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김장... 하셨나요???

| 조회수 : 13,326 | 추천수 : 82
작성일 : 2008-11-28 13:46:56
김장들 하셨어요?

저흰 지난 주말에...
친정 엄마가 허리를 다치신지 얼마 되지 않아, 제가 총대 매고 도와 드렸지요.
올케는 직장때문에, 언니는 아이가 아파서 못오고..
저 혼자 35포기 절이고 씻고 다듬고...ㅠ.ㅠ

엄마 김치 스물 몇포기 속 넣어드리고-속은 엄마랑 둘이 같이 넣었지요. 이건 다행히 앉아서 하는 일이라...

나머지 절인 배추 열 몇 포기를 들고와서, 우리집 김장은 우리집에서 마무리 했습니다.(양념이 달라서 같이 못하겠더라구요. 우선 우리는 고춧가루를 덜 매운걸 써야 하고...)

김장이란게 그렇잖아요. 배추를 절이고 속을 넣는 것 뿐 아니라 그 전주에 마늘까고 생강을 다듬고..등등 양념을 준비하는 일부터 참으로 손이 많이 가는 음식입니다.
그래서 나름 힘들었지만 겨울양식을 마련하고 나니 뿌듯합니다.

그래도.. 다행이라고 했습니다.
우리집은 그다지 김치를 많이 먹지 않아서...

엄마 김장은 엄마 설 명절 세야 하는 김치 뿐 아니고 오빠네랑 언니네 나누어줄 몫까지 포함인데,
그 집들은 다들 사정상 외식이 많아 김치 소비가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저 혼자...뉘집들처럼 50포기, 100포기 하는데도 많은데, 달랑 35포기라서 그나마 참 다행이라고 하면서... 했습니다. ㅎㅎㅎ


김장 기념으로, 누구나 담글수 있는 <왕초보 동치미 만들기> 올려 볼랍니다.
너무너무 잘하시는, 수십번 담궈보신 고수님들 알아서 패스 하시구요, ^^
왕초보 이신분들, 오늘 낼 사이에 막 요리물음표에 동치미 어떻게 담가요? 하고 물어볼까 생각했었던 분들만 보시길...



먼저 동치미 무는 그다지 크지 않은것으로 절대로 껍질에 칼대지 마시고 그저 깨끗이 씻으시길...(칼 대면 무가 무르기 쉬워요....게다가 무의 단맛이 빠져나가서 맛이 덜해요.)
저는 그냥 통사이즈에 맞게, 동치미 무 9개에, 마늘 깐거 한줌, 생강은 그보다 적게.. 한 반줌?? 준비했어요.
삭힌고추도 그냥 한주먹, 청각도 딱 그만큼, 쪽파 한 열대? 그정도 준비했어요.

정확한 계량?? 없습니다. ㅠ.ㅠ
이런건 그냥 계량 없이 해도 익으면 그럭저럭 맛이 나므로 그다지 신경쓰지 않는 편입니다.

삭힌 고추는 저는 두어달 전에 미리 매운고추를 소금물(물:소금=5:1로 탄)에다 삭혀두었지만, 요새는 김장철이라 야채가게에서도 많이 팔고요, 또 없으면 그냥 풋고추를 청 홍색으로 준비해서 넣어도 그만입니다.

청각 역시 요새는 김치거리 파는데 잘 보면 옆에다 같이 팝니다만, 없으면 안넣어도 됩니다.
청각은 잠시 찬물에 미역 불리듯 불렸다가  건져서 휘둘러 씻으면 아래로 잔모래같은게 씻겨집니다.

마늘 생강은 편써시고..
쪽파는 대로 길게 그냥.. 혹시 쪽파 넣기 싫으시면 대파를 절대로 줄기까지 넣지 마시고 뿌리부분만 잘라서 흙만 떨구게 살살 헹궈서 사용하면 좋아요.

