앙엽의 길이는 1m 정도이며 양쪽에 우상의 작은잎이 분지된다.
중앙엽은 두껍고 혁질이며 갈색이다.
유체는 봄에 나타나고 초년에는 줄기의 길이 5~10cm 지름
5mm 중앙엽의 길이 20~30cm 너비 4cm 정도로 되고
2년째의 가을에 중앙엽에 형성된 자낭군에서 중앙엽은 소실되고 줄기만으로 있다가
구엽의 자리에 새 중앙엽이 만들어진다.
조장을 구성하는 중요한 종류로서 전복 소라 등의 먹이가 된다.
알긴산이나 요오드 칼륨 제조의 주요 원료가 되기도 한다.
*감태김치와 감태지 만들기
감태는 씻지 않으셔도 되구요
요리전에 한번 씻어주면 좋습니다.
양념방법은 기호도에 따라 다양함
마늘을 적당히 빻아 넣고, 대파 썰어 넣고, 풋고추와 붉은 고추를 썰어 넣고 굵은 소금 약간 넣어 간 을 맟춥니다.
그 외는 어떤 양념도 필요 없습니다.
.외간장, 참기름은 넉넉히 , 깨소금, 고추가루 약간 넣어서 섞어드세요.
한꺼번에 모두 무치시지 말고, 조금씩 무쳐서 드세요.
*감태굴국 만들기
무는 너무 가늘게 하지 말고 적당히 굵게 채 썰어 둡니다.
글고 잔파는 작게 잘라 두고, 마른 감태는 손으로 4cm정도로 뜯어 둡니다.
생굴은 연한 소금물에 흔들어서 씻어서 물기를 빼 둡니다.
멸치와 다시마 다시물을 충분히 만들어 둡니다.
냄비에 참기름을 두르고 채 썬 무를 국간장을 넣고 볶습니다.
숨이 약간 죽으면 다시물을 분량데로 넣고 끓입니다.
무가 끓으면 마른 감태를 넣고 끓으면 굴을 넣고 한소끔 더 끓인 다음 잔파를 넣고 불을 끕니 다.
이때 모자라는 간은 소금으로 해 주세요.
.무와 굴이 들어가서 더욱 시원하고 향긋한 감태의 바다내음도 좋습니다.
해장국으로도 그만 이겠습니다.
굴은 제일 나중에 넣어야 향도 날아가지 않고 모양도 살아 있습니다.
모자라는 간은 소금으로 해야 시원한 맛이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