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김밥 + 감자전 + 달걀국

| 조회수 : 12,313 | 추천수 : 87
작성일 : 2009-06-17 12:54:14
남편이 출장가고 없는 날...
집에는 달랑 두 딸과 나...온통 여자들 뿐^^

이런 날... 우리는 남편 몰래... 남편이 싫어하는 음식을 해먹는답니다.
남편은 김밥을 잘 안 먹어요. 얘들 학교에서 소풍을 가는 날도... 김밥싸면서 한쪽에선... 남편을 위한 한정식 한상차림이 준비되곤 했지요. 오늘은 소풍은 안 가지만... 김밥 먹은지도.. 오백만년은 된 듯하여..김밥을 아침부터 쌉니다.

우리 집 막내... 여러 가지 욕심이 많은 아이인데... 소풍가는 날이면... 주문이 들어옵니다.
오늘은...김밥하고 유부초밥하고 주먹밥하고 그렇게만 싸주세요. 라든가.. 아님.... 김밥하고 야끼 오니기리만 싸주시면 되요.. 이렇게요.. 꼭 식당에서 주문받는 듯하지요.ㅎㅎ

그 속내야... 뻔하죠... 친구들한테... 와아~~~ 이 소리를 꼭 들어야 속이 시원하거든요..
그 마음에 부응하여... 열심히 싸대곤 했는데.... 이젠 그것도.... 아름다운 추억이 되고 말았어요.

오늘은 그 날을... 추억하며 김밥을 쌉니다.

오늘의 메뉴는... 우리집식 김밥...하고 귀염누드김밥 두가지 할 거에요.
유부초밥이랑.... 주먹밥, 야끼 오니기리... 이런 것 다 하기엔 이젠 체력이..... 바닥인지라~~~

우리 나라 음식에서 맛있는 밥 짓기가.... 중요하듯...김밥도... 제일 먼저 밥을 맛있게 잘 지어야겠죠?

쌀은 30분 불린 쌀로.... 오늘 분량은.... 불린 쌀 3컵에 물은 1+3/4컵 정도면 딱 적당해요.
김밥용 밥은 그냥 밥보다는 고슬고슬하게 지어야  좋아요.
전 그냥 압력밥솥에 했지만 김밥용 밥은 냄비밥이 더 좋아요.
불린 쌀을 솥에 안치고... 다시마 한 조각과 청주 한 술 넣고 밥을 짓습니다.
냄비로 할 때는 다시마.. 쌀이 끓어 오르면... 건져내세요. 다시마는 오래 끓이면 떫은 맛이 나거든요.
하지만 저처럼 압력밥솥에 할 때는 그냥..하는 거죠...



밥을 안쳐놓고... 계란 지단부터 부쳐야겠네요. 계란 지단을 부칠 때는 막을 제거해주어야 하는데... 거품기로 하면.... 거품이 생겨서..나중에 곱게 지단이 부쳐지지 않아요. 저처럼... 가위를 가지고... 위 아래로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가위질을 여러번 반복하면 쉽게 막이 제거되거든요.







계란물을 조금 더 곱게 해도 좋지만.. 갈 길이 바쁜 관계로... 대충 했네요... ㅠ.ㅠ
계란을...풀어놓고... 소고기80g도... 곱게 다져서.... 밑간(생강술 1작은술, 설탕 1작은술)을 합니다.
간을 할 때 여러분은 어떤 간부터 하세요?

요리는... 정성이 최고이고.. 재료도 좋아야 하지만... 요리는 과학이기도 해요.
요리에는 기본 공식같은 것이 있답니다...
늘... 설탕 > 간장, 소금...의 공식을 머리속에 숙지하시면 좋아요.

