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 김치(또는 김장)를 한번도 못 담아보신분들을 위한....

| 조회수 : 20,247 | 추천수 : 65
작성일 : 2007-11-30 11:39:33
안녕하세요?

마침  아래쪽 프리님이 김치에대해 많은레시피도올려주시고 저도 어제 김치를 담그게되어사진이나마 몇장올려볼려고 합니다.

제가 김치를  처음  담기 시작한것은  올해 부터입니다

김치를 못 담그면  가족을 위해 요리를 했다고 할 수 없을것 같은 생각도 들고요,(이게 자격 지심 같기도합니다, 뭐하나 딱부러지게 하는것이 없는 사람들의 특징 이라고나 할까요?ㅎㅎㅎ)
저희 시어머님이 담아  주시는 김치도 맛있기는 한데 멸치젓을 많이 넣으시더라 구요. 저는 저희 친정 어머니께서(지금은 안계십니다  이북식김치를 담으셨던 듯 합니다) 새우젓을 많이 넣고 하셔서 시원하게 먹던 버릇이 있어 그 맛대로 해 먹어 보고 싶기도 했습니다.

82회원님덕에 자신감도 조금 생기고 해서  올초부터 담기 시작했는데  제법 맛이 나더군요.
회원님들이 올려주신 레시피에 또 자잔한 팁에 제 친정어머니께서 해주시던 맛도 생각 하며
김치를 담그니까 제가 어려서 먹던 그맛이 살아난 듯 해요.
김치를 담그기전 친정어머니김치 생각이날때는 종갓집 김치중 겨울에만 나오는 생태가 더해진 김치를 사다 먹기도 했는데  제가 담는 김치도 그런 시원한 맛이나더군요.(이건 제남편도 인정한것입니다
종갓집김치 그맛과 거의 같다구요 뭐 자랑은 아니고요, 김치를 아직 안하셨던분도 도전해보시란 뜻에서 덧 붙여보았습니다.)

여기까지 읽으신분들은  레시피가 뭘까 하시겠지만 제가 뭐하나 딱부러지게 하지 못한다고 서두에
말씀 드렸듯이 딱부러진 레시피는 없구요,(아래 프리님이 잘 올려 놓으신것도 있으니 참고하시구요)
저는 처음 김치에 입문 하시는 분들을 위해 몇가지 접근방법 내지 자신감을 갖으시고 도전하시라고 말씀 드릴려고 글을 올려 봅니다.


김치에 제가 도전 못했던 이유와 분석 (ㅎㅎㅎ)
1.김치뜻을 몰랐다.
   김치의 본질을 몰랐다고나 할까요?
   김치는 발효 식품의일종으로 보시면 접근이 좀쉬운것 같아요.
   배추라는 섬유질에  염분과아미노산이 풍부한 젓갈을이용해발효 시켜 먹는 음식이라고 생각하니  
    한결 김치담는것이 쉽게 느껴지는듯합니다.
    여기에 향긋한 향을 첨가해서 먹으면 더맛있으니
      자기가 사는 고장에 많이 나는 향채나 단백질 등을 더첨가하게 된것 같습니다.
    기본향채 마늘 파 생강등에 제주도분들은 그곳에 많이나는 귤액기스등을 첨가하시고
    경상도 분들은 사과 즙도 첨가하시고  해안가 분들은  생선많이 마는것 들중에 더첨가하시고
    이북에서는 생태라는 아미노산을 더첨가하여 맛나게 하는식이랄까요?
  
   ***김치를한번도 안담아 보신분들께 용기를 줄수있는 한마디랄까요?***
       김치 는 섬유질 더하기염분더하기 아미노산더하기 발효하는시간뿐이다.

      

2.여러 레시피중 어느것으로 할까?에 대한고민

   김치에 대한 많은 레시피가 있는데 ,
   김치도 담기전에 나의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 해서 망치게 되면 버리게 될 것 같은 생각에
  사로 잡혀 김치를 담글 생각도 안하게 됐던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김치는 너무너무 짜거나 너무 너무 싱겁지만 않으면 망칠일은 전혀 없다는것입니다.
    너무너무 짜면 발효가안돼고요, 너무너무 싱거우면 부패하게 되지요.

