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내기에 능숙한 사람은 어떻게 끓이든...
재료를 처음부터 같이 끓여도 따로따로 넣고 끓여도
육수를 따로 내지않아도 맛이 잘 나는데...
초보자들은 그게 그렇지가 않은 법이죠.
재료를 미리 양념에 버무려두었다가 끓여보세요.
그냥 끓이는 것보다 국물도 재료도 맛이 잘 살아난답니다.
이건, 조금 쉽게 국물맛을 내보려는 제 편법이예요.
정말로 걸쭉하고 고소한 국물음식을 만들고 싶은데 잘 되지않는 분만 시도해보세요.
무국(5인분)
재료 : 덩어리 고기(사태나 양지) 300g, 무 ¼개, 파 1대. 마늘 ½큰술, 국간장 1큰술, 소금, 후추 약간씩

오늘은 무를 처음부터 같이 끓여봤어요.
이렇게 하면 고기 육수가 무에 제대로 배더라구요.
10분 정도 팔팔 끓이다가 불을 줄이고 뚜껑을 덮은 후
양지는 30분 미만, 사태는 한시간 가까이 젓가락이 쑥~ 들어갈때까지 익혀줍니다.

고기를 썰은 다음 파, 마늘, 무, 국간장을 넣고 이렇게 섞어둡니다.
어차피 5분 정도 살짝 끓여줄거라 파를 같이 넣어도 숨이 많이 죽지는 않아요.

고기가 다 익은 다음 잘라둔 무를 이렇게 버무려둡니다.
이때, 익히지않은 무를 넣을때는 10분 이상 간이 배게 두어야하고
육수에 넣고 끓이는 시간도 조금 길어집니다.
마지막에 소금으로 간을 맞춰줍니다.

요런 질감이 나왔네요.
미역국(5인분)
재료 : 사태나 양지 300g, 불린 미역 고기부피만큼, 참기름 ½큰술, 마늘 ½큰술, 국간장 1큰술, 소금, 후추 약간씩

역시 같은 방법으로
불린미역, 익혀서 썰어둔 고기, 참기름, 국간장을 넣고 잘 버무려줍니다.
마늘을 넣지않는 집도 있다본데...저는 고기가 들어가면 마늘, 후추 다 넣어줍니다.

미역은 간이 금방 배기때문에 잠깐만 둬도 되요
조물조물 버무려뒀다가 끓는 국물에 넣어서 한 번만 포르르 끓여주세요.
쇠고기 우거지국(4~5인분)
재료 : 사태나 양지 300g, 우거지 두주먹 정도, 된장 2큰술, 파 1대. 마늘 ½큰술, 국간장, 소금, 후추, 고추가루 약간씩
된장은 염도에 따라 다르니까 집된장이라면 1큰술만 넣어보세요.

역시 고기를 먼저 익혀주세요.
고기, 우거지, 된장, 마늘, 고추가루를 넣고 10분 정도 두었다가

불을 올려 팔팔 끓고 있는 국물에 넣어줍니다.
팔팔 끓는 국물에 넣어야 조리시간이 단축되고 맛도 보존이 됩니다.
좀 식은 듯한 국물에 넣어주면 간이 다 섞어버리더라구요.
쇠고기 시레기국
재료 : 사태나 양지 300g, 시레기 2덩어리(마트에서 파는 기준),
된장 2큰술, 파 1대. 마늘 ½큰술, 국간장, 소금, 후추 약간씩

위와 같은 방법으로
시레기, 된장, 마늘, (고추가루), 고기를 넣고 잘 섞어줍니다.

끓는 국물에 넣고 한 번만 끓여요.
된장을 넣고 끓이는 이런 국이나 찌개에는 청양고추를 마지막에 한개 정도 썰어넣으면
맛이 화~악 살아나는거 아시죠?