오늘 고기 재울 때 밑간도... 설탕부터 들어가요.  그렇게 잠시 재웠다가... 다진 파 1작은술, 마늘 1/2작은술, 후추 약간을 뿌리고 나서... 맨 마지막에 진간장 1작은술, 깨소금, 참기름으로..고기를 재워야 간도 잘 배고 맛도 잘 들게 되지요.
우리가 흔히 쓰는 간장에도 2가지가 있는 것 아시죠?
아마... 새댁들은... 뭐가 뭔지 몰라... 조림할 때건.... 초간장으로 찍어 먹을 깨건... 아무거나 쓸지 모르지만...
생으로 먹는 간장은 우리가 양조간장이라고 하는 것을 쓰구요.
불로 조리거나 익히거나 할 때 쓰는 간장은 진간장을 쓰면 됩니다.
헷갈리지 마세요~~~

그리고 고기를 재울 때... 좋은 고기라면...오래 재울 필요가 없어요. 30분~1시간이면 딱 적당합니다.
수입고기라든지..신선하지 못한 고기는... 양념이 오래 배이도록 두어야 냄새도 제거되고, 맛도 좋아지지만요..








고기를 재워놓았으면... 다시 계란 지단차례....
계란 지단은.... 녹말가루를 쓰지 않고..계란 자체만으로 해야 더 맛은 있지만...볼륨감이 없어서... 일본 계란지단처럼 볼륨감있게 만들기 위해 녹말가루를 쓰는데요. 계란지단에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많이 쓰는 감자녹말이 아니라.. 옥수수녹말을 써야 더 좋아요.
더 매끈하다고 할까요?
전... 저렇게 통에 담아서... 유효기간을 위에 써 놓아요... 원래 봉투가 없어지면... 모르잖아요...
글씨가 휘갈겨서 거시기 하네요...ㅎㅎ



계란 3개이면..녹말가루 3큰술에 물 3큰술을 혼합한 녹말물을 계란에 부어서... 쓰면 되는데요.
전... 그냥..녹말가루 2큰술에 물 2큰술로 했더니 볼륨감이 조금 떨어지네요...ㅎㅎㅎ




이제 밥이 다 되어 가네요.
김밥에는 양념하는 방법이 두가지 있어요.
하나는... 소금하고 참기름, 깨소금으로 고소하게 하는 방법이고요.
또 하나는.... 배합초(단촛물)에.... 버무리는 방법인데... 자기가 좋아하는 대로 하면 되지만...
날이 더운 요즘같은 때는
배합초를 섞은 초밥이 훨씬 보존에도 유리하고 맛도 좋은 것 같아요.
저는 오늘 배합초에 섞을 건데요.
배합초에 섞을 때는..뜨거운 밥에다 휘리릭~~~ 섞어서 식혀주어야 해요.
그래서.... 밥 식힐 통도 준비해놓고...
저 밑에 깐 것은..시루밑이라고 해요.. 왜 떡 찔 때... 달라붙지 말라고... 까는 거요.
시루밑이...조금 작은 이유는.. 제 찜솥 사이즈에 맞춰서 잘라놓았기 때문에....ㅎㅎ




이젠 김밥 소를 준비합니다.
우선 시금치 나물...
파릇파릇 데쳐졌지요?
나물이 담길 만큼의 물을 끓이다.... 소금 조금 넣고... 다 끓었으면 불 끄고...
그냥 시금치를 젓가락으로 뒤적뒤적해가면 슬쩍 데쳐야 파릇합니다.
끓이지 마세요...



김밥에는 오이도 꼭 들어가야 향긋하고....씹히는 맛이 좋아요.
오이 한개를 길게 썰어서.... 반으로 가르고 그리고 다시 반으로 가르는 식으로 굵기를 보아가며...
모두 8~10조각으로 만들면 적당...







