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에서는 홍갓으로 많이 김치를 담가 먹기도 했는데 요즘은 돌산갓으로
김치를 많이 담가 드시는 거 같더라구요.

참 연하디 연합니다. 만지는 소리만 들어도 부드럽고 갓 특유의 향기가 납니다.

언뜻 보면 여린 배추같을겁니다.

소금물에 자박하니 절였어요.
한 두 시간 정도 절였을까요?

워낙 연한잎이라 금새 숨이 죽네요.

소쿠리에 받쳐 물기를 뺀뒤에 찹쌀가루와 고구마가루를 섞어 풀을 끓이고 앙파도 조금갈고
멸치액젓에 고춧가루 마늘 생강 설탕조금넣어 양념을 섞어준뒤 고루 고루 버무렸지요.

통깨도 솔솔 뿌려가면서 마무리하고 싱거웁다 싶어 액젓으로 간을했습니다.

야들야들 하니 향도 좋습니다.
생김치 좋아하시는 분은 지금 막 드셔도 좋지만 살짝 익혀드심이
더 깊은 맛이 날것같아요.
시장가심 한 번 더 둘러보세요.
돌산갓이 조신하게 앉아있는지 말예요.^^*
임실 시동생이 고추가 점점 병들어 간다고 고추대 뽑기전에
고추를 따서 보내주셨어요.

딴딴하니 야무지게도 생겼지요?

간이 들라고 고추 끄트머리를 가위로 잘라내고 꼭지도 1센티정도 남겨놓고 잘라주었지요.
다 따버리거나 꼭지를 뚝~~떼어 내버리면 그 자리가 물러버리니 항상 이렇게 남겨놓고
잘라야 한답니다.
된장에 하던 간장장아찌를 하던 방법을 다 같아요.

그리고 다시마 양파 멸치 마늘 말린 표고버섯을 넣고 육수를 끓여 완전히 식힌 후에

뻑뻑한 된장에 붓고 치대주었어요.
짠기도 없앨뿐더러 고추에 간이 배일때 더 맛나게 하기 위해서 이렇게 맛을 내기도 합니다.

된장을 치대서 한쪽으로 잘 놔둡니다.
다듬어 씻은 고추를 씻어 물기를 빼고 소금물을 팔팔 끓여 부어줍니다.
그래야 더 아삭하고 쫀딕하게 된장속에 박아 맛나게 먹을수 있거든요.

이 틀 정도 지난뒤 소금물에서 건져 물기를 뺀 후에

이렇게 된장속에 잘 묻어 두었습니다.
시나브로 된장맛이 배인 맛있는 고추를 기다려 봅니다.
혹시 주변에서 누가 고추를 준다하면 감사합니다~~하고 얼른 받아오세요.
그리고 일반 시중된장을 사다가 박아도 되고
집에 있는 오래된 된장 있으면 다시물 끓여 식혔다가 부어
차박하게 만들어 된장에 박아 놓으셨다가
김장전에 꺼내 드심 좋지 싶어요~
된장안에서 고추가 맛이 잘 드는 그 날을
저도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