그럼.. 준비한 통에 무 넣고, 굵은 소금을 휘휘 흩뿌립니다.
위에다  고추, 마늘, 생강, 청각, 파를 휘휘 뿌려 주시고, 다시 무 한층 쌓고 또 반복..
그러면 딱 요 상태지요.



뚜껑을 덮습니다. 재료가 많아서 뚜껑이 안덮여지네요? 걱정없습니다. 베란다에 놔두고 서너시간 있다가 와보면 닫힙니다. 그사이에 무가 절어서 물이 빠지면 부피가 줄거든요.

뚜껑이 덮어지면 완전히 닫고 베란다에 4-5일간 방치합니다.
저는 4일 두었지요.


취향에 따라 사과나 배 같은걸 넣는 분도 계신데, 저는 딱 요렇게 기본만 넣어요.
과일이 들어가면 달아져요. 가을무가 어찌나 맛난지, 과일 안넣어도 충분히 달거든요.



4일만에 국물을 붓습니다.
국물을 나중에 붓는 이유는, 무가 통무라서 국물을 처음부터 부어 버리면 국물은 쉬고 무는 덜익어서 맛이 그만 못해요.
찬물 보다는 미지근한 물에 소금을 간간하게 타서 붓습니다. 미지근한 물로 국물을 잡아야 익으면 더 시원하다라고 예전에 장선용선생님 책에 써져 있던것을 기억합니다. ^^

이떄 주의할것은 무가 절면서 통 바닥에 국물이 많이 생겨 있을거예요. 무턱대고 국물을 붓지 말고 먼저 그 물을 간을 보라는 겁니다.
그 국물이 얼마나 짠지에 따라 위에 붓는 국물 간을 조절해야 하거든요.

무가 사진처럼 둥둥 뜰거예요. 그러면 무거운 접시같은걸로 들뜨지 않게 해서 눌러서 뚜껑을 덮습니다.

이렇게 해서 저는 실온에서 하루 더 놔두었다가 김치냉장고에 보관했지요.



동치미 국물 붓는 김에 백김치 국물도 같이 만들어 부었어요.
저희는 백김치는 요정도 자작하게 국물을 부어서 담급니다. 이것도 바로 물 붓지 않고 담근지 12시간정도 지나고 부어요.

올해도 시골서 농사지은 배추로 김장했는데, 비료도 약도 안쳤다더니 배추가 많이 질깁니다.
먹어봤더니 벌써 익었는데 맛은 그냥 그러네요.ㅠ.ㅠ



여기서 잠깐, 재미삼아 보여드리는 우리집 김치 시리즈.
지금 먹는 김치들입니다. 마침 먹던 김치가 똑 떨어진 탓에 김장김치를 얼른 숙성시켜 먹기 시작했거든요.

동치미는 빠졌지요? 동치미만큼은 아직 조금더 맛이 들면 꺼내려고요..

오른쪽 위부터 배추김치, 백김치, 깍두기, 고들빼기 김치, 깻잎김치, 파김치 되겠습니다.
저중에 위의 세줄이 김장이고, 아래에 있는 세가지는 최근에 담근 것들이지요.
올 김장중에는 깍두기가 가장 먼저 맛이 들었는데 진짜 맛나게 되었네요. 새우젓 팍팍 넣고 굴 넣고 담가서 그런가..
고들뺴기랑 깻잎김치는 각각 소금물에 일주일 삭혀서 액젓에 버무려 담갔지요. 파김치랑 더불에 요 세가지가 요즘 밥도둑입니다.



김장때 무리를 했는지.. 살짝 목이 칼칼하고 감기몸살 기운이 있길래 얼른 프렌치 어니언 스프를 한솥 해가지고 먹었습니다.