이렇게 자른 오이를... 소금간을 일반적으로 하실지 모르겠지만..
전 배합초를 가지고 잠시 간이 배게 절일 거예요.
요리할 때.... 꼭 상비해놓고 쓰면 좋은 필수 양념 몇가지가 있는데요. 배합초도 그 중 하나에요.
이따 밥에 배합초를 붓고 밥 간도 할 거구요. 이렇게 오이도 양념하기도 하지만...
반찬할 때... 야채를 새콤달콤한 맛을 내야 할 때.. 만들어놓은 배합초를 쓰면 일일이.... 계량해서 안 해도 되거든요.
오이 옆에... 이금기 유리소스통이 제 배합초 보관통입니다.
항상 저 통에 한 가득 만들어 놓고.... 쓰곤 하지요.




오이가 절여지는 동안.. 밥이 다 되었네요.
다시마 거둬내고.....
배합초 8큰술을 뜨거운 상태의 밥에 넣어 주걱으로 뒤적뒤적 버무리면서..밥을 식혀줘야... 밥에 윤기도 좌르르~~
맛도... 휘리릭...들지요.








김밥 소야... 뭐 좋아하는 뭐든 넣어도 상관 없어요.
전.... 어묵 꼭 들어가야 맛있어요.
사실.... 이 어묵...쓰지 말아야 하지만....
여러분은 식재료 사실 때... 제품에 표기된.... 성분표를 꼼꼼이 읽어보고 사시나요?

사실... 요즘 가지가지 현대병이 많아지는 이유중 하나가...우리가 편리함을 추구하고... 더 맛있는 것.. 맛.. 맛을 추구하다 보니...
만드는 사측에서야.... 편리한 방법으로... 가지가지 식품첨가물을 넣어서.... 먹지 말아야 할 것들을 우리가 엄청 소비하고 있기 때문일 거에요.

어제 김밥 할려고 산 어묵 뒤 성분표도 자세히 보면.... 깜짝 놀라게 되지요.
오늘 어묵성분표입니다.... 연육(수입산 어육, 백설탕,D-소르비톨, 산도조절제) 소맥분, 정제염, 엘-글루타민산나트륨, 디-키실로스, 어묵맛시즈닝, 소르빈산칼륨(합성보존료), 글루코노델타락톤, 산도조절제 , 효소처리스테비아,
이렇게 들어있네요..그리고 어육이 몇프로인지는 아예 씌여있지도 않아요..물론 대기업이라고 믿을 것은 못되지만.. 대기업 제품이 그렇습니다.

그런데도.. 전 어묵이 들어가야 맛이 있으니 어쩝니까?
(사실...전 어묵도 가끔 집에서 만들어 먹는데.. 일체의 식품 첨가물 넣지 않고.... 맛있게 만들어 먹을 수 있어요..조금 귀찮긴 하지만요...) 오늘 어묵... 그나마... 식품 첨가물을 제거하려고...물에 데쳐 냅니다.(그러면 조금은 적어진다고 하더라구요...)



데친 어묵2장 에.... 다른 것 할 필요없이
조림간장 1술하고 고추가루 1술 넣어서 살짝 졸여주면 되고요..

시금치 나물은 홈메이드 맛소금 1작은술, 깨소금, 참기름만 넣어서 조물조물 무치고요..
김밥 소에 들어갈 재료도 일일이 다 밑간을 해 주어야.. 간도 잘 배고..맛도 좋아요.



30분 정도 재운 고기도.... 스텐 볼에 달달 볶고.....





오늘 김밥 싸기 전에.... 귀염누드롤을 하나 말아줄 거에요.
우리집 아이들이... 이 롤을 보고 귀엽다고 해서.. 이름이 귀염누드롤이 되었어요...ㅎㅎ
이거 아주 간단해요.
오이채하고 크래미 잘게 찢어서....
마요네즈하고.... 무쳐서 말면 되는 거라...
마요네즈는 시판 마요네즈를 쓰면 좀 느끼하겠지만.. 전 그냥 제가 땅콩하고 갈아서 만든 것이라.... 덜 느끼하고 맛도 더 좋거든요.
만약 마요네즈를 싫어하거나..... 없으면 칠리소스 같은 것으로 버무려도 좋겠죠?