   짜다 싱겁다 알맞다 라는 말이 어렵지만 이는 각자 드시던 김치맛을  떠올려 보시면 쉽게 접근하실수 있고요. 아무리 미맹이셔도" 너무너무" 상황까지는 안가게 될겁니다.

   조금 짜지면 짠대로 싱거우면 싱거운대로 발효식품의 특징그대로 발효 맛으로 먹을수 있다고나
   할까요?간혹 티비에서 보면 외국오지에 계신분들중 배추에 고춧가루 소금만 있으시면 김치를 담궈
    시는 모습을 보면서나도  할수있겠구나 하고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김치를 한번도 안담궈 보신분들께 용기를 주는 한마디?***
     레시피 선택은 어느것을 해도 망칠일이 없다.
      차차경험이 쌓이면 나만의 맛을 내는 김치를 담글수있다.
      발효만 되면 뭐든지 먹을수있다  김치를 망쳐 버린사람은  아무도없다.
      무조건 도전하라.


   >
  
     고추가루---김치가 맛있다 하는집 김치를 먹어보면 약간 매콤함이 있더군요.
                     요즘 스트레스를 많이받는 현대인들이 매콤한음식을 좋아 한다네요 .
                     제가 아시는 아주머니 한분이 제가 김치를 담근다고 하니 (여름이었습니다)
                     청양고추를 몇개 갈아서 넣어봐 맛있을꺼야  하더군요.
                    그렇게 담그니 매콤한맛이 돌면서 맛있더라구요.
                     고추가루가 맵지않으신것을 선택하신분들은  청양고추가루를 조금 섞으셔도
                     맛나게 되는것 같아요.
      
     마지막간맞추기---그래도 그래도 혹  맛남김치에대한 생각을한다면 이문제가 가장어려운듯해요.

                               김치를 담그면서 마지막 간을 맞 출때 드는느낌이
                            시험볼때  딱  두가지중 한가지인것은  알겠는데
                             어느것을 선택할까의문제에 봉착한 느낌입니다.
                             그러다  어느것을 선택하겠죠? 그러다 운좋게 맞고나서
                               유사문제가 나중에 또나오면 또모르겠는 상황의 반복...

                              김치의마지막 간의문제도 익었을때의 맛과 담글때의 맛이 차이가 나고
                               똑 같은 레시피로해도 마지막에는 간을 꼭 봐야하지요.
                               배추의 얇은쪽을 맛봐서 입맛에 맞으면 된다고들 말씀하시더군요.
                                  
                                 저는 지난번 양념을 조금남겨 냉동실에 두었다가  새로담그는양념과
                                 비교하면서 맛을 봅니다. 지나번것이 맛있었으면 그걸 기준으로 하구요.
                                조금싱거웠으면 간을 조금 더하는식으로요.

                                아~그리고 이것은 아직 실천을 안했는데요.
                                 염도계를 사려고해요.
                                그러면  간맞추기는 더  쉬울듯합니다(김치의 명인이 나오신
                                  무슨 프로에서 염도계를 사용하시는 모습을 봤어요. )


맛갈나게하기----여기서는 각자 취향에 따라  사는지역에 따라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깊은맛은 멸치젓이 더나는것 같구요.
                        시원한맛은 새우젓이 더좋구요.
                          물대신 다싯물(멸치 황태 새우 다시마등을 사용한물)을 사용하면
                         좀더 구수하구요.
                         달콤한맛은 양파액기스 또는 매실액기스 등 발효 된것을 사용하면
                         확실히 깔끔한 맛과 시원한 맛을 나게하는것 같아요.

