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조선일보에 나온 <스테이크 잘 굽는 법>이래요.

| 조회수 : 7,749 | 추천수 : 6
작성일 : 2007-08-16 11:11:31

http://news.media.daum.net/culture/leisure/200708/16/chosun/v17797238.html?_r...

스테이크, 너 어떻게 구워야 하니?


엄지·검지 맞대고 눌렀을때 느껴지는 촉감이 '레어'


두툼한 고기를 칼로 썰면 드러나는 선홍빛 속살. 고기는 쫄깃하면서도 부드럽고, 씹을수록 고소한 육즙이 배어나와 입안을 흥건하게 적신다. 스테이크. 고기를 이만큼 관능적이면서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이 또 있을까. 스테이크는 사실 단순한 요리이다. 큼직하게 자른 고기 덩어리를 불에 굽기만 하면 그걸로 끝. 하지만 스테이크를 직접 구워보면 그게 말처럼 쉽지가 않다. 단순하기 때문에 오히려 제대로 맛 내기가 힘들다. 그래서 최근 갈비, 불고기, 돼지갈비, 닭갈비 등 ‘코리안 바비큐’를 배우기 위해 한국을 찾은 제이미 퍼바이언스(Jamie Purviance·44)씨에게 ‘완벽한 스테이크 굽는 법’을 물었다.




퍼바이언스씨는 미국 바비큐 용품 제조기업 웨버(Weber)에서 발간하는 바비큐 요리책 4권을 쓴 ‘바비큐의 달인’이자 스테이크 전문가. 보나페티(Bon Appetit)·타운 & 컨트리(Town & Country)·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Sports Illustrated) 등 미국 유명 잡지에 정기적으로 기고하며, ‘오프라 윈프리 쇼’·NBC ‘투데이’ 쇼 등에 출연하기도 했다.

어떤 고기가 스테이크용으로 딱인가

퍼바이언스씨는 “한국 쇠고기는 육질이 부드러운데, 마블링이 특히 환상적”이라며 놀라워했다. 퍼바이언스씨는 “한국은 고기를 얇게 잘라서 구워먹지만, 스테이크용으로는 두툼한 고기가 좋다”면서 “1인치(약 2.5㎝) 정도면 육즙이 쉽게 빠지지 않아 부드럽고 촉촉한 스테이크를 즐길 수 있다”고 했다. 한국에서 가장 인기 높은 구이 부위는 등심. 등심은 등뼈를 감싸고 있는 부위로 근육이 적고 살코기 사이 지방이 축적돼 풍미가 뛰어나다. 서양 사람들이 선호하는 안심은 등심 안쪽 부위로, 결이 고와 부드럽고 지방이 없어 담백하다.

스테이크 전문점 맛의 비밀, 숙성

고기는 사다가 바로 먹기보다 숙성시켜 먹으면 맛이 훨씬 좋아진다. 고기 맛을 좌우하는 올레인산 성분이 증가한다. 퍼바이언스씨는 “미국 유명 스테이크식당에서는 심지어 3주까지 숙성시키기도 한다”면서 “일반 가정에서는 일주일 정도 냉장고 가장 차가운 칸에 두면 된다”고 했다.

굽기 최소 30분 전 냉장고에서 꺼내세요

고기를 숙성했으면 이제 양념할 차례. 입맛에 따라 허브나 향신료를 뿌려도 되지만, 역시 기본은 소금이다. 소금은 천일염이 가장 좋다. 퍼바이언스씨는 “소금은 굽기 30분 전 뿌리는 게 가장 좋다”고 설명했다. “소금을 너무 일찍 뿌리면 육즙이 빠져 고기가 퍽퍽해져요. 너무 나중에 뿌리면 소금이 충분히 배어들지 않아 고기가 싱거워요.” 늦어도 30분 전에는 냉장고에서 꺼내둔다. “고기가 차가우면 익는 속도가 느리고 속까지 열기가 충분히 스며들지 않아 맛이 떨어져요.”

