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아래 21398번 송이버섯얘기글 루이님 질문답변입니다

| 조회수 : 2,839 | 추천수 : 34
작성일 : 2006-09-24 12:51:21
루이 (st_paul, 2006-09-22 17:34:32)  

아직은 몇년전에 비하면 가격은 괜찮은것 같던데요..
정말 궁금해서 질문좀 드리고싶어요... 진짜 궁금했던것 들입니다.

1. 예전엔 양양송이 양양송이 했는데 왜 요즘은 봉화송이 봉화송이 하나요
저만 그렇게 느끼나요? 그냥 홍보발인가요? 아니면 양양에 산불땜에 양이 적어져서 그러나요?

@대답입니다
대게하면 저가있는 울진이  잡는량이 전국의 절반을 생산합니다
하지만 많은분들이 영덕대게라고 말해야 알아듣고 좋은줄압니다
봉화도 도로망이 좋아져서 서울과 교통이 1일 생활권에 들어서 더 유명세를 더하리라 봅니다
그리고 봉화지역에서 채취된 품질좋은송이는 좋습니다
유명세타면 가격이 높고 소모량이 모자라면 타지역에서 구입하여 가져가서 특정지역에서팔면 그곳 송이가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사람들은 누가 좋다고하면 군중심리인지 너도나도 와와하고 나빠도 좋다고여깁니다

2. 송이는 높은산에서 나는 것이 좋은가요.. 아님 고성같이 동네 뒷산?같은곳도도 향은 같나요?
심산유곡것이 좋은가요?

@대답입니다
저가 전문가가 아니기에  송이따는분의 조언을 조금들었습니다
높고 깊은산에 송이채취하기가 힘들어 송이가 거칠고 조금험하답니다[울진기준]
향은  비슷하다고하는데 채취하는곳의 토질과 환경에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산에서 채취했으면 향이찐하고
몇일이고 날짜가 가면 갈수록  향이적어지고 수분이 증발해서 조금건조해보입니다
심산유곡이나 야산이나 높은산이나 향은 거의 비슷하다고합니다

3. 향은 어디것이 좋다고 보편적인 이야긴 없나요?

@대답입니다
어디송이 어디송이하는데 사실 그지역 어디엔가 좋은품질의 송이가 있습니다만
모두가 좋은것이 아닙니다 [자기가사는 지역것이 좋다고 보편적으로 말함]
울진송이는 많이 나는데 일본으로 수출을 많이했지요 국내 내수가 적으니 알려지지않았는데
해풍을 맞아서 향이많다고 합니다
양양송이가 이름날릴때는 아마 해풍맞은 송이여서 그랬을것같습니다[산불피해 많습니다]
봉화송이도 진품은 향이좋다고합니다

4. 요즘은 중국산, 북한산이 너무 많다 합니다.. 갈변 된것은 무조건 나쁘다 할수 있겠는지요?
뭘로 구별하나요? 그냥 믿고 받는수 밖에 없나요?

@대답입니다
중국산은 검고 가늘고 뿌리에 흙이 떨어져서 적습니다
여기서 일본 수출하는 아사도리도 흙을 많이제거하여 보냅니다
북한산은 백두산것은 크기가 엄청크고  전문가들은 모양과 색을보고 압니다
우리들은보기에 먹음직 스럽다하지요
물론 작은것도있지만 수입유통날짜가 몇일걸리니 향이 적어집니다
송이 파는분들의 양심에 맏겨야합니다[착한마음은 \을 많이 못남깁니다]
오늘 어판장에가서 사진을찍는데 고기배터진것을 안터진것을 가지고 터진부위옆에 덮어놓으니
모르고 경매로 샀는사람이 뱃사람이 이렇게속인다고 관광객들이 구경하시는데 들어서 보이더군요  

5. 송이도 말리면 향이 더 짙어지나요?

@대답입니다
송이는 말리면  향이적어집니다
요리때도 향이 날아가지않게 뚜껑을덮고 하시면 좋습니다

6. 송이는 무거운것보단 가볍고, 갓이 안퍼지고 크고 하얀색이 좋은가요, 아님 어부 현종님 말씀대로
하얀것들은 키워서 좀 덜한 맛을 내나요, 오히려 자연그대로 색이 진하고 윤이 있고 크기가 좀 적
은 것이 더 좋은가요? ( 이부분은 좀 이해가 잘안가서요.. 색이 진하고 윤이있다라는 얘긴 시간이
좀 경과해서 갈변이 생기는 것 같이 느껴져서요..그냥 송이산주가 불명확해서 미리 따서 적을수도
있을것 같구요..)