                        

제가 맛에 대한 절대 감각과 영감으로 요리를 하는관계로((^6^))  자세한 레시피는 못올리구
이렇게 쓸데없는 이야기만 늘어놓은것은요, 처음  김치에 도전하시는 분들께
어느레시피든 도전해보시라고 말씀드리고파서  이렇게 길게 써 봤습니다.
저도 이제 낼모래 오학년에 들어서는 나이에 올해 처음 김치를 담그게 되었으면서
잘난척 주제넘게 글을올립니다.

음식은 아이들이 커서 부모에 대한 많은 추억을 주는것 같아요.
보통 100여포기의 김장을 하셨는데  김치를 절이시고 새벽에 아무도 개울에
물을 안쓰는시간 개울 물에 배추를 씻으셨던일...
옛날에는 뒷마당에 장독 들을 묻고 김장을 저장했지요.
어머니가 식사때되면 김치한포기 내와라~ 하시면 바가지들고 김치한포기내지 두포기
꺼내오면  조금은 지저분듯한 도마에 바로썰어 주시던 김치... 톡쏘는듯하면서도 시원~한 맛  아직도 생생하게 생각이나요. 먹다보면 김치속에서 갑자기 생태조각이나와 싫어했던일,
어느해에는 김치가 좀 짠듯 싶었나봐요, 그래서 육수를 끓여 부시더라구요, 그런데 그해 너무
시원하고 구수하고 맛나게 먹던일,
눈온날 김치꺼내러 가려면 눈을 치워가며 뒷마당으로 가야했던일 김치를 서로 꺼내러 가기싫어
형제들끼리다투던일 ....생각에 생각에 꼬리를 물고 이것저것 떠오르네요.

어머니 돌아가시던해 친정 어머니는 돌아 가셔서 이세상에 안계신데  김치는 남아있더라구요.
그남은 김치를 먹으면서 친정어머니 생각에 친정어머니 손길을 느껴보며 먹던 김치..그맛이나는
김치를 저도 담아 보고싶었답니다.

(저기저기~~ 뒷줄 오른편에 앉아 계신분  자게가셔서 레시피는 안주고 쓸데없는 소리만 올렸다고,
흥~무슨 영감으로 요리를해~ 하며 뛰어쓰기도 엉망이구  하면서  글올리시면 안됩니다. 제가 다알고 있습니다.저소심하답니다. 하하하)




레시피는 제대로 없지만  과정샷 한번보시라고 어제 밤 김치담그면서 찍어보았습니다.
지난주에 절인 배추10키로 담그고  어제 또10키로 절인 배추사서 담궜습니다.





절인배추10키로 한번더 씻어서 채반에 물기를 6시간정도 뺏습니다.




고추가루는 그냥고추가루여섯컵 물에 씻어 빻아온 고추가루3컵반 청양고추가루두컵반 다싯물 6컵정도 인것 같아요. 레시피는 좀더 정확히 적으신것  참조하시구요. 새우젓 500그람입니다
여기서 청양고추가루가  저만의팁이라고나 할까요.



물두컵반정도에 생찹쌀가루 사분의삼정도 넣고 스프끓이듯 풀을 쒔습니다.
농도는 스프농도입니다.



갓한단사서 지난주 쓰고남은것과 파반단에서 반쓰고 남은거 마늘 2컵반 새우젓멸치젓8대2정도쓰고 마지막에 간맛출때  멸치젓으로 사용했습니다.
뒤의 빨간 뚜껑통에 담긴것은 지난번 양념 남은것입니다. 오늘 간맛출때 비교할때 씁니다.



생강은 3쪽  분쇄기에 가는데 잘안갈리니 다싯물(100미리) 넣고 갈아줍니다.



마른고추가루 다싯물에 넣고 불린후 마른고추 물에 씻어 갈은고추가루 넣고 새우젓 넣고 핸드믹서로 가는 사진입니다.  물에 씻어 갈은 고추가루가 좀 덜갈린것 같아서 새우젓 마늘 생강 양파액기스
매실액기스 각기한컵씩 넣고 핸드믹서로 갈아주니  양념이 곱게 된것 같습니다.




