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동양의 크레페 (연락처 추가~^^)

| 조회수 : 11,575 | 추천수 : 81
작성일 : 2009-02-05 02:31:45

동양의 크레페(크레이프) 메밀전입니다.
옆면을 보세요.
크레페 케이크 뺨 칠만 하죠?
1천원에 두 장이고 2만원 어치 샀으니 40층이 조금 넘는군요.
(약간의 덤 포함)
시댁이 강원도 원주인데 거기 중앙시장이라고 있거든요.
거기서 천원에 네 장일 때부터 사다 먹었는데 이번에 가니 천원에 두 장이라네요.
흑... 나이 먹는 것보다 이런 게 더 슬퍼요...ㅠ.ㅠ
결혼하고 메밀전의 맛을 알게 되었어요.
제가 얼마나 잘 먹는지(거의 환장하는 수준^^;)
어머님께서 서울 올라가면 메밀부침개 장사나 해야겠다고 하시네요.







저는 이렇게 신 김치 넣고 부친 게 제일 맛있는 거 같아요.
지금은 겨울이라 부추가 들어갔는데 참나물을 넣은 게 더 맛있어요.
향도 좋고 아삭한 식감도 살아있거든요.
지난 번에 어머님께서 집에서 부치셨는데 미나리를 넣으시더라구요.
그것도 괜찮았어요.그래도 참나물이 제일 맛있다는 거...
크레페가 부드럽고 달콤한 맛이라면 메밀전은 쫄깃하면서 개운한 맛!


서울에서도 팔기는 하지만 흔하지 않고,
잘하는 곳도 드물더라구요.
강원도 시장통보다 못한 거 같아요.
한번은 메밀음식 전문식당 생겨서 가봤는데 퍼석퍼석하고 별로였어요.
얇지 않고, 비싸기만 하고...
결정적으로 맛이 너무 없었다는 거.







이렇게 얇게 부치는 게 핵심이죠.
얼마나 얇은지 뒤에 있는 젓가락이 비칠 정도.
메밀전병도 먹을만 하기는 해요.
얇게 부쳐낸 메밀전에 채 썬 무를 빨갛게 양념해서 돌돌 말아낸 것인데
맛은 있지만, 아무리 그래도 메밀전이 쵝오!  








친정엄마도 메밀전을 너무 좋아하시거든요.
원래 가루 음식을 좋아하기도 하고, 부침개나 전 종류를 워낙 좋아하세요.
그래서 시댁에 갔다 올 때마다 사가지고 와요.
이번 설에도 사가지고 왔죠.
음식 많은데 무슨 전이냐 하겠지만,
이번 설에는 명절음식을 하나도 못 하셨어요.
할머니께서 위독하셔서 병원에 계셨거든요.
어른이 편찮으시면 세배도 하지 않고 명절 음식도 하는 거 아니라면서요.







포장을 기다리다가 몇 컷 찍었어요.
집에서는 후라이 팬에 한 장씩 부쳐 내기 때문에 오랜 시간과 정성이 들어요.
밀전병을 김치 부침개 크기로 부쳐낸다고 생각하시면 되요.
결혼하고 첫 해에 한 번 해봤는데 엄청 어렵습니다.
제가 부친 메밀전은 누더기였어요.
구멍 난 부분을 반죽으로 땜질했거든요.
몇 장 부치고 저희 어머님께 이렇게 아뢰었습니다.
“어머니, 내년부터는 그냥 사다먹어요~”
(네네~ 저, 대책 없는 며느리 스탈입니다. -,.-)


안 되는 거 붙잡고 있어봐야 서로 고생이에요.
못하는 사람은 부치느라 고생이고,
먹는 사람은 없애느라 고역이고...
기름기 없이 얇게 부쳐내는 게 핵심인데
튀겨도 부족할 판에... 기름 없이 얇게 부치기가 쉽던가요?
안 부쳐 봤으면 말을 하지 마세요~