늘 하던대로,
우묵하고 밑이 두꺼운 냄비에다가 양파 큰걸로 서너개를 채썰어 버터 한큰술에 식용유 한큰술 두른 다음 볶습니다.
1-2분 볶다가 뚜껑을 덮고 불을 제일 약하게 줄인다음 다른 일을 하면서 5-7분에 한번씩만 뒤적여 줍니다.
그렇게 총 1시간 정도 볶는데, 나중에 양파 색이 브라운이 되면 다 된겁니다.
그러면 화이트 와인 한컵을 팍 붓고, 알콜이 날라가면 육수 두컵(물+치킨스톡 한개) 붓고 한소끔 끓입니다.
소금과 후추간을 하고 불을 끄면 되지요.

먹을때는 스프볼에 스프를 담고 바게트 또는 아무 프렌치 브래드를 한쪽 얹고 치즈를 듬뿍 얹고 200도로 예열된 오븐에서 10-15분 정도 굽습니다.



뜨거울때 호호 불어가면서 한그릇 비우고 나면 목이 한결 시원한 느낌이지요.



그리고 비오는 축축한 날에는 간식으로 호떡도 구워 먹고..



홈메이드 복숭아 잼을 가득 넣은 젤리 롤케익도 만들어 먹습니다.



끄트머리 안이쁜쪽은 잘라서 제가 커피랑 먹어치우고,



새끼들은 가운데 이쁜쪽으로 잘라 줍니다. 우유랑 먹으면 가장 맛있지요.

다른분들은 애들 간식 줄때 어디다 담아주시는지??

저 요즘 모던하우스에서 팔던 뽀로로 그려진 간식접시 참으로 탐나는데, 저는 아무래도 앞으로도 줄곧 이리 플라스틱접시에다 멋대가리 없게 줄거 같아요.ㅠ.ㅠ



그리고 오늘 현장학습 가는 큰넘 간식으로는 황치즈가루 넣고 구운 쿠키 한봉다리 들려 보냈지요.

요거 참 맛나네요.
베이킹스쿨에 있는 치즈쿠키 레서피를 변형했습니다. ^^

남은 쿠키는 울 작은넘이 풀빵굴에 쥐 드나들듯 해치우고 다닌다는...ㅎㅎㅎ



..날씨가 많이 춥지요?
녹차 생크림 롤케익 너무 먹고픈데 지금부터 만들까 말까 심히 갈등때리고 있답니다.
어쩔까요???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오렌지 소주
    '08.11.28 2:01 PM

    녹차 생크림 롤케익..저두 먹고싶어요 얼렁 구워주세요~~ ^^
    동치미 레시피 넘넘 유용하네요...바로 실천~~

  • 2. 김정희
    '08.11.28 2:11 PM

    올 처음 김장에 도전해보고 ㅠㅠ 넘 싱겁게 해서 빨리 쉴것 같아요. 동치미도 시도해 봐야겠네요.

  • 3. 시골풍경
    '08.11.28 2:12 PM

    피코님 만쉐이,,피코님 항상 존경존경!!

  • 4. 수국
    '08.11.28 2:12 PM

    호떡에 녹차가루 넣으셨나봐용~~
    ㅎㅎ제가 주말에 호떡 만들었거든요. 태어나 첨 만들어봤는데 그중 젤 첨에 만든거 모양이 어떤줄 아세요?? ㅋㅋㅋ 완전 큰 부침개수준요. ㅎㅎㅎ
    오빠가 옆에서 이렇게 저렇게해라 말하는데 . 근데 그대로하니까 진짜 잘 구워지는거있죠.
    오빠가 바로 5개먹고 아빠는 젤 작은걸로 1개. 엄마는 기름 싫어하니까 렌지에 구워드리고 ㅎㅎ
    그 킹사이즈 호떡 다시 오빠가 반으로 접어서 먹어버리고

    롤케이크말구...브로트쿠헨요 ^^

  • 5. 시골풍경
    '08.11.28 2:22 PM

    피코님? 동치미 담굴때요 무가 다 절여지고 나서 마늘,생강,쪽파,,삭힌고추 넣는거 아니에요?
    나중에 국물 부을때 그때요??