믹서에가니 색이 더고운것 같아요.
이때 일차맛을봅니다. 지난번 양념과 비교하면서요.
간이 모자른듯하면 멸치액젓 또는 까나리액젓을 넣으며 지난번  양념과 비교해봅니다.
이때 사실~ 비교해서 맛을 봐도 너무너무 싱겁거나 너무너무 짠것만 구별 될뿐이지
정확한 맛의구별은 아직도 잘안됩니다. 그래서 이때 염도계가 필요한듯합니다.
단맛도 이때 각기 입맛에 따라 하시구요. 그네 덜달은것이 아주 단것 보다는 나은것 같아요.
간을 우리말로 표현하면 조금짠듯한 느낌정도가 좋습니다.
무를 양념해야 하니까요.
양념양은  모자른것 보다 남을 정도가 좋은듯해요. 남으면 냉동했다써도 되니까요.
그리고 남은 양념으로 여러가지김치를 쉽게 쉽게 할수있느것 같아요.




지난주담근것은 생태를 반포기당 두조각 정도 넣어 주었습니다.
어제담근것은 오래 둘것이라서 안넣었습니다.




살아있는 생새우 한근입니다.
지난주 담근것에도 한근넣었고 어제것에도 한근넣었습니다.


어제담근것은  조금오래두고 먹으려고 무를 한개반정도만 채썰었습니다.
양념에 다싯물도 고추가루가 불릴정도만 넣었구요.





신문을 깔고 김치통도 옆에 갖다 놓습니다
10키로면 큰거한토에 작은것 한통정도 나오는것 같아요.


무에 양념을 넣어 양념합니다. 이때 미리 무에 고추가루 물을 들이시기도 하던데 저는 그냥했습니다
이때부터 도우미가 옆에 있으면 조금 수월합니다. 고추양념이 막 튀기 시작하지요.
양념한것을 배추통에 넣어줄 사람이 한명 더있으면 좋지요. 오늘 도우미는 남편입니다.
도우미 자세가 무엇이든 시키면 할자세이어야 하는데 무언가 대접 받고 싶어하는 자세이군요.하하하


파썰은것 갓썰은것  생새우도 넣고 양념을 같이 해줍니다.
이때 2차 간을 합니다. 싱거우면 액젓을 더넣고 짠듯하면  무채를 더넣기도 합니다.
배추가짜면 조금 싱겁게  배추가 싱거우면 조금 짜게...
말이쉽지 초보자들에게는 조금 적당히라는 말이 정말 어려운 이야기입니다.
그렇지만 앞에서 누누히 이야기했듯이  너무너무 짜거나 너무너무 싱겁지만 않으면 절대로 실패안하니
자신감을 갖고 하면 된다고 말씁드리고 싶어요.





그래도  그래도 간이 걱정돼면 속을 넣기 시작하면서 배추를 하나 솎아서 속을 넣고 쌈맛을봐서 간이맞으면 된다고 어르신들이 말씀하신것 같아요. 저희도 배추에 속을 넣고 먹어보니 간이 맞는듯 했습니다.




거의 끝나가는데 무속이 모자르네요. 그래서  남은 배추 두세개를  양념만 살짝 묻혔습니다.
오래두고 먹을것이니 더좋을 듯하기도하구요





양념이 이정도 남았어요. 이것은 또 냉동실에두고 다음번 김치 기준이 될것입니다.
오늘 사진보니 통속의 배추가 너무 양념 범범인듯 싶기도하네요.
그래도 우리 둘째딸이 어제저녁 늦게와서 조금 뜯어 줬더니 매콤해서  맛있다고는 하네요.
근데 오래 저장하려면 고추가루 너무 많이들어가면 안좋다고 누가 그러신것 같기고하고 아시는분은 리플 달아 주셔요





11월에는 우리아이학교에서 학예발표회도있었습니다.
  합주를 했는데 할때는 열심히들 하더만요.
  