요렇게 거의 말라갈 때 재료를 얹습니다.
거의 기름 없이 부치기 때문에 아무리 많이 먹어도 살이 안 찔 것 같은,
그런 허무맹랑한 착각이...
버뜨,
뭐든 많이 먹으면 살찝니다.
제 아무리 저칼로리래도 “섭취량<소모량” 요게 다이어트 불변의 공식이죠.
보통 요걸 잊는다는 거...
잊은 건지, 잊고 싶은 건지...ㅋㅋ
  







이렇게 배추 넣고도 만들어요.
제사 음식으로도 올린다고 하네요. 그래서였는지 그날 배추로 된 것이 주였어요.
이바지 음식이라고 해야 하나?
저 결혼할 때 어머님께서 저희 집으로 보낸 음식 중에 배추로 부친 메밀전도 한 바구니 있었어요.
그러니까 어디 보내거나 제사음식으로는 배추로 된 것을 사용하더군요.
뭐, 제사음식에는 원래 고춧가루 사용을 안 하니까...









완성된 전은 이렇게 체에 올려서 식혀요.
메밀전 최대의 미덕은 식어야 맛있다는 거.
그래서 누구 사다주기가 좋아요.
임신 했을 때 너무너무 먹고 싶었는데 파는 곳도 없고,
가만히 있어도 울렁거리는데 차 타고 가기도 겁나고 그래서 못 먹었어요.
마트에서 메밀가루랑 참나물 사다가 부쳐봤는데 그 맛이 아니더라구요.
포장할 때 여쭤보니 전화주면 고속버스로 부쳐주기도 하신다고 하네요.
진작 알아둘껄... -,.-
제가 전화번호 챙겨뒀으니까 필요하신 분은 물어보세요~
많은 분들이 여쭤보시면 번호 공개해드릴게요.






---------------------------------------------------------------------------
부침개 집 연락처 공개할게요~
원주 중앙시장 골목에 보면 이런 부침개 집이 연달아 붙어있어요.
제가 먹어 본 결과 맛은 대동소이하더군요.
그래도 그 중에서 두 집이 괜찮았는데
그 중에 하나가 미진부침이라는 집이었어요.
여기가 조금 더 얌전하게 하기에 계속 이 집으로 낙찰.
전화번호는 010-3069-6957 (미진부침)
가격은
메밀부침개 (배추or 김치) 2장에 천원
메밀전병 2개 천원
또 뭐 하시냐고 물으니까 녹두부침개도 하고 동그랑땡도 하고 다 하신다고 하시는데
다른 건 안 먹어봐서 패쓰...


참나물 들어 간 것은 언제 먹을 수 있냐고 물었더니
요즘도 해준다고...-,.-
그럼 저번에는 왜 부추가 들어간겨~ -.-;
그러니까 주문하실 때 부추인지 참나물인지 그것도 확인하세요!
(저는 참나물을 추천해드리고 싶군요)


요즘 같은 날씨로는 택배도 괜찮을 것 같기는 한데
그래도 음식이니까 저는 고속버스편만 여쭤봤어요.
택배는 알아서들 문의~
원주-서울간 고속버스 요금이 5천원 정도 하니까 그 정도 요금을 지불하시면 된다고 하시네요.
서울에서는 반포에 있는 고속버스 터미널에서 찾는 건 확실하고...
상봉터미널이나 강변역에서도 원주 가는게 있는 것 같은데 이용해 보지 않아서 확실치는 않네요.
상봉터미널은 폐쇄됐다는 얘기를 들은 것도 같고..
암튼 받는 방법은 직접 여쭤보세요! ^^

