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우리속의 악마? 를 불러보면 어떨까요?

| 조회수 : 2,896 | 추천수 : 281
작성일 : 2009-08-30 10:49:33


  보람이가 빌려온 그리스 여행서적 두 권으로 시작한 그리스 기행,눈으로 마음으로 따라 다니다가

드디어 오늘 아침 일단은 마침표를 찍었습니다.이렇게 가다간 한이 없이 그리스 속에서 살게 되고

다른 일을 하기가 어려울 것 같아서요.일단 마음속에 나도 그 곳에 가고 싶다는 불꽃을 피워 놓았고

그래,갈 수 있을꺼야 언젠가는 하는 꿈을 살려놓았으니 일단 정지를 시켜야 할 것 같아서요.



마지막으로 읽은 책은 궁예박사라고 알려진 이 재범교수의 그리스 여행기였는데요,56살에 혼자 떠난

그의 그리스여행기는 1000페이지에 달하는 기록으로 먼저 준비를 확실히 한 다음 떠나서일까요?

더구나 그가 한국사 교수라는 사정이 연결되어 그리스의 역사,그리스의 신화,그리고 한국사와의 연결고리를

통해서 이전에 읽는 글들과는 조금 다른 맛을 풍겨 주었습니다.

더구나 그가 자신을 그리스 여행으로 추동한 세 악마라고 소개한 미키스 테오도라쿠스,마리아 파란두리

그리고 조르바,아니 조르바를 쓴 니코스 카잔차키스  ,그 글을 읽고 나를 뒤흔들고 나를 추동하는 악마는

누구일까,혹은 무엇일까,그런 생각을 해보게 하는 묘한 매력이 있는 책이기도 했습니다.

각자 인생을 살면서 마음속에 잠들어 있는 악마를 불러일으키거나 안에서 키워가다가 지금이다,지금이

아니면 곤란해라고 생각하는 시기,거기가 어디라도 집을 나서면 무엇을 보고 무엇이 달라져서 돌아오게

되고,다시 돌아온 일상은 어떻게 변화를 일으킬 것인가 생각만으로 즐거운 일요일 아침

커피 한 잔 진하게 타서 everymonth에 들어가니 클레어님이 미국의 필립스 콜렉션에서 본 브라크의

그림 한 점을 소개해놓았네요.



역시 그림 한 점으로는 뭔가 하다 만 기분이 들어서 그의 그림을 찾아보고 있는 중인데요

금요일 음악회 다녀오는 길,켈리님 차 속에서 들었던 베토벤의 바이얼린 협주곡의 느낌이 아직도 남아서

그렇다면 오늘 아침은 그 곡으로 ,마음을 정하고 소리를 조금 올려서 들으면서 그림을 보는 일요일 아침



두 점의 그림 제목을 드디어 읽어내고,(불어로 된) 더구나 두번째 그림은 그리스에서 본 푸른 새라니

갑자기 이런 우연이 신기해서 웃게 되네요.



이 작품은 브라크란 것을 몰랐다면 마티스인가? 하고 착각했을 유사성이 있군요.동시대를 살았던

화가들의 삶과 서로 주고 받은 영향을 생각하게 되는 시간입니다.

브라크에 대해서 제대로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퐁피두 센터의 그림이 시립미술관에 왔던 때의 일인데요

그저 피카소와 둘이서 큐비즘을 연 화가정도로 가볍게 알다가 그 날 그 자리에서 새롭게 그를 발견하고

내가 아는 브라크는 미술사속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인물로서의 브라크에 불과했구나 하고 놀랐었지요.

그 뒤로는 그의 이름을 발견하면 반가운 마음에 조금 더 관심갖고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그런 점이 바로 전시회가 우리에게 주는 즐거움이 아닐까요?



바이올린과 물병을 그린 이 그림의 제목에 violon이란 표현이 있네요.비올롱이 바로 불어로 바이올린인

모양인데요,그 표현을 처음 접한 것은 당신의 취미는 무엇입니까?란 간단한 회화표현에서였지요.

그런데 왜 앵그르의 바이얼린이 취미일까? 도대체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나중에 알고 보니

화가 앵그르는 그림에 대해서 누가 비판하는 것보다 자신의 바이올린 연주 실력을 비판하는 것에

화를 냈다고 하네요.그래서 앵그르의 비올롱이란 말이 취미란 말이 되었다고요.






그의 그림을 찾다보니 마음속에서 말이 마구 흘러나와서 수다가 강을 이루는 기분입니다.

이렇게 계속 가면 일요일 오전이 훌쩍 다 지나버려서 곤란할 것 같네요.



일단 정지,이 말이 앞으로의 제 인생에서 조금은 필요한 주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는 일요일 아침입니다.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늬
    '09.8.30 12:09 PM

    '파랑새'란 단어 자체도 찌르찌르 미찌르를 연상케하면서 의미를 느끼게 해주지만,
    저 심플하고 멋진 마티스그림같은 위의 '파랑새'그림이 브라크라니 저도 놀랍습니다..

