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나도 엄마처럼 살고 있었다 ...

| 조회수 : 15,204 | 추천수 : 69
작성일 : 2008-04-21 21:26:42
어린시절 엄마와 나 사이에는 추억이 별로 없었어요
엄마랑 별거를 하거나 해서가 아니라
엄마가 늘 바빠서요.

여느 엄마처럼 우리 엄마도 처녀적엔 정말 예쁘셨어요
전 발끝도 못따라가요.
가끔 엄마 옛날 사진을 보곤 하는데
보고 있으면 눈물이 나더군요.
이렇게 예쁜 얼굴이 어디로 가고
이젠 머리 희끗한 초로의 여인이 되어 아직도 장가못간 자식걱정에
편할 날이 없는 ...

(지난 토요일에 시어머니 생신상을 차렸답니다.
시누이 가족들이랑 모두 모여 시끌벅적 재미있게 보냈어요.
어릴땐 집에 사람들 북적이는게 그렇게 싫더니
이젠 가족들 모이고 배아프게 웃고 떠드는게 참 재미있어요.
그맛에 더 열심히 잔치상을 차린답니다.)


엄마는 둘째며느리로 시집왔지만
아빠 하던일이 잘 안되어 우리 어릴적에 시골 할머니댁으로 이사하면서
사실상 외며늘 역할을 하고 살았어요

옛날 노인네들은 왜 그랬는지 지금도 이해가 안가는게
모든걸 큰아들한테 올인하잖아요
큰아버지 시골에서 전답 팔아가며 대학공부시켰답니다.
그러나 뚜렷한 직업이 없이 서울살면서 평생을 안방지키며 사셨지요.
그나마 남은 전답 몰래몰래 팔아가며 생활하는동안
시골에선 새 전답임자가 찾아와서야 팔린줄아는 생활을...
제 부모님은 모두 지켜보며 할머니 할아버지 모시고 살았답니다.



( 두릅전, 당근카레전, 꼬막전... 어른들은 두릅전이 맛있다시네요.
아이들은 색깔예쁜 당근카레전에 먼저 손이 가고...
전 꼬막전이 제일 맛있었지만 너무 손이 많이가요.. 담엔 안할까봐요...^^)

큰엄마가 생활전선에 뛰어들면서
한번도 시골에 내려오지않고
할머니 할아버지 모두 중풍으로 오랫동안 누워계시다 가시도록
엄마에게 고생한다 미안하다 한마디도 안했대요

그래서 늘 농사로 병수발로 늘 바쁜 엄마를 대신해
집안일하고 동생들 돌보고
그러다 보면 밤이 되고 공부하다 잠들고...
엄마와의 추억은 고사하고 노느라 바쁜 유년시절도 없었던것같네요^^;;



(묵잡채 했어요. 쫄깃거리는 묵이 고기보다 더 맛있지요. 눈물나게 비싼 한우를
볶아 넣었더니 입에서 살살 녹고 맛도 좋은데 .... 너무 비싸요 ㅠ.ㅠ)

명절마다 다른 친구들은 전부 모여서 노는데
할머니 할아버지 계시니 손님은 많고
일할사람은 없으니
어린시절부터 반 주부가 되어 죽어라 일해야 명절이 지나갔어요
제가 초등학교때부터 명절증후군이 있었다면 말 다했지요^^

전 정말 엄마처럼 살기 싫었어요.
입버릇처럼 일도 안하고 손에 물도 안묻히고
가정부가 해주는 밥 먹고 아이들만 바라보며 살겠다 했지요
엄마는 웃고 말지만 그땐 정말 비장했답니다.



(궁중요리인 오이선은 미리 만들어 시원하게 두었다가 새콤달콤한 소스를 뿌렸더니
상큼하고 맛있고... 게다가 예쁘니 처음 드시는분들은 아주 맛있다하셔서 좋았어요)

집에 손님이 오는것도 싫고
없는 살림에 우리도 못먹는 맛난 음식
손님들만 주는것도 싫었거든요

그렇게 자라고 직장다니며 독립하고
결혼이란걸 하게 되었는데
저도 몇년간 똑같이 시부모님 모시고
일에 바빠 동동거리며 살게 되더군요

엄마처럼 살지 않겠다 했는데
어느순간 돌아보니
엄마만큼은 아니어도 엄마같은 인생을 살고 있는 제가 보였어요
날개달고 정말 멋지게 살줄 알았는데
저도 어쩔수 없이 반찬걱정하고 생활걱정하며 살게 되더라구요^^;;



(대하잣소스무침이에요. 맘에 드는 죽순캔을 찾지 못해서 아쉬웠어요
잣소스에 레몬즙을 첨가해서 고소하고 상큼한 맛이 나요.)