----------------------------------------------------------------------------




여러분들은 명절을 어찌 보내셨는지요.
저는 아주 못된 명절 징크스가 있습니다.
그 많은 음식 놔두고 어찌 그리 피자가 땡기는지...
어렸을 때는 사촌들을 선동해 피자집으로 끌고 가던 악동이었어요.
그때는 엄마한테 욕 좀 먹으면 그만이었지만,
결혼하고는 그럴 수가 없어서 그저 입맛만 다실 뿐!
작은 엄마들이 나를 얼마나 미워했을지...
저 어렸을 때만해도 피자 뷔페라는 것이 있었어요.
사촌들이랑 콜라 없이 누가 피자 많이 먹나 그런 내기도 하고 그랬죠.
참으로 미련한 게임을...
그런 거 아니면 소주잔에 물 담아 놓고 누가 많이 마시나 그런 내기도 하고...
그러니 밥을 잘 먹을 수 있겠어요?
사촌들 모이면 괜히 들뜨고 그래서 여기저기 뛰어다니고 그랬죠.
딱히 뭘 하고 논 기억은 없구요.
그냥 막 뛰어다닌 기억만 남았네요.
그나저나 애들은 이유도 없이 왜 그렇게 뛰어다니는지 모르겠어요.
늙기 시작하면서 무얼 궁금해하지도... 뛰지도 않는다는데 제가 그렇습니다.
(어른들 많은데 송구한 말씀입니다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세뱃돈을 받는 사람이었는데,
어느새 세뱃돈을 맡아주는 사람이 되었네요.
굽혀지지도 않는 아들의 무릎을 억지로 굽혀가며 세배를 시켰어요.
세뱃돈은 물론 제 주머니에... 헤헤...
아들, 이 돈은 엄마가 맡아 줄게!
이것은 강탈 혹은 약탈?
남편은 분개하며 (본인도 뺏긴 기억이 있는지) 통장을 만들어준다느니 다 적어놓아야 한다면서 열변을 토하더군요.
콧방귀와 함께 한 마디 날려줬어요.
“시꺼! (시끄럽다의 준말)^^ "









2009년 새해를 맞이하며 남편과 한 잔 했어요.
와인이라 최면을 걸면서...
무알콜시기를 보내는 요즘,
술이 무척이나 고픕니다.
일찍 낳은 죄(?)로 두 돌까지 수유할 생각인데
너무 까마득한 거 있죠.
어떤 날은 친한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맨 정신에 주사를 부립니다.
궂은 날은 따끈하게 데운 청주와 꼬치를 먹고 싶다고...
더운 날에는 치킨과 맥주 타령을...
가끔 달달한 스파클링 와인도 마시고 싶다고...
소주는 못 마시는 관계로 패쓰...
그러면 친구가 so cooooool하게 이럽니다.
"애 업고 나와~"
(뒷말이 더 중요한데 얘가 꼭 이럽니다.
“뽀대나는 아기띠 말고 꼭 포대기 하고 나와야 된다. 그러면 니가 사달라는 술 다 사줄게”
이거 나오지 말란 얘기죠? -.-+



제가 한동안 뜸했죠?
2009년은 일 많은 한 해가 되려나 봅니다.
연초에는 남편의 접촉사고로 걱정을 했는데 얼마 전에는 위독하시던 할머니께서 돌아가셨어요.
남편의 접촉사고는 상대편 차가 신호위반으로 받았거든요.
허리가 안 좋다고 했는데 물리치료 받고 지금은 괜찮아졌어요.
그때 이런저런 글에 병원 문의했는데 답변 주신 분들께 인사도 못 드렸네요.
"놀라셨던 *양양*님, 사라다님, 오늘도 상한가 *^^*님, 안개바다님, 현이랑빈님"
이 자리를 빌어 감사하단 말씀 전합니다.
인생지사 새옹지마라고 그래도 사고 덕분에(?) 허리 강화한다고 요즘 운동을 열심히 합니다.
밤마다 물구나무도 서는데 허리에 효과가 있긴 한가요?



그리고 병원에 입원해 계시던 할머니께서 돌아가셔서 또 정신이 없었지요.
그래서 한동안 82쿡은 고사하고 인터넷을 못 했답니다.
제가 한 일은 따로 없고 그냥 친정엄마 고생하는 거 속상해 하는 정도랑 같이 심란해 하는 정도...^^;



다행히 예전의 생활로 돌아와서 시간 나는 짬짬이 밀린 글들을 읽고 있답니다.
예전에 82쿡이었다면 금방 따라잡았을텐데
요즘은 글이 많아 며칠 걸릴 듯 하네요.
아이가 울면 중간에 관둘지도 몰라요.