아래사진은 인사할 때 모습 입니다.
인사들은 안하고 각자 이야기 나누기에 여념이 없습니다.
정말 자유스러운 분위기였습니다.
저도 나이가 들었는지 예전같으면 보기안좋게 볼수있었을텐데  그냥 귀엽고 개구지게
보이기만 했습니다. 우리아이는 그래도 바른생활 어린이였답니다.
  어디있을까요?














  
노니 (starnabi)

요리와 일상....자기글 관리는 스스로하기.... 회사는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교체, 정기점검, 공사 등 부득이한 사유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책임이..

1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수익률
    '07.11.30 12:03 PM

    감사합니다^^
    마지막 남은 두려움이 싹 가시게 도와주는 소중한 글이었습니다!

  • 2. missh
    '07.11.30 12:20 PM

    어머나~~ 정말 맛있는 김치가 될거 같네요 저희 할머니도 이북분이시라 명태넣고 가끔씩은 가자미식혜도 해주셨거든요 도움 많이 받고 갑니다.

  • 3. 82cook
    '07.11.30 3:10 PM

    노니님 덕분에 김장김치 완전정복이 되겠어요!! ^^
    ★표 붙여둡니다. 지우지 마세요.

  • 4. 사탕별
    '07.11.30 4:47 PM

    아,,,정말 정말 도움이 되는 글입니다.저도 김치를 한번도 안 담아본 불량주부라 다음번에 김치 처음 담는날 꼭 참고로 할께요.제 블러그로 퍼갑니다. 김치 담으랴,사진찍으랴, 글 올리랴,,,너무 힘드실껀데

  • 5. 은근계모
    '07.11.30 5:47 PM

    하~
    일목요연하게 알려주셨습니다

    저는 그제 속 버무려두고 어제 담궜습니다 ^^

  • 6. 파헬벨
    '07.11.30 6:24 PM

    친정어머니의 마지막 김치 부분에서 울었어요.
    어머니는 가시고 그 분 손맛의 김치를
    먹는 그 마음을 떠올리니 몇일전에 화장하고
    육신마저 이세상에 안계신 외할머니 생각이 겹쳐서요..

    어쨋거나 저도 이제 주부 10년차 김치를 담궈야겠다는 압박이 밀려옵니다.
    전 외국인데 이것 저것 다 아쉽네요.
    아마도 외국에서 살 제 딸을 위해 제가 사는 곳에서 조달할수있는 재료로
    할수있는 지혜까지 필요하니 갈길이 첩첩산중같아요.
    신선한 생새우랑 생태에서 좌절합니다.ㅎㅎㅎ
    정명훈씨는 요리책보니 심지어 젖갈도 안넣던데
    어떻게라도 해봐야죠..그게 언제일까요 ㅎㅎㅎㅎ

  • 7. 행복미소
    '07.11.30 7:44 PM

    중간 부분 친정어머니 돌아가신 다음에 남은 김치 부분에서 눈물이 핑 도네요.
    아직은 계신데도 친정어머니만 생각하면 왜 이리 마음이 짠 한지 모르겠네요.
    이젠 힘이 떨어지고 허리도 좋지 않아서 김치도 못 담아 먹겠다 하시던 말씀이 떠오르면서요.
    이제는 제가 담아 드려야 하는데 저도 아직 김치는 초보인지라...

    참, 이건 질문인데요. 양파액기스는 어떻게 만든 건가요? 매실액기스야 아는 건데 궁금해서요.

    김치가 참 맛있을 거 같아요. 도우미 분의 힘도 꽤 컸을 것 같은데요.

