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먹거리 간장, 된장 가르기를 했습니다.

| 조회수 : 13,078 | 추천수 : 3
작성일 : 2012-04-26 20:58:53

                               장을 담으려면 작년 가을 부터 시작해야합니다. 

                            옛부터 음력으로 10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는 메주를 삶아서 만듭니다.

                                          
                                        우리나라 콩을 구해서 깨끝이 씻어 돌을 골라 12시간 정도를

                                        불립니다. (콩물이 우러난 물로 끓입니다)

                                         
                                        불린 콩에 물을 손등에 올 정도로 붇고 끓임니다.

                                        젓은수건을 솟 위에 올려놓으면 끓어 넘치지를 않습니다.

                                         한시간 정도는 센 불로 끓이다가 3-4시간 정도를

                                        약한 불에 끓여서 콩이 붉은 색이 날 정도로 푹 무르게

                                         끓임니다. (때로 타지 않게 저어 주기도 합니다.)

                                        
                                         콩을 기계로 곱게 만들기도 하고 비닐 푸대에 넣고

                                          발로 밟아서 메주를 만듭니다.

                                          
                                         구정무렵까지 햇볕이 잘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말립니다.

                                          
                                           상자에 집을 깔고 메주를 넣어서 15-20일을

                                            따뜻한 곳에 이불을 덮어서 띄웁니다.

                                            비교적 잘 띄어진 메주 입니다.

                                            힌색, 노란색, 겨자색이 좋은 것이고

                                            검은색이나 남색은 잡균이 많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깨끝이 씻어서 말린후 우수날(음력 1월29일)이나 음력으로 9일이나 10일이                                            ㄱㄱ
                                              간장을 담았습니다. 염도는 20도가 넘으면

                                             메주는 가라안지 않습니다. 된장으로 만들 메주는

                                              잘게 만들어서 물만 부어 놓습니다.

                                              
                                              날씨가 따뜻하면 10일 후, 날씨가 추우면 15일 후,

                                              장을 만듭니다.

                                                

                                              올 해는 동네에서 장을 제일 맛있게 하는 분을

                                             초청했습니다.

                                             
                                             고추씨를 넣으면 맛있다고 해서 고추씨를 넣었습니다.

                                              
                                              이것이 염도를 재는 기계입니다.

                                             된장은 15-17도 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간장은 20-22가 적당하다고  합니다.

                                            
                                                               간장을 만들었던 메주는 45일 후에  콩을 삶아서

                                                                  같이 된장을 만들어서 장 가르기를 했습니다.

                                           
                                            메주로 만든 된장,

                                            그리고 장가르기를 해서 만든 된장입니다.

                                           

                                            작년 된장, 고추장, 간장, 막장이  작은 항아리에 있고

                                             올 해 만든 간장, 된장 입니다.

                                              연산홍이 축대에서 봉오리져 있고

                                              딸기꽃이 피어있고  우엉, 석창포, 맥문동, 구기자가 있고

                                              여름이면 채송아, 맨드라미, 봉숭아도 피어 오르겠지요.     

                                             먹거리 장을 조상님은

                                             바람과 땅과 자연이 만들어 주는 먹거리라고 말씀하셨지요.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풀잎
    '12.4.26 9:17 PM

    된장,간장 항아리 들이 참 보기 좋습니다.

    맛난 먹거리가 되겠습니다.

    넓은 시골의 장독대가 부럽습니다.

    도시의 좁은 공간에서 나름 간장,된장을 담아 먹고 사는 나의

    모습과 비교되어 몇자 적어 봅니다.

  • 2. 시골할매
    '12.4.26 9:50 PM

    장은 정말 집에서 담아 먹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잘 몰랐을 때에는 뭐 장이 별거냐 했는데 ..
    알고 보니 장 만큼 소중한 것이 없다는 생각이군요.
    풀잎님은 도시에서도 장을 담아 먹고 사는 분이시라니 대단하다는 생각입니다.
    저는 도시에서 살 때는 지금같이 장을 만들어 먹고 살지는 못했지요.

    재미가 있군요. 문헌을 찾아 보는 것도..