할머니께서 돌아가셨는데 이상한 감정이 들었어요.
올해 여든 아홉이 되셨는데 호상이라는 말은 너무 잔인한 말인 것 같아서 쓰지 않을게요.
그래도 많이 앓으신 것도 아니고 조용하고 평화롭게 가셨거든요.
이렇게 말씀 드리긴 뭐하지만...
딱히 비통하거나 슬픈 감정이 들지 않아서 어리둥절한 기분이 들 정도였어요.
저는 열 네 명의 손자 중에 한 명일 뿐이거든요.
손자가 백 명이라고 해도 할머니의 포근한 정을 느낄 수 있을텐데,
저희 할머니, 잔정이 없으신 분이셨어요.
부잣집 막내 딸로 자라 자기 밖에 모른다고 사람들이 그러곤 했는데
원래 사랑 많이 받은 사람이 사랑을 더 많이 줄 수 있는 거 아닌가요?
제 이름을 불러주거나 특별한 감정을 느끼게 해주신 적이 없어서 별 다른 기억이 없어요.
꼭 저 뿐만 아니라 손자 누구에게도 그렇게 해주지 않으셨어요.


나도 뜨거운 가슴을 가진 사람인데...
남의 장례식이라도 이러진 않을텐데...
내가 이렇게 아무렇지 않아도 되나... 싶으면서 저의 마지막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더라구요.
이 기분을 뭐라고 정리해야 좋을지 몰랐는데 아이에게 법정 스님의 무소유를 읽어주다가 제 마음을 대변하는 구절이 있어 옮겨봅니다.


  
『사람이 산다는 게 뭘까?
잡힐 듯 하면서도 막막한 물음이다.
우리가 알 수 있는 일은, 태어난 것은 언젠가 한 번은 죽지 않을 수 없다는 사실이다.
생자필멸(生者必滅), 회자정리(會者定離), 그런 것인 줄 뻔히 알면서도 노상 아쉽고 서운하게 들리는 말이다.
내 차례는 언제 어디서일까 하고 생각하면 순간순간 늘 아무렇게나 허투루 살고 싶지 않다.
만나는 사람마다 따뜻한 눈길을 보내주고 싶다.
한 사람 한 사람 그 얼굴을 익혀 두고 싶다.
이 다음 세상 어느 길목에선가 우연히 서로 마주칠 때, 오 아무개 아닌가 하고 정답게 손을 마주 잡을 수 있도록 지금 이 자리에서 익혀 두고 싶다.
이 가을에 나는 모든 이웃들을 사랑해 주고 싶다.
단 한 사람이라도 서운하게 해서는 안 될 것 같다.』
                                                                                      -법정 스님의 무소유,
                                                                                                가을은 중에서-


2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호미맘
    '09.2.5 3:00 AM

    한동안 안보이신다 했더니 큰 일 치루시느라 그러셨군요..
    잘 알지도 못하는 사람이 말 건네니 어리둥절 하실 듯 ^^;;
    저 발상의 전환님 숨어서 반가워하는 사람 1人이예용
    맨날 눈팅만 하는 눈팅 족입니다.
    항상 닉넴이랑 어울리게 댓글 다시는거 보고 혼자 무릎을 칩니다.
    (전 언제나 그런 쎈쑤를 습득할지...^^;;)
    자주 뵈요~

  • 2. 데니맘
    '09.2.5 3:45 AM

    많이 공감하며 잘읽었어요.