마요네즈라... 백후추도 갈아서 조금 넣어주었고요..



김발 위에..랩을 깔고..
밥을 올리고..김 3/4장을 잘라서 깔고..그 위에 버무린 마요네즈를 올려주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올려서 돌돌 말면 이런 모양이 나와요.





김밥 소도 나란히 나란히 정리해놓고....
돈도 다시 한번 깨끗하게 씻고...
말 준비 시작~~~~




http://blog.naver.com/hwa1875/120071028824br / br / 그래서 그거 깔고 맨 위엔.... 단무지 한줄..br / 파란(오이)->황태채(빨간)->단무지(노랑)- >밥(흰색)->김(검정)...나름 오방색이죠.. ㅎㅎㅎ  
한국의 멋..오방색요...













김밥만 먹기엔..뭔가 2%가 부족한 것 같아서...감자전도 부쳤어요
감자전... 전... 강판에 갈아서 합니다.
믹서에 갈면..물만 많이 나오고 질감도... 안 좋아요.
전 이런 아나로그 방식이 요리에선 훨씬 좋아요.
감자 2개 강판에 갈아서... 감자녹말 고봉 한 술 넣고.... 소금 약간 뿌려서..반죽...
아까 지단 부친 사각스텐팬에 부쳤습니다.





전..감자전은 도톰하게 좋아요..다른 전은 얇게 부치는 게 좋은데... 감자전은 도톰하게.... 부쳐야 더 쫄깃거리고 맛있더라구요.






2% 부족한 것... 감자 전으로 채워도... 1%는 부족한 것 같아서리....
달걀 국도 끓였어요.
멸치육수 내서... 마른 새우 넣고... 달걀 푼 것을 줄알친다고 하죠...
이것도 약간의 요령만 터득하면.. 부드럽고.... 이쁜 계란국이 되지요.




남은 김밥 재료는...... 전... 싸 놓지 않고...재료만 다시 담아서..
냉장 보관했다가... 먹을 때 싸 먹어요.
그래야 마르지 않고 좋거든요.


프리 (free0)

음식 만들기를 참 좋아해요.. 좋은 요리 친구들이 많이 생겼으면 합니다.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맑은샘
    '09.6.17 1:12 PM

    항상 느끼는건지만 음식을 정성을 다해 하시네요. 오늘도 이것저것 많이 배워갑니다. 배합초 비율좀 알려주시겠어요? 많이 해놓고 먹어도 상관없을까요?

  • 2. 프리
    '09.6.17 1:20 PM

    식초과 설탕을 동량으로 하는 방법과 설탕을 조금 더 넣는 방법이 있는데.. 단 것을 좋아하는 분은 설탕을 조금 더 넣으면 되는 거구요.

    많이 해 놓고 실온 보관해도 상관없어요.

    소금 1/2컵, 식초 2컵, 설탕 2~3컵, 청주 1/2컵을 잘 배합하여 약한 불에 저어가며 녹이는데 이 때 끓이면 절대 안되요. 녹이세요..... 다 녹으면 레몬 반쪽을 꼭 짜서 넣고 다시마 작은 토막 한 장을 넣었다가 식으면 다시마를 건져 내시면 됩니다.

  • 3. 프리
    '09.6.17 1:22 PM

    만약... 소량을 만드실 분이라면.. 식초 4큰술, 설탕 4큰술, 소금 1큰술, 청주 1큰술에..... 레몬즙 1/2작은 술.... 다시마는 5센티 정사각형 한 장 넣으시면 됩니다.

  • 4. paxmin
    '09.6.17 2:02 PM

    첫째딸 대충 밥 먹이고 재우고 들어와보니.. 정성스런 김밥이 있네요.
    저도 언제쯤 저렇게 정성스럽게 하게될까요.. ^^
    롤이 참 맛있어보여요.. 배합초 정보 감사합니다.