돌아가신 할머니 할아버지께서
다른건 다 제쳐두고
우리엄마한테 많은 복을 주셔서
엄마가 이젠 좀 편안해졌으면 좋겠어요

결혼을 하고 나서 시부모님 생신상을 처음 차려드리면서
어찌나 친정 부모님께 미안하던지...
신혼때는 솜씨가 없어
친정부모님 생신에 형제들이 모여도
거의 엄마가 해주시던 음식 먹고 헤어졌거든요.
이젠 저 혼자도 16명 식구들 잔치 음식 뚝딱 해내는 아줌마가 되었어요.
좀더 일찍 엄마 생신상도 차려드리고 평소 식사도 챙겨드리고 올걸...





(도라지나물, 죽순나물, 그리고 쑥부쟁이 된장무침 해서 나물 세가지...)

시어머니도 그에 못지않은 시집살이를 하셔서
그 얘기보따리를 풀어놓으시면 하루는 얘기하실수 있대요.
그래서인지 시어머니를 뵈면 친정엄마처럼 마음이 짠해지지요.

다른건 몰라도 시어머니 생신상만큼은 절대 밖에서 안사먹고
제가 직접 차려드리자 다짐했었습니다.
아직은 잘 지켜가고 있네요.
다들 애쓴다며 밖에서 먹자고 하지만
정작 집에서 잘 차려진 밥상 내놓으면 너무 좋아하세요.
제가 좋아서 차리니까 힘이 드는지도 모르겠더군요.



(큰시누가 준비해온 숭어와 전복회가 아직 오르지 못했군요.
밑반찬으로 꽃게무침과 조개젓도 있는데...
후식으로는 흑미, 백미절편 그리고 단호박식혜 만들어 내었어요.
단호박식혜 처음 해봤는데 너무 맛있어요. 그날 홈런날렸다니까요.

저 상 두개를 치우니 그릇이 싱크볼에 산을 이루고 있던데
동작빠른 작은 시누가 얼른 치워주기에 너무 고마웠어요.
큰시누는 맛난걸 많이 챙겨오니 이쁘고
작은시누는 부엌에 들락거리며 많이 도와주니 이뻐요.
모두 손위시누인데 제가 도움을 많이 받는답니다.)


이젠 가족이 가장 큰 재산이자 행복의 원천임을 압니다.
엄마처럼 살지 않겠다 다짐을 했지만
엄마와 똑같이 식구들 불러모아 밥먹이길 즐기는 아줌마가 되어버렸습니다.
그래도 이쁜옷입고 내 몸치장에만 신경쓰던 아가씨때보다
훨씬 더 행복하지요






근데 제일 맘에 안드는사람이 누군줄 아세요?
바로 나랑 같이 사는 "넘의아들"이에요.
세상에 잔치준비하느라 2박3일이 어떻게 지나가는지 정신이 하나도 없는데
그와중에 딸기잼 만들어 새끼들 준다고
딸기를 24키로나 사왔지 뭡니까!!!
아주 미워서 혼났어요. 딸기 상할까봐 부랴부랴 만들어서 병사다가 소독해서
채워넣었지요.
(시원한바람님!! 생명의 은인으로 모시겠습니다. 들통 타던지 말던지 약한 불에 올려두고
다른 일 해버렸어요. 다행히 많이 안탔더군요.)
제가 얼마나 바쁠지 정말 몰랐을까요?

그래서 식구들 모였을때 신랑 흉보며 덕분에 얻어먹는줄 알라고 큰소리치며
시누들 두병씩 나눠줬어요.ㅎㅎ
새로 담은 김치랑 불고기 재운거랑 전이랑 떡이랑 골고루 나눠 들려보내니 저도 기분이 좋았어요.