    저도 메밀전 넘 좋아하거든요.
    택배받을수있는 전번 부탁해요~~

  • 3. 예쁜솔
    '09.2.5 4:41 AM

    저도 전화번호 부탁드려요.
    그 집 갑자기 바빠질 듯한 예감~~~

    언젠가 몇 년전...
    친구 시어머니께서 돌아가셔서 친구 몇 명이 문상을 갔지요.
    갸 시집이 원주에서 어디로 더 가는 시골이었는데...
    집 마당에서 아낙들이 메밀전을 부치더군요. 배추 넣고...
    생전 처음 먹어보는데 얼마나 맛있던지 먹고 먹고 더 먹고 왔어요.

    그리고 2년 전, 그 친구 시아버님이 돌아가셨어요.
    그 때 문상갔던 친구들이 모여서 또 문상가면서
    이번에도 메밀전 부칠까? 또 먹고 싶당...
    도착하자마자 상주 며느리에게 한 말...
    메밀전 부쳤니? ㅋ~
    정말 문상에는 관심없고 메밀전에만 관심을 둔 사건...

  • 4. oegzzang
    '09.2.5 5:30 AM

    그 음식을 할 줄 모르면 잘하는 집을 찾아서 먹어라가 제 지론입니다...^^;
    메밀전 부친것을 보니 캬~ 예술입니다.
    아래 웰치쥬스도 맛나고....

    발상의 전환님 집안에 일이 많았네요.
    다 털어내고 새해엔 좋은일만 가득 가득 하시길...^^
    법정스님의 글도 좋군요. 한권 사서 읽어봐야 겠어요.

  • 5. carolina
    '09.2.5 6:44 AM

    저는 9살때까지 원주 근처에서 살았죠,
    그래서 외할머니는 늘 저렇게 전을 해주셔서, 사실 명절이 좋았습니다,
    정말 신김치와 어울리는 그맛.
    오래간만이라서 반가워했더니, 일이 많으셨네요.
    저도 사실 친할머니가 돌아가시면 기분이 이상할 것 같습니다.
    기억이라고는 엄마와 우리 세형제들에게 동네사람들에게 퍼 줄 송편이며, 만두를 만들도록 시키고 나가서 술마시고 취해서 들어와서 엄마에게 일감을 던지던 그런 사람이라서,
    오죽했으면 작은엄마가 처음 명절때 와서 본 기억은 초등학교 저학년인 세아이들이 콧물을 소매로 훔치면서 송편을 빚더라는 이야기를 하셨었죠.
    정말 어떻게 말을 한다는 것 자체가 기분이 묘할 것 같아요.
    그리고 정말 호사다마 맞는 것 같아요.
    저도 근 한달을 3일에 한번씩 아프다가, 요즘 운동합니다.하하
    발상의 전환님, 건강하세요.
    안그랬다간 아마 bistro님이 미래의 사위 걱정할지 몰라요..히히
    오래간만에 봐서 반가워요 그나저나:)

  • 6. 아미달라
    '09.2.5 8:57 AM - 삭제된댓글

    오늘은 책 안 읽어도 되겠어요.
    아침부터 님글로 인해 마음의 양식이 충만한 느낌이예요.

    저도 정선 오일장에서 먹어 본 적 있는데..
    혹시 전화번호 주실 수 있을까요?
    번거롭지 않으시다면. 꾸벅

  • 7. bistro
    '09.2.5 9:05 AM

    남은 11개월 좋은 일만 있으려고 이런 저런일 치루셨나봐요.
    저도 울 사위 억지 세배 받고 싶은데...(조카 줄) 총알도 준비해놨는데...
    주말에 조카 만나기 전에 어여 포대기에 애 업고 날라오셔요 ^^
    술도 없는 거 빼고 다 있는데 ㅎㅎ

    그나저나 전화번호 안주심...사돈 안해욧!!! (얼씨구나하시면 어쩌나;;;;)

  • 8. 현랑켄챠
    '09.2.5 9:23 AM

    우아~~ 메밀전....딱 보기에도 얇고 탄력있어보이네요.
    제가 함 해보고
    사진 찍어서 올려볼께요. 마침 신김치도 많고~~
    친구네 가게(철판요리점) 가서
    철판 좀 쓰자고 해야 겠당~~

    저도 삼촌 돌아가셨을 때 느낌이 그랬는데.....
    근데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생각이 나요.
    잔정 준 적도 없는데
    그냥 사소한 것들에 나 스스로가 의미를 부여하게 되어요.