  • 8. artmania
    '07.11.30 9:32 PM

    너무 감사합니다.
    내일 김장하는데,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노니님의 글은 레시피.. 그 이상입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9. 노니
    '07.12.1 3:54 AM

    어제 저녁 늦게 리플을 달려다 너무 졸려 한잠자고 일어 났네요.
    뒷방 할머님들 같이 요즘 자주 새벽에 깨서 활동하는것을보면 나이가 들긴 들어 가나봐요. 하하하

    수익률님 그래요 두려움만 없다면 무엇이든 할수 있는것 같아요!!!
    missh님 도움을 받았다니 저도 기쁩니다.
    82cook님 별달아 주시니 초딩1학년이 참 잘했어요 도장받은것 같군요.
    다시 읽어보니 아침에 급히쓰느라 띄어쓰기 맞춤법 엉망이군요.
    나중에 우리 아이들 사위 며느리들 검색할수있게 영원 무궁한 발전을 바래
    봅니다.
    사탕별님 브러그에 퍼가신다니 영광이옵니다.

    은근계모님 몇포기나 담그셨나요? 알고 보면 은근계모님도 제가 김치를 담을수있는
    용기를 주신분중 한분 이시랍니다.

    파헬벨님 저도 쓰면서 울었답니다. ㅎㅎㅎ 마음을 놓지않으면 언젠가는 꼭 하게 되는것
    아시지요. 생각 만이라도 갖고 계셔보셔요. 꼭하시게 될거예요.

    행복미소님 양파액기스 저도 82 통해서 알게 되었는데 양파를 채썰듯이썰고 동량 의 설
    탕을 섞어 항아리나 병에 그냥3개월정도 두면되요.매실액기스랑 유사하죠.
    추운계절에는 설탕량을 줄이셔도 되구요.
    사진보시면 양파가 두개 나올거예요, 어제 그양파는 안썼어요.
    양파대신 양파액기슬르 넣으면 되는듯해요.

    artmania님 도움이 되셨다니 제마음이 기쁘고 좋게 봐주시니 감사합니다.


    아그리고~~저기저기 뒷줄 오른편 앉아계신분에게 말씁드립니다.
    제가 위에 부모님 회상하는 글을 쓰다보니 눈물이 너무나서
    제나름대로 분위기나 반전시키고자 썼는데 오늘 다시 읽어보니
    조금 썰렁 하구만요.
    어제 아침 바쁘게 쓰고 나가느라고 다시 읽어 보지 않고 포스팅 했더니
    가뜩이나 엉망인 띄어쓰기 맞춤법 지대로네요...
    뭔 이야기 인지도 모르겠는 것도 있구요.
    제가 알긴 뭘압니까? 저 아무것도 몰라요!
    예전같이 맞춤법 띄어 씌기 좀 고쳐 주시지.....
    제가 82에 들어오고도 자게가 있는줄 모르다가 앞쪽에 많이 읽어본글이라
    고 뜨기 시작하면서 자게를 알고 자게 광팬이 되었다는것 아닙니까?
    특히 띄어쓰기 맞춤법 알려 주시는 분들에게 은근히 배우고 간답니다.
    그리고 질문들 올리시면 신속 한 답변들 올리시는것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
    을 많이 한답니다.
    그러니 뒷줄 오른편 앉으셨던분 오해 하지마세요^^

  • 10. 변인주
    '07.12.1 9:21 AM

    퍼질러 앉으신 도우미
    세배 받으시는 폼 이시구만요.
    잘 보고 갑니다.
    침이 꼴깍!

  • 11. 제기댁
    '07.12.1 10:54 AM

    부끄럽습니다.저도 낼 모레면 50 줄인에 혼자저는 한번도 김치를 담궈보질 않았는데..
    며느리, 사위를 맞아야 할 날이 멀지 않았는데...김치도 못담그면 정말 부끄러울 것 같아요.
    저도 용기내서 3포기라도 오늘 절이고 낼 담궈 보겠습니다. 님 덕분에 용기내 봅니다.