@대답입니다
송이는 단단한것이 좋습니다
색상은 아마도 햇빛을 많이본것이  조금더 났다고봅니다[송이 채취장소 현품따라 틀릴수있음]
송이는 a급b급c급 등외로 분류합니다
급수 분류하는 규격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먹는것은 c급 갓이 퍼진것이 향이 더 나고 맛이좋습니다[사람따라 취향따라 틀릴수있음]
굵고 흰것은 시각적으로 선물용으로 좋습니다

여기에 송이장사하시는분 채취하시는 전문가님들이  많을겁니다
이글을 보시면 너가 뭘알어하며 웃을겁니다
그렇지만 모든먹꺼리의 비밀은 본인밖에 모릅니다

글을 조리있게 잘 쓸줄몰라 대충설명하였습니다
실제 차운전은 잘하지만 면허장에가면 불합격하는것과 같이
자세한 설명이 글로는 어렵고 눈으로 보면 혼자는 압니다

지금 송이가격이 조금씩 내려갑니다
다음주 정도가 한물일때같다고 예측합니다만 송이는워낙 신비스러워 맞지 않을수도있습니다


바쁘신줄 알면서 너무 궁금해서 적어 보았습니다.
궁금한거 아무나 아시는 분 있으면 알게 해주세요.. 알고 싶어요  
어부현종 (tkdanwlro)

울진 죽변항에서 조그마한배로 문어를 주업으로 잡는 어부입니다 어부들이 살아가는모습과 고기들 그리고 풍경사진을 올리겠습니다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엘리사벳
    '06.9.24 10:29 PM

    아주 자세한 설명이네요, 감사합니다,

  • 2. 루이
    '06.9.25 11:37 AM

    와~~~ 현종님 감사드립니다. 송이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었는데
    이글을 보니 많은 궁금증들이 해소되었습니다.
    송이 선물하기론 아주 좋은것 같은데 선물받았을때도 기분 좋긴하구요.
    하지만 저희 먹을것 사긴 좀 아깝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제가 송이의 향의 참맛을 잘 모르던가.. 진짜 질좋은 송이를 못먹어봐서 그런지...

    아무튼 많이 알게 되어 기쁘고 또 감사드립니다.
    현종님께 언제 한번 고기 부탁드리겠습니다..
    벌써 부터 기대가 되네요^^*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 3. 루디아
    '06.9.25 12:01 PM

    어부현종님~홈페이지~잘 구경합니다...진짜 멋있뜬데요~ㅎㅎㅎ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20078 마늘소스 샌드위치 3 꽃봄비 2006.09.25 4,808 34
20077 일요일 오후 코스트코가 안겨준 연어- 연어회덮밥 9 레드빈 2006.09.25 8,471 2
20076 때론 낯선, 익숙한 것들- 일본식 계란탕 2 2006.09.25 4,991 22
20075 장어 한마리 몰고가세요 2 김은미 2006.09.25 2,652 9
20074 돌산갓김치 & 고추 된장박아놓기 11 경빈마마 2006.09.25 8,923 20
20073 단호박 떡케익 13 inblue 2006.09.25 4,357 18
20072 월요일아침상 입니다~~ 19 비비안리 2006.09.25 6,668 17
20071 상큼한 체리 크림치즈 무스케익 9 세라맘 2006.09.25 3,463 11
20070 오이배김치(미르마마님~^^) 6 버터토피 2006.09.25 2,808 29
20069 토요일날 신랑생일 치뤘습니다. 3 행복 2006.09.25 5,736 21
20068 엘리사벳님의 꽃을 만들고 싶었다..ㅠ.ㅠ 5 이영희 2006.09.25 3,435 17
20067 매콤한골뱅이와 소면~ ^^ 글고..통조림꽁치김치찌개~ 5 아둘맘 2006.09.24 4,971 15
20066 처음 갈비찜 만들어봤어요 뿌듯뿌듯 4 kimuri 2006.09.24 4,703 5
20065 입이 심심할땐? 비빔국수^-^ 비벼비벼~~~~^0^ 2 sunshinetree 2006.09.24 4,019 7
20064 간식 드세요~ 감자크로켓 6 데이지 2006.09.24 4,042 17
20063 호두머핀 3 motherrove 2006.09.24 2,753 16
20062 백년초로 만든 찹쌀 붙침개 3 은재네시골된장 2006.09.24 3,255 5
20061 김장예행연습 2 pixie 2006.09.24 3,511 4
20060 레몬 케잌 6 이윤경 2006.09.24 2,813 8
20059 아래 21398번 송이버섯얘기글 루이님 질문답변입니다 3 어부현종 2006.09.24 2,839 34
20058 씹는맛이 지대루다~롤치즈콘브레드 1 zio 2006.09.24 3,300 12
20057 일요일에 싼 도시락과 아침식사. 7 miki 2006.09.24 7,617 13
20056 오래간만의 생강케익 7 오렌지피코 2006.09.24 5,345 23
20055 9월 23일 저녁 식사 10 miki 2006.09.23 5,890 8
20054 알밥과 꽃게탕 6 데이지 2006.09.23 5,129 7
20053 양고기와 발사믹 마늘 쏘스 7 miki 2006.09.23 4,094 16
20052 단호박 수제비 6 흰나리 2006.09.23 3,483 8
20051 맥주 안주로 좋은 <그리씨니> 5 파란달 2006.09.23 4,42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