    어쨋거나, 메밀전...메밀전...메밀전....도전!

  • 9. 수짱맘
    '09.2.5 9:31 AM

    아아아~ 반가워 댓글 답니다.
    제 고향이 원주입니다. 중앙시장 잘 알죠~
    메밀전 저도 좋아하는데...
    그리고 메밀전에 생배추잎 넣고 차례상이나 제사상에 올리는거 맞아요.
    (저희 친정도 그리 합니다.)
    최대한 얇게가 정말 포인트구요~ 신김치 넣은것도 맛있지만
    생배추(소금에 살짝 절인) 넣고 부친것도 참 맛있습니다.
    올 구정에 그냥 밀가루전 부쳐서 많이 서운했는데...
    아웅~ 침이 꼴깍~ㅎ

  • 10. 소리없는 방
    '09.2.5 9:59 AM

    아...그래서 요즘 글이 뜸하셨군요.

    답글을 잘 달진 않았지만 발상의 전환님 글을 항상 재미나게 읽고 있는 숨은 팬입니다.

  • 11. 귀여운엘비스
    '09.2.5 10:59 AM

    오잉...
    진짜 신기해...이러면서^^
    방곰 샤워를 하러들어갔는데 문어맛사지하는 플라스틱이 있는거예요.
    매번 그자리에 있었는데 오늘따라 유난히 문어가 도드라져 보이면서
    전환님이 생각난거지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새해에 정신없이 보내고나면 일년이 후딱지나갈터인데....
    너무 큰일 순식간에 치루셨네요.
    동양크레페도먹고싶고
    아가도보고싶고.....
    후후

    전환님 몸조리 잘하시고
    모유수유끝나는날
    제가 술 종류별로사줄께요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아가는 신랑한테 포대기랑 함께 맡기고
    나오세요!!!!!!!!!!!!!!

  • 12. 맨날낼부터다요트
    '09.2.5 11:38 AM

    글 잘 읽었습니다.
    제게 못된? 나쁜 버릇이 몇개 있는데요. 그중에 하나가 먹고싶은거. 또는 먹어보고싶은거 못 참는다는거에요...ㅠㅜ
    전화번호 받고 싶어서 로긴했습니다.
    쪽지로 부탁드려요~~~~ ^^;;

  • 13. 클라라가든
    '09.2.5 4:19 PM

    전화번호 부탁 좀 할까요?

  • 14. 올리브
    '09.2.5 4:57 PM

    춘천이랑 제주 메밀 부침은 먹어봤는데 원주는 또 다르네요.
    이렇게 생긴 건 한 번도 못먹어봤는데 소개해주셔서 고마워요.
    집에서 부쳐볼 생각인데 저렇게 안되겠죠?
    전화번호도 부탁드릴게요.

  • 15. Terry
    '09.2.5 7:12 PM

    와...정말 신기하네요...강원도 놀러가서 메밀전병 (김치 넣어 돌돌 말은 것) 은 음식점에서 먹어봤지만 시장에서 저렇게 많이 파는 건 몰랐어요. 우리나라는 정말 구석구석 가 보고 싶은 곳이 많아요. ^^

  • 16. 복동이엄마
    '09.2.5 7:38 PM

    돌아가신 할머님 연세가..저희 할머니하고 똑같으시네요.. 살아계시다면 89세... 제가 고 3때 돌아가셨거든요. ㅎㅎㅎ 2002년도에요..^^ 한창 수능 끝나고 놀 시기였는데 크리스마스 4일전에 돌아가셔서 그땐 크리스마스고 뭐고 없었어요. 장례식장에 가서 이틀간 밤새고 일하다가 할머니 염하는거 보고, 묻히는거 보고 울다 지쳐 쓰러졌으니까요.. ^^ 저는 저희 할머니의... 40명의 손녀중 막내입니다..ㅎㅎ 진짜 많죠..? 저희 아버지 10남매시거든요..ㅋㅋㅋ 어쨌든.ㅋ