  • 12.
    '07.12.1 3:57 PM

    정말 귀한 정보입니다. 고맙게 쓰겠습니다. 감사해요.^^

  • 13. sweetie
    '07.12.2 11:28 PM

    노니님의 좋은 정보 일찍 보았더라면 몇일전 담은 제 첫김치에 더 도움 많이 되었을텐데^^;;
    나중에 담을때는 꼭 참고해서 더 잘 만들어 보렵니다. 귀한 정보와 사진에도 대단히 감사드려요.^^

  • 14. 메루치
    '07.12.3 11:34 PM

    친정어머니께서 이북식 김치를 담그셨다는 글을 보니 문득 생각이 나서요 ....
    저희도 이북인데 이북식 김치는 고추가루가 듬성 듬성 히멀건한게 시원한 맛이죠
    친정엄니께서는 풀은 안넣고 낙지, 생새우를 주로 넣었고
    역시 이북인 시댁도 풀 안넣고 생태와 생새우 정도 넣어도 어찌나 시원하고 맛있던지요
    그래도 제 입맛엔 친정엄니 김치가 더 생각 나네요 ㅎㅎ

  • 15. 노니
    '07.12.4 12:13 PM

    변인주님 그렇네요. 퍼질러 앉아 세배 받을 폼 ....하하하

    제기댁님 저도 마찬 가지랍니다.
    젊은 새댁들 김치 척척 담는것 보면 서 저도 좀 ... 각성 해야 겠구나 했어요
    하하하 용기내서 해보세요, 생각 보다 쉬워요....

    강님 귀한 정보 라기보다 같이 용기내서 해보자는 뜻이랍니다.
    훌륭한 레시피들이 많으니 용기내서 해봐요.


    sweetie님 님의 첫김치 저도 보았어요. 아마 이세상에서 제일 맛난 김치가 될거예요.
    저는 용기만 서로 갖자는 뜻이구요, 좋은 레시피들 많이 참고 해보세요.^^


    메루치님 맞아요 이북김치 고추가루가 듬성듬성하지요.
    제가 학교 다닐때 반찬으로 김치 싸가면 허여 멀건한데
    다른 친구들 김치는 빨가면서 김치물도 자작하니 알맞아보이고
    참맞나게 보였던 기억이나요.
    먹다가 생태 조각이라도 나오면 얼굴 빨게 졌던기억도 나네요.
    그래도 이젠 그때 그김치가 더생각 나네요.

    먼저 담근 생태를 넣은 김치는 무도 3개 정도 넣고 고추양념은 사진것 보다
    오분의 삼정도 넣은것 같아요. 그리고 다싯물도 좀 넉넉히 부었구요.
    익으면 살얼음 얼은 김치물에 밥말아서 김치 말이도 해먹을려구요.
    해먹게 되면 사진 올려 볼께요.


    그리고 나중 담근 김치는 생태도 안넣고 다싯물도 고추가루 겨우 불릴
    정도 넣고 무도 똑같은 10키로인데 한개 반도 안되게 넣었어요.
    오래 보관 하려면 이러는게 더낳을 듯 싶어서요.
    그래서 이북식 김치랑은 좀 틀릴거예요.
    그리고 찹쌀 풀은 괜히 넣었나 싶기도해요.
    열무김치에만 주로 넣으시던데 , 저도 모르게 넣었는데
    나중에 익으면 사진 한번 올릴께요.



    그리고 오늘 그릇 가게에 갔었는데 염도계는 일본산 밖에 없고
    70000원 정도 한다네요.
    이것을 살까 말까 고민 좀 하려고 합니다.

  • 16. Vanillaclassic
    '07.12.13 3:44 AM

    정성스런 포스팅 읽으면서 감동받았어요 :)