신랑아...
나의 숨은 안티였구나! 뷁!!!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예민한곰두리
    '08.4.21 10:08 PM

    시댁식구들과 함께 먹는 식사
    준비하기 힘들고 이게 무슨 고생을 사서하는건가 싶지만...
    음식을 함께 해서 나눠먹는 그것이 참 큰 역할을 하는 것 같아요.

    '바베트의 만찬' 생각이 납니다.
    껄끄러운 시댁 분위기에 숨통 트이게... 저도 식사 대접 해 보고 싶지만
    저는 체력이 약한 약점 때문에 아직은 못하고 있어요.

    글 읽으면서 제 마음도 훈훈해지고 푸근합니다. ^___^

  • 2. 루센트
    '08.4.21 10:15 PM

    ^_^ 그래도 어머님도 그 생활이 나름 즐거우셨을거 같아요. 원글님 처럼 ^^
    항상 즐겁게 사세요 ^^ 지금도 보기 좋아요 ^^

  • 3. 에스더맘
    '08.4.22 12:19 AM

    이런글 볼때마다 반성하고 더욱 부모님, 시부모님께 잘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복많이 받으실 거예요.

  • 4. carolina
    '08.4.22 5:11 AM

    전 제 첫 시부모님을 위한 저녁요리가 완전히 개밥이 되는 바람에, 다시 밥을 할일이 없어져 버렸네요-_-; 바깥양반이 그게 나의 처음이자 마지막 요리라고 오늘도 말해주네요ㅠ-ㅜ;;

  • 5. 어중간한와이푸
    '08.4.22 8:50 AM

    세상에 딸기를 2kg도 아니고 24kg를요???
    아마도 부군께서 그만큼 님을 믿으시나보네요.^^
    저도 가끔씩 친정엄마가 하시던 행동을 하고 있는 제 모습을 발견하고는 가정교육이 정말
    중요하단 생각을 많이 하면서 딸을 키우고 있답니다.
    몸은 힘드셨겠지만, 음식 그릇마다 님의 행복이 고명으로 더 담겨진듯 보입니다.

  • 6. 찔레
    '08.4.22 9:00 AM

    흐린날씨 때문인지 마음이 잠시 산란해 졌다가 준&민님의 글을 보고 차분해 집니다.

    아름다운 분 이시네요. 음식도 정성도 마음도 모두 특급 이십니다. ^^

  • 7. 돼지코
    '08.4.22 9:11 AM

    에고에고~~
    저같은 한참 중고아짐도 아직 시댁식구가 어려운데...
    복 받으실꺼예요~~

  • 8. 오미경
    '08.4.22 11:50 AM

    글만 읽다가 다시 로긴하고 들어옵니다.
    저도 없는집 맏며느리로 고생하시는 어머니를 보며 제사나 차례음식 준비때 항상 많이 준비하셔서 먹이고 두손 무겁게 싸보내는 엄마를 보며 (그래도 딱히 고마워 안했던 작은엄마들과 고모들-어린눈에...) '난, 안그래야지 뭐하러 힘들게...'했었는데 저도 시어른 생신상은 차리면서 친정부모님 한번 안차려드린게 늘 맘에 걸리던 차에 결혼7년만에 올케들어오면서 같이 준비했는데 맛있게 드시는 엄마를 보니 넘 마음이 좋았습니다.
    이번 아빠 생신때는 바쁘신 엄마를 위해 치아가 약한 아빠를 위해 아빠생신때 오이소박이와 밭솥카스테라를 해서 기차타고 다녀왔는데 아빠가 사온 케잌보다 제 빵이 맛있다고 해서 넘 좋았어요.
    그래서 저도 늘 친정 엄마가 택배로 여러 먹거리 부쳐주시는데 저도 빵이나 간단한 밑반찬 정도는 해서 부쳐 볼려고 합니다.
    맏딸이지만 딸이 하나인지라 남동생 둘 보다 많이 받고 자란 사랑 조금이나마 돌려드릴려고 노력할려구요.