    저도 아가 일찍 낳아서 두돌까지 수유할 생각인데 이노무 모유가 생각보다 짜내기 힘드네요.
    직수 하는 중인데 국 종류 안 먹음 또 잘 안 나오고... 그래도 모유는 참젖인지 아이는 먹는대로 잘 커서 애 갖고 쪘던 살도 다 빠졌어요.ㅋ 아가씨 때 몸무게 회복..ㅋㅋ

    저도 요새 간간히 맥주가 땡긴답니다..
    나중에 신랑한테 애 맡기고 만나요 전환님!
    션하게 맥주랑 치킨 먹으러 가요.. ㅎㅎ

  • 17. 빨간풍선
    '09.2.5 8:07 PM

    우와 제가 어렸을때 중앙시장 2층에 살았답니다.
    엄마가 중앙시장에서 포목점하셨거든요.그래서 매일같이 메밀전병사먹었던 기억이...
    벌써 30년도 훌쩍넘은 ㅠㅠ 지금도 저희 친정엄마는 원주내려가시면 몇장씩 사오신다고 하시더라구요.저는 결혼하고 중앙시장 한번도 못가봤어요.원주옆으로 지나만 갔지..
    정말 그리운 고향의 맛입니다.제가 더 좋아하는건 메밀전에 속넣어서 돌돌말은 전병이에요.
    정말 맛있었는데...담에 꼭 가봐야겠어요.님 덕분에 사진으로나마 추억속으로 돌아갔었네요.감사해요^^

  • 18. 서현맘
    '09.2.5 8:10 PM

    좋은 정보에, 좋은 글귀 읽고 갑니다.

  • 19. capixaba
    '09.2.6 11:00 AM

    요번 명절에 메밀전 50장 부쳤습니다.
    친척들께서 저보고 메밀전 장사하라고 하시네요.
    시장통 아줌마보다 더 앏게 잘 부친다고....
    근데 메밀전은 별로 안좋아해요...

  • 20. 설레임
    '09.2.6 11:01 AM

    점심시간이 다가오니
    사진속 메밀전이 더욱더 먹고 싶네요..
    전 밀가루에 배추넣은 배추전은 한번 먹어본 듯한데
    메밀전은 첨이네요,,
    사진으로도 먹음직스럽네요.

    법정스님의 좋은 말씀도 덤으로 가슴에 담아갑니다.
    행복하세요!

  • 21. cook&rock
    '09.2.6 2:08 PM

    메밀전은 외식할때 먹어본 기억밖엔 없는데...
    배춧잎 넣고 지진거 정말 침넘어가네요.
    완전 종잇장일쎄~~~아오...맛나겠다!

  • 22. 일랑일랑
    '09.2.6 3:56 PM

    와.....저 원주살아요....
    메밀부침가게가 어딘지 눈에 익네여...^^
    저도 메밀부침 너무 좋아해여.....
    더 맛난데도 있어여....시장통은 아니지만....태장동쪽 떡집이거든여....^^
    디게 크게부쳐주는데...ㅋㅋ좀 비싼듯하기도하지만.....^^
    담에 원주오심 커피마시러오세요....
    아..갑자기 먹고싶어지네여

  • 23. Highope
    '09.2.7 7:42 AM

    얇은 매밀전 정말 먹어보고 싶어지네요.
    글도 너무 재미있게 잘 읽었어요.
    힘드신 모유수유도 잘 하시길...^^

  • 24. sweetie
    '09.2.7 12:42 PM

    정말 동양의 크레페네요!
    아! 맛있겠당!
    글도 잘 읽었고 아기는 잘 자라고 있죠?!^^

  • 25. 소박한 밥상
    '09.2.7 8:45 PM

    전을 좋아하는데 원주를 한번 방문해야 할꺼나..??