  • 6. 크레파스
    '08.11.28 2:28 PM

    매번 느끼지만.. 오렞니피코님 솜씨도 솜씨지만 정말 바지런하게 사세요
    남편분,아이들 모두 복받으셨어요~

  • 7. 다물이^^
    '08.11.28 3:26 PM

    우와~ 대단하시다~
    고생많으셨어요^^
    저도 시댁가서 김장하고 왔는데...200포기 했어요!!ㅋ

  • 8. 오렌지피코
    '08.11.28 3:43 PM

    시골풍경님, 집집마다 달라요. ^^
    저도 전에 본 어떤 요리책에서 무 먼저 절이고 부재료 넣는거라고 본적이 있지만,
    울 친정엄마도 시어머님도 그냥 처음부터 넣으시네요.
    그렇지만 너무 맛나게 잘되요.
    그래서 세상에서 제일 쉬운 김치라죠.ㅎㅎㅎ

  • 9. 마루엄마
    '08.11.28 3:56 PM

    엄머나~ 무우껍질 벗기지 말라구요?
    엊저녁에 동치미 무우를 필러로 싹싹 긁어버렸네..ㅠㅠ

  • 10. 지윤마미..
    '08.11.28 4:24 PM

    짭조름 할 듯한 황치즈 쿠키도 먹고 싶고 복숭아 향이 가득할 듯 한 롤켘도 먹고 싶네요.
    어이언 슾의 치즈의 종류가 궁금해요~~~

  • 11. 귀여니
    '08.11.28 6:20 PM

    무식한 질문일지 모르지만 화이트와인이 많이 들어가는데 아이들 먹어도 괜찮아요? 몰라서..

  • 12. 오렌지피코
    '08.11.28 6:35 PM

    지윤마미님 방가방가..^^ 서양사람들은 보니까, 치즈가 흔해서 그런지 이것저것 다양하게 쓰든데, 울나라 사람들은 그냥 모짜렐라만 올리곤 하지요.
    저는 에멘탈 치즈랑 모짜렐라 섞어서 올리면 제 입에는 제일 좋은데.. 보통은 에멘탈 비싸서리.. 이번에는 체다치즈 한장이랑 모짜렐라 올렸어요.

    참, 보통은 바게트를 구워서 올리지요? 식당에서는 마늘바게트를 올려 주더군요.
    저는 안그래요. 귀찮기도 하고.. 굳이 버터로 구운 빵으로 칼로리를 높일것 까지는 없을듯 해서..

    귀여니님, 알콜은 다 증발해서 괜찮아요.^^

  • 13. capixaba
    '08.11.28 10:09 PM

    저는 진짜 오렌지피코님 보고 싶어요.
    얼마나 부지런하신지 피코님 글 보면 제가 다 부끄러워지거든요.
    날씨 많이 추워졌는데 아가들 감기 안걸리고 잘 있죠?

  • 14. miro
    '08.11.28 10:18 PM

    동치미 레서피 나오는 것보고 아우, 반가와~ 그랬는데, 다 읽고나니 어렵네요. 담에 해야지. ㅡㅜ
    저는 이집저집에서 김장김치 한통씩 얻어서 쌓아놨어요! ㅎㅎ
    롤케이크가 어찌나 부드러워 보이는지, 입에서 샤르르~ 녹아버릴 것같네요.

  • 15. 체스터쿵
    '08.11.28 11:00 PM

    아~~어니언숲 정말 땡겨요~~ㅎ
    만들어 먹긴 넘 시간을 요하공..어디 맛있게 하는데 없을까요?--
    언젠가 이거 먹으러 티지아이에 일부러 갔다가 입맛만 베리고 왔잖아요..

  • 16. 느긋하게
    '08.11.29 2:46 AM

    저 고들빼기 좋아하는데 올해엔 시어머니가 힘들어하실까봐 말씀 안드렸어요. 준비 다 해놓으시면 양념 버무리기만 하는 얌체 며느리라서요.
    정 아쉬우면 제가 담가 먹어야겠지요?^^
    백김치도 오랜만에 보니 욕심이 나고 동치미도 욕심이 나네요.
    에구구.....만들지도 못할거면서 욕심만 나니 이걸 어째요.--;;

  • 17. 레먼라임
    '08.11.29 7:46 AM

    오렌지피코님은 아기가 생기기 전부터 팬이었지요^^

    항상 댓글을 달면서, 아기를 갖게 되면 참 잘 키울 것 같다는 생각을
    늘 했었거든요.