프라이팬은 두툼할수록 뜨거울수록 좋다





퍼바이언스씨는 “스테이크는 숯불에 구워야 가장 맛있다”고 했다. ‘숯은 또 하나의 양념’이라는 말도 있지 않던가. “아파트 주거가 대부분인 이 나라에서 윗집, 옆집 눈치 보지 않고 연기와 냄새를 맘껏 풍길 만큼 대담한 사람은 드물다”고 하자 퍼바이언스씨는 상당히 안타까워하다가 “가능한 두툼한 프라이팬을, 가능한 뜨겁게 달궈서 사용하라”고 했다. 바닥에 그릴 자국이 볼록하게 솟은 프라이팬이 더 좋다. 고기에서 흘러나온 기름과 육즙에 고기가 잠기면 ‘고기구이’가 아니라 ‘고기찜’이 될 수 있다. 달궈진 프라이팬에 고기를 놓았으면 가능한 건드리지 않는다. 건드릴수록 맛이 빠진다. 2~3분 뒤 고기를 집게로 들어 90도 돌린다. 고기 표면에 ‘#’ 모양 그릴자국이 생겨 더욱 먹음직스럽다. 다시 2~3분쯤 둔다. 고기를 뒤집어 2~3분 익힌다. 퍼바이언스씨는 “2.5㎝ 두께 쇠고기 기준 총 6~8분이면 미디엄레어 상태로 익는다”고 말했다.

고기 맛 떨어져요, 너무 익히지 마세요

고기는 구운 정도에 따라 ‘레어(rare)’ ‘미디엄 레어(medium rare)’ ‘미디엄(medium)’ ‘미디엄 웰(medium well)’ ‘웰 던(well done)’으로 나눈다. 서양 사람들은 미디엄 레어에서 미디엄 정도를 선호하는 편.

서울 르네상스호텔 스테이크전문점 ‘맨하탄 그릴’ 전문영 부주방장은 “한국 손님들은 대부분 미디엄에서 미디엄 웰로 주문한다”고 말했다. 퍼바이언스씨는 “지방이 많고 부드러운 고기를 얇게 저며 구워먹는 한국 음식문화 때문이겠지만, 스테이크는 너무 익히지 않아야 부드러운 육질을 즐길 수 있다”고 했다. 하긴 유럽에서는 ‘블루(blue)’라고 해서, 겉만 살짝 익고 속은 전혀 익지 않은 스테이크를 즐기는 사람도 많다.

고기가 얼마나 익었는지 알아보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온도 측정. 요리용 온도계 끝을 스테이크 정중앙 가장 두툼한 부분에 찔러넣고 온도를 잰다. 미디엄은 섭씨 57~63도쯤 된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 참조〉 퍼바이언스씨는 이보다 훨씬 쉽고 간편한 ‘터치 테스트(touch test)’를 알려줬다. 〈아래 기사 참조〉 접시 바닥에 깔릴 면에 칼집을 살짝 넣어 색깔을 살펴보는 방법도 있다.

고기도 힘들다, 서빙 전에 ‘레스팅’

고기를 구웠으면 바로 내지 말고 일단 2~3분 ‘쉬도록’ 한다. 젖은 행주에 프라이팬을 올려놓거나, 고기를 접시에 덜어 놓아도 된다. 이를 ‘레스팅(resting)’이라 한다. “열을 가해 고기를 구우면 수분이 가운데로 몰려요. 이 상태의 고기를 바로 내면 육즙이 흘러나와요. 고기는 퍽퍽하죠. 고기를 레스팅하면 몰렸던 육즙이 다시 고기 전체로 고루 퍼져서 부드럽고 촉촉한 스테이크를 즐길 수 있어요.”

(요리=서울 르네상스호텔 맨하탄그릴)
으랏차차힘내자 (hyun0709)

초보주부입니다..좋은정보 많이 얻어갈께요..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돼지용
    '07.8.16 6:48 PM

    다음에 스테이크 구울 때 꼭 해보고 싶네요.
    레스팅을 몰랐었어요.
    두 주먹 불끈.