    전은 식으면 맛 없는데......
    전화번호는 따로 적어 놓고
    이 지방에는 메밀전 고수가 진정 없는건가........생각 중 ^ ^

  • 26. goofy
    '09.2.7 11:48 PM

    저 메밀전 무지하게 좋아하는데...
    결혼하고 새롭게 알게된 메밀전에 완전 푹~ 빠졌답니다.

    소박한 밥상님. 메밀전은 식어도 맛나요.
    차가운 전도 맛있더라구요.

    저도 강원도 가면 시장에 들러 꼭 사먹는답니다.
    넘 먹고 싶네요. 츄읍~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8867 전철역앞 포장마차 순대, 떡볶이 + KitKat 단팥죽맛... .. 14 부관훼리 2009.02.09 12,764 67
28866 5분빵_ 밀가루의 찹쌀화...음하하하 7 anybody 2009.02.09 7,092 8
28865 하루 일찍 먹은 보름밥! 11 miro 2009.02.09 7,379 86
28864 느타리 버섯전 잘 먹었습니다. 5 낭랑공주 2009.02.08 8,381 5
28863 (하얀새) 다들 즐거운 주말 보내고 계신가요? 12 하얀새 2009.02.08 5,970 61
28862 동태손질-왕초보 새댁을 위하야! 38 경빈마마 2009.02.08 17,693 86
28861 돌덩이가 된 식빵... 원인분석 도와주세요~ㅠ 15 맨날졸려 2009.02.08 12,115 16
28860 파슬리마늘스콘&플레인머핀 6 친근한외계인 2009.02.07 3,986 8
28859 크레프와 초코렛 곁들인 브런치에요~~ 3 grenier 2009.02.07 4,295 72
28858 선물 그리고 키톡의 힘 I 23 Highope 2009.02.07 11,579 84
28857 한국중국집, 미국중국집, 부관중국집, ... ^^;; - .. 21 부관훼리 2009.02.07 12,818 203
28856 배추잎 된장국 수제비과 베이킹 18 생명수 2009.02.07 6,509 33
28855 외국에서 라면+만두 찾기 ^^ 7 로이스 2009.02.06 6,308 66
28854 무청 시래기 고등어 지짐... 저 아기 낳고 왔어요. 76 팜므파탈 2009.02.06 12,802 71
28853 먹다남은 수육의 변신?^^ 3 빨간 엘모 2009.02.06 10,406 55
28852 2009년 새해 수다스럽게 - 그동안의 먹거리들 45 좌충우돌 맘 2009.02.06 16,598 110
28851 오랜만에 피클만들었어요... 11 투동스맘 2009.02.05 8,330 40
28850 쫄깃~한 식빵을 드시고 싶으세요? 그럼 실온 발효를 해보세요. 15 고미 2009.02.05 11,141 76
28849 봄내음 (냉이무침) 19 시골아낙 2009.02.05 5,953 22
28848 (하얀새) 손가락 쪽쪽빨면서 먹는 그맛! 11 하얀새 2009.02.05 11,670 65
28847 10 물푸레 2009.02.05 6,385 37
28846 이주의 도시락들...!! 20 gorogoro 2009.02.05 14,382 64
28845 오늘 아침 카페 에스프레소 한잔 하시겠어요~ 12 금순이 2009.02.05 5,443 38
28844 동양의 크레페 (연락처 추가~^^) 26 발상의 전환 2009.02.05 11,575 81
28843 새로운 취미를 시작했답니다~~ ^^* 16 코스코 2009.02.04 12,892 56
28842 생일 케이크와 맛있는 국수 12 miro 2009.02.04 7,602 42
28841 (하얀새) 생초보를 위한 대게 맛있게 찌는 방법^^ 15 하얀새 2009.02.04 14,422 65
28840 모카롤케이크와 ...수다..ㅎㅎㅎ 23 오렌지피코 2009.02.04 10,318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