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일련의 광우병 소고기 수입관련한 사태들을 보면서 소고기를 레어로 먹기 좋아하고 육회를 좋아하는 이 식성을 돼지고기로 입맛을 새롭게 길들여야 하나 고민이 되더군요.
그래서 82 게시판에서 돼지고기 관련 레시피를 찾아 읽어보다가 물에 푹 삶는게 아니라 찌는 방식의 수육 레시피를 발견하고 모처럼 공휴일을 맞아 해먹어 보았습니다.
첨 해보는거라 혹시 망치면 어쩌나하고 살짝 걱정했는데 다 해서 먹어보니 물에 된장,커피넣고 삶은것과는 비교도 안되게 촉촉하고 돼지노린내도 하나도 안나는게 너무 맛있더군요.
물을 3컵붓고 찜망위에 양파,마늘,레몬,대파,청양고추를 깔고 그 위에 돼지고기 수육거리를 얹었습니다.
그리고 고기위에 생강가루를 뿌리고 통후추를 갈아서 뿌리고 정원에서 파인애플 세이지를 뜯어와서 좀 얹었습니다.
고기는 하나로마트 돼지고기 코너 점원언니가 이 부위가 삼겹살보다는 기름이 적고 목살보다는 기름이 많아 맛있다고 강추한 부위인데 이름을 까먹어 버렸답니다. 하갼 방목해서 키운 흑돼지고기라 맛있는거라고 하더군요.
요리가 다 되서 먹어보니 고기가 너무 너무 촉촉하더군요 물로 삶아낸 고기는 퍽퍽하기 일쑤인데 말이지요. 게다가 레몬과 향신채들덕에 노린내가 하나도 안나고 고소한 냄새만 나더군요.
수육은 연겨자,마늘,갈은 통후추,꿀,와인식초,매실액,소금을 넣고 겨자초장을 만들어서 찍고 그 위에 김치를 얹어먹었더니 더 맛있더군요.
82분들은 다들 어찌나 요리들을 잘하시는지....82의 게시판들만 잘 읽어보면 왠만한 요리책 수십권보고 연구한거보다 더 실용적이고 맛난 레시피들을 얻을수 있는것 같아요.
저희 집은 목동아파트 1층이라서 정원이 작게 4평정도 있습니다. 식구가 많지 않아서 파를 한단 사도 다 먹기전에 시들거나 물러져서 버리게 되는게 지겨워서 파를 화분에 심어놓고 정원에 내놓고 필요할때마다 뜯어서 먹고 있습니다. 파는 냉동하면 식감이 또 엉망이 되어버리잖습니까...
파들이 튼튼해서 한겨울도 노지에서 잘 나더군요. 비용면에서도 매번 사먹는것 보다 절약이겠지만 그게 문제가 아니라 항상 싱싱한 파를 먹을 수 있는게 정말 좋아요.
아래는 대파와 쪽파 그리고 수육에 얹은 파인애플 세이지 사진입니다.
파인애플 세이지는 한번 심어뒀더니 월동을 하고 해마다 저리 무성하게 나더군요. 허브에서 나는 파인애플향이 정말 기가 막히게 좋은 허브에요.




저희집 정원의 허브들만 조금 더 보여드릴께요
여름 내내 보라빛 꽃이 너무 아름다운 라벤더와 요즘 화훼시장에 안개꽃이 많이 나오더군요. 잔잔한 연보라빛 안개꽃이 얼마나 아름다운지...유혹을 못이기고 데려와 버렸죠.
제가 보라빛 꽃을 좀 좋아하거든요...
그리고 잡초처럼 무성한 페파민트,애플민트,레몬밤이구요...얘들도 한번 심어놓으면 씩씩하게 잘 월동하고는 다음해 봄에 저리 무성히 다시 피더군요.
커다란 로즈마리 화분 4개와 세덤 3개는 저는 농담으로 저한테 "수청든다"고 한답니다.
밤에 잘때 로즈마리 화분과 세덤을 머리맡에 두고 자면 로즈마리향이 정말 기분좋게 잠들게 해주거든요.
세덤은 잘 아시다시피 다육식물이라 낮에 이산화탄소를 내뿜고 밤에 산소를 내뿜어 밤에 방에 두면 좋은 식물이지요.
맨 아래 새싹들은 루꼴라와 바질이에요. 4월에 씨를 뿌렸는데 저렇게 오밀조밀 자라고 있네요.
한달쯤 더 지나면서 뜯어먹을 수 있을라나 기대하고 있지요.
루꼴라에 올리브유를 살짝 스프레이하고 소금,후츠를 살짝 뿌리고 팔마산 치즈를 얇게 썰어 얹어먹으면 정말 별미지요.
바질이야 두말할 필요없이 페스토만들어서 스파게티해먹거나 피자위에 얹어먹음 짱이구요.
다들 즐거운 어린이날 맛있는것도 많이 드시길 바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