  • 5. 너트매그
    '09.6.17 2:57 PM

    진짜 무릎을 꿇어야겠어요. 이 정성 앞에... ㅎㄷㄷㄷㄷ
    어쩜 김밥 하나에 이렇게 온갖 정성 들이시는지, 김밥 자태는 또 얼마나 고운지...
    따님이 소풍 때 마다 어깨 으쓱할 만 하네요.
    우왕, 저도 프리님 딸 하고 싶어요 ㅋ

  • 6. 아카시아
    '09.6.17 4:00 PM

    저한테는 딱인 글이네요....
    요즘 신랑이 바뻐서 끼니를 못챙길때가 많은데....님글을 보니 김밥을 싸줘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배합초를 쓰면 요즘같은 날씨에도 괜챦겠지요?..정말 감사합니다....^^

  • 7. 아카시아
    '09.6.17 4:13 PM

    참..프리님 계량컵은 200으로 쓰시는지요...?..^^

  • 8. moonriver
    '09.6.17 4:27 PM

    참 많이 보고 배웁니다.
    시루밑 같은건 도대체 어디에서 사시는지요? 밥이 하나도 안 들어붙고 좋아보여요.
    그리고 길쭉하게 생긴 오이 절이는 용기는 직접 금형 떠서 만드신건 아닌지 (ㅎㅎ)
    참 적재 적소에 어쩜 저리 알맞은 물건들을 가지고 계시는지
    부럽습니다.

  • 9. 프리
    '09.6.17 5:36 PM

    paxmin님... 관심을 가지고 하시다 보면 금방 늘어요..... 배합초 만들어놓고 쓰세요.
    요리할 때 이것저것 쓸 때 많아요... 여름철에는 특히 많이요...

    너트매그님.... 김밥이... 참 종합음식이죠... 비빔밥도 그렇구... 우리 나라 음식 잘만 개발하면... 세계화..문제 없을텐데..늘 아쉬워요... 우리나라 김밥이..... 일본 스시나.... 켈리포니아 롤보다 못 한게 뭐냐구요~~~

    아카시아님... 요즘 같은 날씨에 괜찮아요... 식초하고 소금, 설탕, 정종 모두 보존성이 있는 것들이잖아요... 계랑컵..물론 200ml입니다.

    moonriver님...
    시루밑... 이진진에서 산 것 같은데... 정확하진 않지만... 여하튼..시루밑..이진진에도 있고, 참새와 방아갓에도 있습니다.. 네..밥 안 들어붙고 좋아요.. 떡 찔 때도 좋구요..
    오이 절이는 통도 탐나시나 봅니다...ㅎㅎㅎ
    저 통... 저 두부 만들 때 쓸려고 산.....(전 두부 기계로 안 하고..그냥 콩물 끓여서 만드는데 마땅한 통이 없거든요) 안에는.... 플라스틱 망이 하나있고..밖에는 통으로 된 거라.. 두부 성형틀로 딱이다 싶어서 산 거랍니다...마트에 균일가 코너에서... 2000원인가 주고 산 건데... 오이 절이는 통으로도 딱입니다.... 직사각형 틀이 잘 없잖아요.. 눈 크게 뜨고 다니면... 다 보입니다.. 부러워 마세요...ㅎㅎㅎ

  • 10. 짱아
    '09.6.17 5:42 PM

    나두 한번 간만에 김밥이나 싸볼까요

  • 11. 생명수
    '09.6.17 5:56 PM

    환상적인 김밥 퍼레이드네요. 너무 맛있어 보여요. 저도 귀여운누드롤 먹고파요. 아이들이랑 참 즐겁게 요리하시는 거 같아요.
    황태채 넣은 김밥은 어떤 맛일까 궁금하기도 하구요.

  • 12. 지나지누맘
    '09.6.17 6:54 PM

    음식 하실때 혹 조수 안 필요하세요???
    저 내년에 지누 유치원 보내면 시간 많거든요??(올해는 너무 어려 차마.. ㅠㅠ)
    주1회 실습하고 싶어요 ^^;;

  • 13. 프리
    '09.6.19 5:07 PM

    짱아님... 김밥 싸서 드셨나요?