  • 2. 보사노바
    '07.8.16 6:53 PM

    이 기사에 손으로 굽기 정도 테스트하는 기사도 따라왔습니다.
    http://spn.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16/2007081600247.html
    ↑ 이것 눌러보세요.

  • 3. 커피야사랑해
    '07.8.16 11:44 PM

    한번 집에서 우아해지고 싶을때 해봐야 겠어요.
    보통 먹고 싶을때 고기 사오서 구어 먹었는 데 숙성도 좋은 정보예요.
    역시 레스팅을 하고 . . .
    이 시간에 이글을 읽게 되다니 흑흑

  • 4. 밀크티
    '07.8.17 1:38 AM

    앗 오늘저녁메뉴 스테이크였는데 이기사를 미리 봤더라면;;;

  • 5. 달덩이
    '07.8.17 6:37 AM

    와..호텔조리과에 재학중이면서도 모르던정보였는데 ㅠㅠ 감사합니다
    고기익히는정도 아는건 진짜 경험에서 우러나오는거라......전 맨날 짤라봐야-_-; 알았는데;;
    정말 유익한정보네요
    감사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41080 9월에는착한말만하며살아야지! (feat.8월 지낸이야기) 4 솔이엄마 2025.09.01 1,990 2
41079 올여름 첫 콩국수 5 오늘도맑음 2025.08.31 1,953 5
41078 시애틀에서 시카고 여행 2 12 르플로스 2025.08.30 2,403 5
41077 (키톡 데뷔) 벤쿠버, 시애틀 여행 1 6 르플로스 2025.08.29 3,515 8
41076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1 4 은하수 2025.08.28 3,314 5
41075 큰아들 이야기 2 19 은하수 2025.08.27 3,965 4
41074 큰아들 이야기1 5 은하수 2025.08.26 7,139 6
41073 논술 교사 이야기 26 은하수 2025.08.25 3,948 6
41072 엄마 이야기2 20 은하수 2025.08.24 3,939 3
41071 엄마 이야기 25 은하수 2025.08.23 6,796 5
41070 더운데 먹고살기 3 남쪽나라 2025.08.22 8,741 3
41069 그해 추석 10 은하수 2025.08.22 3,663 4
41068 내영혼의 갱시기 12 은하수 2025.08.21 3,876 5
41067 포도나무집 12 은하수 2025.08.20 4,385 4
41066 테라스 하우스 이야기 14 은하수 2025.08.19 6,164 4
41065 양배추 이야기 12 오늘도맑음 2025.08.18 6,965 3
41064 고양이의 보은 & 감자적 & 향옥찻집 20 챌시 2025.08.17 4,345 3
41063 간단하게 김치.호박. 파전 13 은하수 2025.08.16 6,730 3
41062 건강이 우선입니다 (feat.대한독립만세!) 16 솔이엄마 2025.08.15 6,731 4
41061 비 온 뒤 가지 마파두부, 바질 김밥 그리고... 15 진현 2025.08.14 6,558 5
41060 오트밀 이렇게 먹어보았어요 16 오늘도맑음 2025.08.10 8,146 4
41059 186차 봉사후기 ) 2025년 7월 샐러드삼각김밥과 닭볶음탕 13 행복나눔미소 2025.08.10 4,747 8
41058 오랜만에 가족여행 다녀왔어요^^ 18 시간여행 2025.08.10 7,206 4
41057 무더위에 귀찮은 자, 외식 후기입니다. 16 방구석요정 2025.08.08 6,183 6
41056 친구의 생일 파티 20 소년공원 2025.08.08 6,242 7
41055 2025년 여름 솔로 캠핑 33 Alison 2025.08.02 9,139 7
41054 7월 여름 35 메이그린 2025.07.30 10,379 5
41053 성심당.리틀키친 후기 30 챌시 2025.07.28 12,741 4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