시레기가 충분히 불려지지않았다면 뜸을 들여가며 충분히 무르게해주세요.
국물을 빡빡하게 잡으면 찌개, 넉넉하게 잡으면 국이되는거 아시죠?
아욱국
재료 : 아욱 작은것 1단, 쌀뜨물 8~10컵, 마른 새우 ½컵, 된장 2큰술, 고추가루 1큰술, 파 1대. 마늘 ½큰술, 국간장, 소금 약간씩

아욱을 먹기 좋게 자른 다음 된장, 마늘 등을 넣고 무쳐주세요.
무치면서 아욱이 물러져도 괜찮습니다.
예전에는 아욱을 바락바락 주물러서 푸른물을 빼주고 사용했는데
요즘 마트에서 파는 하우스재배 아욱은 워낙 부드러워서 그런 전처리과정이 필요없어요.
혹, 재수가 좋아 노지재배한 아욱을 구하셨다면 씻을때 주물러서 푸른물을 빼주셔야합니다.

역시 국물에 넣고 끓여주세요.

된장을 넣고 끓이는 찌개나 국은 뜨물을 받아두었다가 끓이는게 맛있어요,
뜨물로 끓여서 국물색이 좀 허옇답니다.
순두부 찌개(2~3인분)
재료 : 순두부 1봉, 물(멸치육수) ½컵, 대파 ½대, 청주 1큰술, 돼지고기나 조개 100g 정도. 소금 약간,
볶을재료- 신김치 2큰술, 양파 1큰술(없어도 됨), 마늘 1큰술, 고추장 ½큰술, 식용유(고추기름) 1큰술, 고추가루 1작은술

순두부는 뚝배기에서 직접 볶아주는게 좋더라구요,
고추기름을 살짝 데우다가 볶을 재료를 넣고 중불에서 볶아줘요.
센불에서 하면 고추가루, 고추기름이 들어가 타버리기 십상이거든요.

재료가 잘 어우러지면 순두부와 물을 넣고 센불에서 끓여줍니다.
순두부찌개에 물을 넣지않고 빡빡하게 끓이려면 중불 약불에서 끓이는게 쉬워요.

저는 물 ½컵 정도 넣어주었습니다.
예전 순두부째개 글에서 말씀드렸지만 고추가루만 넣으면
끓일때는 빨갛지만 식탁에 내려놓으면 허옇게 변해요.
고추장을 넣어서 볶아주어야 색감이 빨갛게 유지됩니다.
굴두부탕

너무 걸쭉한 그림만 보고 느끼할까봐
시원한 맑은 국물 보여드려요.....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
ps. 질문에 답드리는 겸 다른분들도 보시면 참고가 되실듯...
★ 물의 양
제가 4, 5인분의 국을 끓일때 사용하는 냄비가 22cm 양수거든요.
깊이는 어느 메이커나 비슷합니다.
이 냄비에 물을 80~90%잡고 끓이기 시작해요.
그래서, 고기가 다 익을때쯤보면 물이 반 ~ 반이하 남게되죠.
불의 세기에 따라 물의 증발량이 다른데 끓인 후 반 정도로 보충해줍니다.
★ 재료를 손질해 섞어둘 동안 국물을 식히지말고 약불로 보온해두었다가
재료를 넣기전에 팔팔 끓여주세요.
★ 재료를 모두 넣은 후에는 5분 정도 끓여줘 맛이 한 번 배게해주는겁니다.
어차피 다 익은것, 오래 끓이지마세요.
★ 국간장은 감칠맛을 내기 위해 넣는 조미료예요.
많이 넣으면 색을 버려서 조금 넣는거고 양은 큰 의미가 없지만
넣고 안넣고의 차이가 크니까 조금이라도넣는게 좋아요.
나머지 간은 소금이나 새우젓, 멸치액젓 등으로 맞추면 되요.
★ 썰어진 고기를 사왔다면 고기를 미리 끓이면 안됩니다.
고기와 재료를 냄비에 넣고 처음부터 같이 볶아준다음 국물을 부어줘야 고기가 맛있어요.
자른 고기를 끓이게되면 육즙이 다 빠져나와 딱딱해지거든요.
★ 고추기름은...시판되는 것 사다 쓰는게 편해요.
급하게 필요할때는...고추가루와 식용유를 동량으로 전자레인지에 1,2분 돌려준 다음
키친타월에 걸러서 사용하세요.
고추기름 레시피는 희망수첩, 키친토크에서 내용으로 검색하면 많이 나옵니다.
5) 저희 엄마는 연두부로 순두부찌개 끓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