  • 9. 개굴모자
    '08.4.22 12:38 PM

    넘 부럽고 보기좋은 시댁식구들이네요...
    님같은 며늘 얻은 시댁도 행운이구요 ^^

    것도 글치만, 숨은 안티.....넘 공감하는 말이에요 ^^
    그말땜시 한참 웃다가 갑니다 ^^

  • 10. 오믈렛
    '08.4.22 12:50 PM

    정말 복받으실꺼에요 음식하나하나에 정성이 팍팍 느껴지네요 수고 많으셨어요....^^*

  • 11. 잘살아보세
    '08.4.22 1:17 PM

    정말로요.
    공감 백배... 엄마 힘들어 하는거 보기 싫어서 하지마~~ 연발했었는데..
    어느새 저도 그런 엄마의 모습을 닮아 가고 있음을 다시한번 또 느낍니다..
    이런 모습을 아직은 어린 우리딸도 은연중 닮아가는 걸까요??

    힘들어서 먹거리 만큼은 가족과 나 자신을 위해 정말 해 주고 싶네요...

    몸은 힘들어도 정말 행복하시죠?? 저도 더욱 행복해지도록 무단히 노력해야 겠네요.

  • 12. 김새봄
    '08.4.22 2:06 PM

    보는것만으로도 배부르고 콧등이 찡~~

  • 13. 버블
    '08.4.22 3:35 PM

    정말 훌륭한 여성이십니다..... 며늘노릇에 아내노릇에 엄마노릇에 딸노릇까지.....
    얼마나 매사에 열심히 사시는지 느껴집니다.... 고생 많으셨어요.....ㅎㅎㅎ

  • 14. 상구맘
    '08.4.22 4:37 PM

    "나는 절대 엄마닯지 않을거야. 나는 절대 아빠 같이 안 살거야. 했었는데 나중에 보면 나도 그런 삶을 살고 있더라."는 말들 가끔 듣는 말들이죠.
    그래도 준&민님 지금 사시는 모습도 참 예쁘게 사시는것 같네요.
    다행히 시누분들도 좋은신것 같구요.
    집에서 아무리 생신상 거하게 차려도 입맛 달랑가지고 오는 사람들도 많답니다.

  • 15. hush
    '08.4.22 9:51 PM

    대단하세요~~절로 감탄이 나오네요...님의 마음가짐 자체가 넘 예쁘세요..저도 그래야 할텐데 전 아직 그게 안되네요~시댁 식구들 생신상 차리라고 할까봐 때되면 항상 조마조마해 한다는....ㅋㅋ^^*

  • 16. 배낭여행
    '08.4.22 11:00 PM

    원글님 화이팅
    시부모님 모시는 맘처럼 친정 어머님 생신상도
    원글님 댁에서 차려 주세요,,,
    "나는 절대 엄마 닯지 않을거야 " 반기이자 이시대의 도전자로 거듭나세요!!
    힘내세요

  • 17. 홍시
    '08.4.23 11:15 AM

    마음이 참 예쁘신 님이세요^^
    계속 쭈욱~~ 행복하게~~

  • 18. wisdom
    '08.4.23 11:24 AM

    입이 떡 벌어집니다. 대단하세요. 마음도 너무 예쁘시고... 어머님, 아버님 모시고 살면서도 생신상 제대로 차려드린 기억이 가물가물한 저 스스로 반성도 해 봅니다.

  • 19. koalla
    '08.4.23 6:02 PM

    대단하십니다.
    부러워요..
    나줘주신 쨈이며 음식들 싸들고 가면서 시누님들도 참 기분 좋았을겁니다.
    제가 꼭 본받고 싶은 분이네요..
    얼마전 저희 시아버님생일잔치를 저희 시누님댁에서 했는데,,,,저는 지금 만삭이라 도와드리지도 못했는데 집에 올때 이것저것 사소한거라도 챙겨주시는데 너무 고맙더라구요..
    복받으실거에요..

  • 20. there_is
    '08.4.24 5:30 AM

    전 왜 엄마를 안 닮아 가는지 모르겠네요. 저희 엄마도 없는 살림에 매해 장아찌며 김치 담궈 고모랑 작은 엄마들 나눠 드리고, 맞벌이 엄마 둔 조카들 좋아하는 음식 해서 불러 먹이곤 하셨거든요.
    어릴 땐 참 이해가 안 됐는데, 커서 보니 그게 다 우리 형제들한테 복이 되서 돌아오는구나 싶더라구요.
    삼촌이며 고모들이 어릴 적부터 참 끔찍이 이뻐해 주셨고 결혼할 때도 많이 도와주셨거든요.
    저도 그렇게 넉넉하게 베풀고 나누면서 살고 싶은데 그게 쉽지가 않더라구요. ^^
    준&민 님 덕분에 그 마음 다시 한 번 새기고 반성하고 갑니다.

