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스니카즈냐,끄세쥬냐, 그것이 문제로다

| 조회수 : 1,826 | 추천수 : 83
작성일 : 2010-08-19 08:06:47

지난 월요일 루니 수업에 갔을 때의 일입니다. 그 곳에서의 제 아이디는 연초록인데요 (intotheself만큼이나

제가 마음을 담아서 만든 아이디라서 소중하게 쓰고 있답니다. 초록이 아니라 늘 아직은 생성중인 느낌으로

생의 마지막까지 살고 싶다는 마음을 담은 ) 연초록님, 루니 수업 다 끝나고 나면 스니카즈 후속 모임을 가지려고

하는데 월요일 밤 시간 가능하세요? 하고 동욱씨가 물어보더군요. 스니카즈가 뭐예요?

스피노자, 니체, 그리고 카프카를 공부한다고 합니다.

스피노자, 니체는 알겠는데 왜 카프카를? 그 의문은 어제 노마디즘 읽다가 풀렸지만 문제는 스니카즈가

생기는 것을 모르고, 제 나름의 후속 공부모임을 이미 마음에 찜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네이버로 들어가서 길담서원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날, 따뜻하게 맞아주신 서원지기 박성준선생님이랑

글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가 불어로 책을 읽는 모임이 있으면 좋겠다, 그것도 꼭 월요일에만 가능하다고

말씀드렸더니 마치 쪽집게 점쟁이 같다고, 마침 그 곳에서 불어로 책읽기를 추진하기 위해 강의를 맡아줄

분과 이야기나누는 중이라고요. 그래서 가능하면 월요일로 ,그렇게 강력한 의사표시를 하고 있었는데

한동안 말이 없더니 (그동안 길담 서원의 사람들이 2주간의 유럽미술기행을 다녀오느라고 홈페이지가

조금은 조용하다가 15일에 드디어!! 불어모임에 관한 공지가 올라왔습니다.)끄세쥬란 이름으로 불어모임에

관한 공지글이 올라왔더라고요.



물론 일본어 번역 모임에 처음 갔을 때의 황당함처럼 이 모임의 글읽기가 제게 커다란 압박감을 주리란

것은 불보듯 뻔하지만 한 번 그렇게 단련이 되어서 그런지, 힘을 빼고 오래 오래 함께 하면 된다고,그 사이에

할 수 있는 만큼 준비하고 다른 사람들의 실력을 통해서 배우다보면 어느새 저절로 내 힘으로 글을 읽을 수 있게

될 것이란 믿음,그러고보면 한 번의 경험이란 얼마나 큰 힘이 되는지요!!



예전의 저라면 둘 중의 하나를 골라야 하고, 그러고 나면 다른 한 가지에는 눈을 감아버렸겠지만

이제는 그렇다면 다른 하나는 온라인상으로 진척을 지켜보면서 따라가다가 다른 기회에 다시 접속하면

되겠지 하는 여유있는 생각도 가능하게 되었답니다.

사실 월요일 단 한 번의 세미나로 갑자기 열려버린 세계, 그래서 언젠가 진중권의 교수대위의 까치 출간후

출판사에서 독자와의 대화라고 해서 마련한 자리에 참석했다가 선물로 휴머니스트에서 골라왔지만

어려워보여서 손대 못대고 있던 이진경의 노마디즘을 어제는 하루 종일 시간나는대로 읽다가 하루가

다 지났답니다. 이 책을 이렇게 재미잇게 읽을 수 있게 된 것은 역시 수유너머와의 만남 덕분인데요

그래서 이 세상에 그냥 오는 것은 과연 무엇 하나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 날이기도 했지요.