  • 17. 향기
    '08.4.4 1:14 AM

    담아갑니다^^
    감사합니다

  • 18. 즐건오후
    '08.6.17 4:23 PM

    감동받았습니다!
    전 완전초보 주부라...겨우 콩나물국 끓이기 정도만 떼고, 이제 김치찌개 도전한 상태인데
    답답해서 김치가 담고 싶어졌거든요. 김치같은 건 사실 저같은 경우엔 어림도 없죠. 넘 엄청난
    프로젝트라 생각조차 해본적 없었어요. 다만, 필요할 때, 누구집 김치가 좀 맛있는지, 인터넷상품 중 어디가 젤 평이 좋은지 알아놔두곤 했는데....사실 썩 맘에 차는 맛있는 김치가 잘 없더라구요. 일전에 바닷가지역에 사시는 할머니 한분이 굴김치와 칼치김치를 담근 걸 먹어봤는데 정말 맛있었어요. 그 맛을 잊을 수가 없어서, 다시 먹고 싶어서(제가 입덧중인데 김치가 자꾸 먹고 싶어요. 맛있는 김치가) 내가 그런 김치를 스스로 담궈 먹을 수는 없는지 모색하는 지경이 되었답니다. 이 글이 정말 저에게 용기를 주네요. 몇가지 프로세서가 좀 어렵고, 따라하긴 힘들어 보이지만 그래도 염도계 소개도 맘에 들고요. 어머님의 김치에 대한 추억도 넘 맛갈스러웠어요. 여튼 김치의 정의가 맘에 와닿아요. 절대 완전히 실패볼 확률이 생각보다 적다란 조언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감사하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5426 겨울 대비 스프 3총사와 밥이야기 9 오클리 2007.12.03 8,001 59
25425 inblue님의 호두브라우니와 아몬드머핀 10 들녘의바람 2007.12.03 6,796 39
25424 친정부모님과 집들이 했어요~^^ 10 chatenay 2007.12.02 12,324 63
25423 팍치를 넣어서 김장 하시는 82쿡님들 계신가요??(김장연가) 9 카루소 2007.12.02 5,310 75
25422 머랭쿠키 5 ssun 2007.12.02 2,981 31
25421 여덟집의 김장내용...누가 더 맛날까요?? 11 온새미로 2007.12.02 7,367 11
25420 버블리네 주말풍경 8 버블리 2007.12.02 7,955 71
25419 주말에 먹을 간식.. 1 아들둘 2007.12.02 5,644 48
25418 일본해물카레.. 6 우기 2007.12.02 7,499 4
25417 제비 아빠가 물어다 준 된장~ 3 프리 2007.12.02 4,679 63
25416 김치하며 수다떨기 6 sweetie 2007.12.01 8,736 47
25415 옥돔회 한점 드셔요. 12 금순이사과 2007.12.01 4,060 12
25414 포도 떡케이크 6 수지맘 2007.12.01 3,802 65
25413 스위스의 겨울철 음식 빠뻬 보두와 (papet vaudois) 6 완이 2007.12.01 4,855 52
25412 가을야채 말리는 방법 ♡ 8 지니 2007.11.30 16,944 47
25411 아이 생일쿠키머핀(???) 6 sandra 2007.11.30 3,999 3
25410 두번은 못할...손으로저어만든 머랭쿠키 8 짱가 2007.11.30 5,632 9
25409 . 14 산.들.바람 2007.11.30 12,581 48
25408 ★ 김치(또는 김장)를 한번도 못 담아보신분들을 위한.... 18 노니 2007.11.30 20,247 65
25407 저는 무엇일까요? 3 클로버 2007.11.30 3,866 6
25406 보라돌이맘님 굴홍합탕 따라하기~ ^^* 9 선물상자 2007.11.30 5,649 25
25405 떡보 여름나라 -5 (분홍 꽃모찌) 25 여름나라 2007.11.30 9,240 66
25404 정말 가방싸서 내보낼까요??? -.-;; 13 higuam 2007.11.30 7,445 20
25403 제가 태어난 날이래요. 16 금순이사과 2007.11.30 4,724 23
25402 요즘 먹기 좋은 국과 반찬들 - 굴홍합탕, 깻잎찜, 두부 두루치.. 39 보라돌이맘 2007.11.29 52,899 431
25401 손에 물안뭍히고 하는 수제비반죽 16 우기 2007.11.29 15,059 22
25400 삼계탕용 영계가 없을때 8 miki 2007.11.29 5,611 42
25399 쌉싸름하면서 크리미한 티라미수 13 miki 2007.11.29 7,200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