    생명수님...황태채 넣은 김밥 맛.... 좀 특별한 맛이긴 해도 괜찮아요^^

    지나지누맘님.... ㅎㅎㅎ
    저랑 요리 소꼽놀이 해 보실래요????

  • 14. 녹차잎
    '09.6.27 11:18 PM

    마요네즈김밥자태가 예쁜 여인네 같아요. 나두 요즘 아이들 방학때 간식거리로 김밥을 생각하고 있는데 . 부러운 분들 참 많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9762 남자친구 감동시키기 프로젝트! 하트 뿅뿅~ 생일떡 만들기♡ 6 lucidjade 2009.06.18 8,346 11
29761 하루종일 술안주만-_-;; 철없는 새댁의 뱃살늘리기(에효~) 17 Ashley 2009.06.18 11,770 54
29760 감자 고로케... 3 아리시아 2009.06.17 5,056 89
29759 비장의 샌드위치 52 jasmine 2009.06.17 24,109 96
29758 저도 책 한권 분량..스압 사진 60장(수정 순덕이 추가;;) 59 순덕이엄마 2009.06.17 21,049 134
29757 김밥 + 감자전 + 달걀국 14 프리 2009.06.17 12,313 87
29756 식빵틀을 들고 뛴 사연~~^^ 5 버블리 2009.06.17 5,711 23
29755 고추장 팍팍! 황금닭장의 일품 요리, 닭도리탕 4 lucidjade 2009.06.17 5,851 10
29754 생일에 떡케잌은 어떨가요~ 5 김지은 2009.06.16 3,085 21
29753 현석마미님장아찌(모듬장아찌)후기 및 질문이요 11 김이쁜 2009.06.16 9,472 15
29752 과일상식 뚱띵 2009.06.16 3,515 41
29751 나만의 갈무리 이야기...고수님 방법 댓글로 달아주셔요 21 김명진 2009.06.16 9,006 99
29750 주말에 만든 음식들...그리고 아침상을 차리면서 36 보라돌이맘 2009.06.16 25,213 129
29749 어쩌다 마주친 저녁밥상 차리기 +감자웨지구이 9 프리 2009.06.16 8,813 83
29748 맨하탄 한인거리와 모임에서 스페인요리... ^^;; - &g.. 30 부관훼리 2009.06.16 9,256 188
29747 매실장아찌 14 Blue 2009.06.15 15,183 70
29746 ...여름인가요? 67 오렌지피코 2009.06.15 18,669 126
29745 처음으로 올려보는 사진-요거트무스케이크 4 강윤 2009.06.15 3,841 23
29744 초간단, 너무 맛있는 맥주용 스낵, 삐진 새댁-_- 15 Ashley 2009.06.15 12,797 58
29743 [1박 2일 농촌체험] 12 금산[박정우] 2009.06.15 4,257 25
29742 오래간만에 초대한 사랑하는 후배들과의 식사모임 7 레지나(스프라이트) 2009.06.15 6,879 93
29741 키톡첫글) 저 외식했어요~ 20 혀니맘 2009.06.15 6,234 15
29740 주말 산행 도시락과 올해 첫 수박화채, 생애 첫 콩물~! 27 만년초보1 2009.06.15 13,646 1
29739 축하 케익 굽는 주말 13 프리 2009.06.15 4,902 55
29738 블루베리 잎차 만들기 6 자연그대로 2009.06.15 9,118 47
29737 이번주에는 "크림 스파게티" 하나 올라갑니다. ^^ 21 세우실 2009.06.14 7,541 38
29736 파프리카로 만든 먹을거리들 7 경빈마마 2009.06.14 8,666 50
29735 족발이야기 4 페브리즈 2009.06.14 4,971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