아주 두꺼운 노마디즘 두 권, 이 책은 이진경이 읽은 들뢰즈 가타리의 천의 고원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책장에 그저 박혀 있을 때는 물체에 불과했던 이 책이 손에 잡는 순간, 이야기,이야기의 광장에 초대받은

기분이더라고요. 어디로 갈지 모르지만 어딘가 목적지가 없더라도 그 안에서 초대받은 자로서 맘껏 즐기면서

만날 수 있는 능력만큼 만나보고 싶습니다. 한 번도 생각하지 못한 것들이나, 그동안 고민하다가 답을 못 얻고

멈추어 있던 것들에 대한 것, 혹은 그렇다고 생각했지만 과연 그런가 다시 뒤집어 생각해보고 싶은 것



자신의 삶에 뭔가 균열을 내서 다른 각도로 살아보고 싶다거나, 균열이 무서운 것이 아니라 그것이야말로

새로운 길을 만나는 창조적인 것이라고 느끼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스니카즈 혹은 끄세쥬라는 모임소개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어서 올려 놓습니다.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카루소
    '10.8.20 12:10 AM

    01 Garyschnitzer / Can't help falling in with love
    02 브람스의 들판의적막
    03 정명화 / 한오백년
    04 장한나 / 떠난날을 위한 엘레지
    05 다닐샤프란 / 바흐의 무반주첼로 제2번 D단조 BWV 1008
    06 비단향꽃무 / 비가
    07 Masashi Abe / Tema D'amore
    08 화양연화 O.S.T / Yumejis theme
    09 요요마 / 엘가의 첼로협주곡
    10 기도를 위한 첼로 변주곡
    11 T.미푸네 / 가을을 남기고 간 사랑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3754 통영아닌 거제여행 셋째날(2010.08.16, 해금강- 외도- .. 8 청미래 2010.08.23 2,269 91
13753 나는 홀로 등불을 들고 방황하네... 3 카루소 2010.08.22 2,666 96
13752 제주절물 자연휴양림 7 노니 2010.08.22 2,415 85
13751 가죽공예-울 공주님 러블리 백 4 앤셜리 2010.08.22 2,241 91
13750 문화제 선릉을 다녀오다. 3 미실란 2010.08.22 1,590 66
13749 여름이 시원한 웨일즈 2 12 열무김치 2010.08.21 2,266 84
13748 통영여행 둘째날(2010.08.15, 달아공원-수산과학관,es리.. 6 청미래 2010.08.21 2,446 80
13747 노루생태관찰원(제주도) 4 노니 2010.08.21 1,979 99
13746 니진스키에서 조지 발란신까지 2 intotheself 2010.08.21 1,812 68
13745 교통사고 - 항상 조심합시다. 5 미실란 2010.08.21 1,650 49
13744 산호랑나비와 산제비나비 5 안나돌리 2010.08.21 1,583 76
13743 통영여행 첫날 (2010.08.14, 안정사-동피랑-전혁림미술관.. 11 청미래 2010.08.21 3,196 96
13742 after는 역시 힘이 세다 4 intotheself 2010.08.20 1,835 45
13741 건축사 수업 다섯번째 날-고딕 1 intotheself 2010.08.20 2,208 73
13740 염부의 휴식 ~~~~~~~~~~~~~~~~ 2 도도/道導 2010.08.20 1,785 99
13739 산사의 밤 7 wrtour 2010.08.20 2,028 90
13738 건축사 수업 다섯 번째 날,(로마네스크) 4 intotheself 2010.08.20 1,799 62
13737 바람에 흔들리는 촛불만 눈물로 꺼져가는 밤... 4 카루소 2010.08.19 2,536 97
13736 스니카즈냐,끄세쥬냐, 그것이 문제로다 1 intotheself 2010.08.19 1,826 83
13735 자연과 구조물 4 노니 2010.08.18 1,793 110
13734 무심한 말 아픔을 어우르는 부드러움... 7 카루소 2010.08.18 2,695 66
13733 아무래도 칠석날 견우직녀가 제대로 못 만났나봐요~ㅎㅎ 4 안나돌리 2010.08.18 1,743 80
13732 경기 영어마을, 파주 캠프 풍경 회색인 2010.08.18 2,209 119
13731 물폭탄 - 섬진강 범람 8 미실란 2010.08.18 2,143 44
13730 정독 도서관 오고 가는 길 9 intotheself 2010.08.18 2,497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