    사랑하는 예쁜아가를 위해서 엄마가 정성껏 만들어 주시는 간식들...
    곰돌이 푸우 만큼 저도 큰 미소 보내드려요 ^^

  • 18. 솔솔
    '08.11.29 9:59 AM

    오렌지 피코님 ! 오늘 절 살리셨습니다.

    울 아들 올해에는 꼭 동치미 해달랬는데 아무리 쉬운 설명을 들어도 감이 잡혀야지요.

    오늘 아침도 동치미 우째 담을까 고민하였더니~

    살았네요. 하늘이 도우셨습니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8280 드디어! 유자차를 만들었어요.. 감동감동 7 hshee 2008.12.01 5,645 19
28279 지난 주 도시락 차림 릴레이~[도시락통 추가] 20 만년초보1 2008.12.01 21,709 125
28278 허무한 음식 3가지와 그릇얘기 4 선물상자 2008.12.01 8,210 48
28277 머핀을 구웠어요.. 6 binario 2008.12.01 4,131 43
28276 한국에서도 감자탕 먹은게 자랑 ㅎㅎㅎ 14 수국 2008.12.01 8,160 102
28275 월동준비 크리스마스 준비 22 bistro 2008.12.01 8,667 57
28274 독일에서 감자탕 먹은게 자랑...^^;;; 51 순덕이엄마 2008.12.01 20,102 142
28273 뉴욕에서 감자탕 먹은게 자랑... ^^;; - >')))&.. 49 부관훼리 2008.12.01 12,746 111
28272 자꾸 손이 가는 <바나나 미니머핀> 15 에스더 2008.12.01 12,563 152
28271 이번엔 딸기잼 남은 게 많을 때^^ 2 nobody342 2008.11.30 6,258 50
28270 아이들 간식 만들기 2 aqua 2008.11.30 5,635 75
28269 "수국"님 따라 생강차와 대추자 만들었어요~ 2 나무늘보 2008.11.30 6,860 82
28268 제빵기로 빵 만들기. 8 쵸코코 2008.11.29 9,186 87
28267 어머님 생신상 겸 집들이 상차림 입니다. 5 똘이누나 2008.11.29 16,072 51
28266 6살 딸래미가 만든 칼국수에요.. 9 숙이네^^ 2008.11.29 5,336 65
28265 울집쿠키가게.. 11 아들둘 2008.11.29 6,785 48
28264 . 30 산.들.바람 2008.11.29 11,019 89
28263 아기 탄생과 탄생주 담그기 10 지은사랑 2008.11.29 9,316 37
28262 과일껍질 케잌 12 거꾸리 2008.11.29 5,294 16
28261 혼자 먹는 점심은 이렇습니다^^; 16 2008.11.29 11,679 58
28260 7 물푸레 2008.11.28 5,398 89
28259 너무 추워! 따뜻한 곰탕 한그릇이 생각날때 10 이 맛이야! 2008.11.28 5,794 27
28258 추수감사절의 생뚱맞은 <삼계탕> 7 에스더 2008.11.28 7,019 126
28257 킵펠.. 7 아들둘 2008.11.28 4,216 54
28256 ...김장... 하셨나요??? 18 오렌지피코 2008.11.28 13,326 82
28255 태양초를 사실때에는 꼭지부분을 꼭 확인하세요.. 5 도라지 2008.11.28 4,794 10
28254 많은 무우. 배추 한겨울을 위해 어찌들 보관 하시나요~~ 16 들구콰 2008.11.28 14,244 13
28253 돈아 돈아 맛있니? 4 이 맛이야! 2008.11.27 5,608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