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해 추석
포도나무집을 경매로 넘기고 우리가 이사온 곳은 학교 에서 불과 5분 거리인 상가 2층이었습니다
원래 큰방과 작은 방2개를 쓰기로 계약했는데
그곳에 살던 사람이 절대 큰방은 못 비킨다고 해서
할수없이 작은방 하나엔 풀지도 못한 짐을 부리고
안쪽 컴컴한 방에서 6식구가 쪼그려 가며 잠을 자야했습니다.
곧 추석이 되었습니다.
우리 집엔 송편도 , 사과도 한알 없었습니다.
맏아들인 아버지는 시골로
제사를 떠나시고
왠지 모르게 처량한 명절 아침이 되었습니다.
그날 분명히 밥은 먹었을텐데...
유난히 허기가 졌던 기억이 납니다
새옷 입고 손에 먹을 것을 쥐고 노는 동네아이들의 모습이
상가 아래 골목에 보여서
더 배고팠을까요
엄마에게 송편을 해먹자고 졸랐던 것도 같습니다.
많이도 말고
한접시만이라도...
집을 잃고 실의에 잠긴 엄마가
무슨 기운이 나서 떡을 해줄수 있다고 생각했는지...
나는 동생들과 철없이
송편을 조르며 엄마를 괴롭혔습니다.
아무리 졸라도
엄마는 대답이 없었습니다
화가 난 나는
저녁무렵 집을 뛰쳐 나왔습니다
어디로 갈까?
갈 곳이 없었습니다.
건너편 언덕위로 올라갔습니다.
동네가 다 보였습니다.
다 행복한데
우리 집만 불행해 보였습니다
한친구가 저쪽에서 다가왔습니다.
영락 모자원에 살고 있는
같은 반 친구였습니다.
평소에 친한 친구가 아니었는데
친구를 보니 반가웠습니다 .
둘이 이런 이야기 저런 이야기 나누다
추석인데도 사과 한알 못먹었다는 이야기를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자 친구가 잠깐만 기다리라고 말하며
사라졌습니다.
잠시후 친구는 보기에도 먹음직 스러운 사과 한알을 내게 주었습니다.
명절이라 여기 저기서 후원품이 많이 들어와
자기집엔 사과가 있다며
나에게 먹으라고 주었습니다 .
나는 그자리에서 껍질채 빨간 사과 한알을
우적 우적 다 먹었습니다. 강챙이까지 싹 다먹었습니다.
내친구는 그런 나를 아주 따뜻한 눈으로 지켜보았습니다.
그해 추석 나는 너무 너무 먹고 싶던 사과를
해질 녁 노을 속에서 먹었습니다.
그때 내게 사과를 주었던
그친구. 자기에게 하나밖에 차례가 돌아가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귀한 사과를 친구를 위해 기꺼이 내놓았던
그친구가 오늘 많이 생각납니다.
아버지가 없었던 그친구
그래서 엄마와 동생과 함께
영락 모자원에 살아야 했지만
마음은 넉넉했던 그친구가
지금 어디에서 살던지 행복하기만을
바래봅니다.
그리고 나도 그 사과를
그고마움을 평생
가슴깊이 간직하고 있다고 말해주고 싶습니다.
친구야 , 고마워
니가 준 그사과가 있어
그해 추석은 따뜻했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