  • 21. 바람별시
    '08.4.25 5:39 AM

    우와! 저도 입 떡 벌어져요. 행복한 잔치상.

    그런데, 딸기때문에 너무 많이 웃었어요. 저도 결혼한 이후에는 원재료 선물하는 사람이 제일 미워요. 아무리 구하기 어려운 귀한 재료라도 한숨이 나오지요.

  • 22. 그집앞에
    '08.4.25 2:47 PM

    멋진 분이십니다.
    글도 술술 풀어내는 것이 보통 솜씨가 아닙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6406 태어나서 첨으로 만든 김밥이에요 ㅠㅠ 12 이쁜썽 2008.04.22 9,314 26
26405 70점짜리 깻잎전, 90점짜리 빵, 그리고 100점짜리. 23 올망졸망 2008.04.22 13,767 143
26404 자취생 인사드립니다 ^^ 6 호랭이 2008.04.22 5,221 24
26403 울릉도 산나물=섬 쑥부쟁이= 부지깽이 나물 무쳐보기 7 나오미 2008.04.22 7,261 38
26402 구수하고 깔끔하게 팍팍 무쳐 보세요.^^ [배추된장무침] 3 우노리 2008.04.22 11,013 62
26401 나도 엄마처럼 살고 있었다 ... 22 준&민 2008.04.21 15,204 69
26400 [카레라이스 15인분 만들기] 온집안에 카레향이 가득..ㅋㅋ 5 하나 2008.04.21 21,600 135
26399 된장찌게가 지겨울땐 고추장찌게를,,,,, 6 민우시우맘 2008.04.21 8,641 50
26398 기다리다 지친 감자탕 5 현준맘 2008.04.21 6,276 31
26397 요즘 먹는 반찬들 25 jasmine 2008.04.21 28,234 132
26396 * 쑥털털이~ 드세요.^^* 8 바다의별 2008.04.21 7,437 40
26395 시장 봐서 회덥밥 해 먹었습니다 ^^ 9 강두선 2008.04.21 6,122 22
26394 ♡ 부드러운 빵에 초코크림 듬뿍~ / 초코 소라빵 1 로제 2008.04.21 3,511 48
26393 저녁식사로의 초대 11 에스더 2008.04.21 14,878 100
26392 요즘은 김장김치보단 갓 담은 김치가 맛있을 때죠. 3 어중간한와이푸 2008.04.20 7,817 73
26391 처음 만들어 본 대하찜 5 어중간한와이푸 2008.04.20 6,118 179
26390 김치맛살밥케이크 외~~~ 14 상구맘 2008.04.20 9,780 91
26389 진짜 찐한 더블 쵸코렛 쿠키 6 둥이맘 2008.04.20 3,825 92
26388 저도 딸기쨈 만들었어요^^ 5 이사키 2008.04.20 5,320 63
26387 꽃밥 해 드셔요. 3 금순이 2008.04.19 4,146 35
26386 손주며느리의 첫요리.. 34 하나 2008.04.19 19,799 107
26385 청국장찌개를 상에 올린 우노네 저녁 밥상 49 우노리 2008.04.19 16,251 64
26384 구수한 청국장찌개 맛있게 끓이기 9 우노리 2008.04.18 13,502 58
26383 ♡ 버터없이도 바삭한 쿠키 ! / 통밀 초코칩 쿠키. 8 로제 2008.04.18 5,178 48
26382 얼가리 열무 김치와 비빔밥... 8 망구 2008.04.18 6,964 37
26381 둘째 이유식 만들면서 눈물이 나는 이유 10 3시기상 2008.04.18 7,233 93
26380 15분만에 압력솥으로 딸기쨈 만들기.. 1 밀루유테 2008.04.18 8,948 37
26379 +귀여운엘비스의 2008년 4월일기+ 긴글싫으신분은패쓰~ 45 귀여운엘비스 2008.04.18 18,889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