    그리고,아주아주 가끔씩은 인투님의 '수다의강'이 바다를 이뤄도,,
    좋을듯한데요? 실례가 되려나...;;
    힘들고 생활에 방해는 되겠지만..그니까 아주아주 가끔씩요...
    ㅋㅋ 저같은경우 풀어내고 싶어도 능력이 안되서 못하니요...;;;;

  • 2. 소꿉칭구.무주심
    '09.8.30 4:48 PM

    늘 감사합니다
    고운주말 되세요

  • 3. 슈퍼줌마
    '09.8.30 7:05 PM

    하나의 미술관을 보는것같이 좋은데요..^^

  • 4. 카루소
    '09.8.30 7:16 PM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정경화 연주

  • 5. wrtour
    '09.8.30 10:40 PM

    난 처음 저 그림이 피카소 인줄 알았습니다.
    큐비즘의 브라크라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을 터 누구 작품이 먼저인지 궁금합니다.
    피카소는 1912년 작이던데....

    앵그르가 바이얼린 주자였나 보네요,흥미롭습니다.
    제가 더 흥미로운건 물론 드라크르와 때문이구요.
    둘이 당시 유파의 대표 선수잖아요.

    드라쿠르와는 리스트와 그 연인 마리다구,쇼팽과 상드 등등과 넘 친한 사이였어요.
    그래서 혈기없어 보이는 쇼팽의 그 유명한 초상화도 그가 그렸구요.
    물론 볼이 두툼하게 나온 상드 대표 초상화도 그가요요.
    쇼팽의 장례식이 열린 파리 마들린 성당에서의 실제 상주는 드라쿠르와였습니다.
    쇼팽 죽은지 10년이 지났어도 그 회고록에서 쇼팽을 그리워했구요.

    그런데,
    앵그르도 음악가 초상화를 그렸어요.
    파가니니 초상을요.
    신고전주의 답게 평소 괘팍한 이미지의 파가니니가 아닌 이상화된 그런 모습으로요.
    물론 그 초상화도 우리가 자주 접하는 거구요.
    전 드라크르와가 쇼팽,상드 초상화를 그리게 된 이유를 알고 있지만
    앵그르와 파가니니와는 연결고리를 찾지 못했거든요.
    이제사 알았습니다.
    바이올린을 그리 좋아해서 파가니니 초상까지 그렸나봅니다.

    당시 화가,조각가들 연주자인 경우도 있었더군요.
    파올로 베로네세는 를 그렸는데,
    거기엔 티치아노는 베이스 비올을,틴토레토는 바이올린을 켜고 있거든요.

    역으로 멘델스존 그림도 유명하고.

  • 6. 봉화원아낙
    '09.8.31 12:29 AM

    고운글...아름다운 이야기 고맙습니다.
    늘 고운날 보내소서^^

  • 7. 캐드펠
    '09.8.31 2:10 AM

    저두 인투님의 수다의강을 좋아하는 일인이랍니다.^^*

  • 8. 웬디
    '09.8.31 6:04 PM

    인투님의 글과 그림을
    다시 자주 볼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항상 눈과 귀와 마음 채우고 갑니다
    늘 우리곁에 있어주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1928 초밥 드세요!! 17 카루소 2009.09.02 3,333 124
11927 남편 중에도 이런 사람 꼭 있다ㅠ 1 One_t 2009.09.02 1,933 64
11926 현재 실험중-성공을 바라면서 5 intotheself 2009.09.02 2,159 210
11925 김성욱의 취재파일 원두막 2009.09.02 3,196 197
11924 국민참여신당....초청강연.. 천호선,이병완 1 나무 2009.09.01 1,663 142
11923 울엄니 조냥정신에.. 9 소꿉칭구.무주심 2009.09.01 2,114 55
11922 귀한 선물에 배가 불렀던 날 2 intotheself 2009.09.01 2,563 214
11921 수세미 드림 후,,, 5 정가네 2009.09.01 2,030 91
11920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7 카루소 2009.09.01 2,972 166
11919 9월 달력입니다. 13 안나돌리 2009.08.31 1,847 87
11918 인간의 감정을 두뇌싸움으로 다스리는 영화 - 죽음보다 무서운 비.. 3 회색인 2009.08.31 1,988 98
11917 말말말, 말고기를 말하다! 1 에코 2009.08.31 1,307 104
11916 영화 코코 샤넬속에서 만난 2 intotheself 2009.08.31 2,563 196
11915 앵그르의 그림을 보는 아침(wrtour님의 글에 자극을 받고) 2 intotheself 2009.08.31 2,223 201
11914 소쇄원 11 mil 2009.08.31 1,598 55
11913 캘리 산불...... 어제 오후 @@ 3 레먼라임 2009.08.31 1,555 84
11912 짜르짜르 모짜르트!! 10 카루소 2009.08.30 2,446 112
11911 푸르디 푸른 풍경으로 온날들 15 소꿉칭구.무주심 2009.08.30 1,567 55
11910 우리속의 악마? 를 불러보면 어떨까요? 8 intotheself 2009.08.30 2,896 281
11909 그 여름은 가고..... 4 안나돌리 2009.08.30 1,642 128
11908 망개떡을 아시나요?? 13 봉화원아낙 2009.08.29 1,853 43
11907 전차를 타며 과거를 느끼다. 11 카루소 2009.08.29 2,440 134
11906 함백산의 여명 3 어부현종 2009.08.29 1,258 76
11905 아래 아래 원두막은 3 spoon 2009.08.29 1,572 123
11904 이 사람-비교종교학자 오 강남 5 intotheself 2009.08.29 1,839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