  • 3. 바이어스
    '12.4.26 11:07 PM

    엄마가 도시에서도 항상 장을 직접 담그셨는데
    그 소중함을 모르고 살다가 제가 시집을 가니 알겠어요.
    장이 얼마나 소중한지요.
    시판 된장 먹어보고 알았지요.ㅎㅎ

  • 4. 게으른농부
    '12.4.26 11:26 PM

    아~ 이 사진을 보니 생각이 나네요.
    우리엄니가 만든 된장 간장 고추장......

    마누라는 언제 이걸 배울건지......

  • 5. soll
    '12.4.26 11:46 PM

    와~~~~~~~~~~~~~~~~*_*
    팔이쿡. 키친토크가 아니면.

    된장 담그는걸 제가 어디서 이렇게 생생히 보고 배울 수 있을까요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_ _ ) (- -)

  • 6. hyun
    '12.4.27 9:28 AM

    몇달에 걸친 자료들 정말 귀하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제 40대 후반으로 접어들다보니, 엄마가 공수해주시는 장류를 배워야 할때가 된것같아
    배우려고 맘먹고 있는중이라 너무 반가운 글입니다.
    저희 부모가 저희에게 해주신것이 돈과 사랑말고 장과 김치라는 생각에 저도 제 자식을 위해 장과 김치를 해줘야 겠다는 생각이 불끈합니다.ㅠㅠ

  • 7. 얌얌이
    '12.4.27 10:42 AM

    이제부터 바람과 햇빛에게 맡기면
    맛나게 익혀 줄 것 같습니다.

    시골할매님네 된장,간장...아주 맛나게 익기를 바랍니다.

  • 8. 최선을다하자
    '12.4.27 10:45 AM

    매년 시어머니와 된장 담그는데 과정은 단순해보이지만 얼마나 힘들던지 끝내고 몸이 아프드라구요. 그렇게 완성된 된장은 정말 아까워서 아껴먹게 되구요.

  • 9. 백만순이
    '12.4.27 5:19 PM

    부자시네요!
    저도 엄마손 그만 빌리고 먹거리 독립해야할텐데......

  • 10. 수늬
    '12.4.27 8:26 PM

    저 어제 된장 걸렀어요...
    아주아주 부끄럽지만,딱 메주한덩이 담았거든요..;;;
    간장도 다려놨는데 생각보다 맛있어서 아주 흐뭇해하고 있어요...저는 어른들이 주시기때문에
    한참동안 담아먹지않아도 되긴한데,해보고싶어서 일단 한덩이만 해보자싶어 작은항아리에
    정성껏 담았더니 맛나서 내년에는 좀 늘려담을까 싶어요...
    선배님것 배우고 갑니다...^^

  • 11. 치로
    '12.4.27 8:40 PM

    저도 이렇게 해보는것이 꿈이에요.

  • 12. 시골할매
    '12.4.27 8:49 PM

    하고 싶은 마음은 굴뚝 같은데 ㅋㅋ 잘 안되지요.

    일이라는 것이 재미가 들리면 힘이든다는 생각이 잘 안들어요.
    오히려 몸이 가벼워지죠. 적당히 하면 ...
    스타킹에 나왔던 96의 아름다우신 할머니 생각이 나네요.
    그 나이에도 돈을 벌고 있으면서 건강하게 살아가시던..얼마나 아름답던지...
    그렇게 살고 싶네요. 노후를 ...

    잘살고 싶은 마음이 장도 더 열심히 한다눈....^^

  • 13. 독수리오남매
    '12.4.28 1:34 AM

    저도 장 가르기를 한 후 앞베란다에서 된장,간장이 잘 익어가고 있어요..

    고추장도 제법 익어서 맛이 들었더라구요..

    2틀에 한번씩 항아리를 닦아주고

    5일에 한번씩 고추장은 뒤적여주고 된장은 꼭꼭 눌러주고 있어요..

    시골할매님 된장,간장도 맛있게 익어가겠군요..

    맛있어져라..맛있어져라...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5998 오늘소풍간 1호2호님의 도시락 !! 9 20대학부형 2012.04.27 14,531 1
35997 쿠키들 ^^ 5 뽁찌 2012.04.27 6,483 1
35996 실미도 9개월차 애여사 왔셔요+ㅁ+ 32 Ashley 2012.04.26 13,291 6
35995 먹거리 간장, 된장 가르기를 했습니다. 13 시골할매 2012.04.26 13,078 3
35994 이것이 자취생의 낙지 볶음!!!! 57 쿠키왕 2012.04.26 11,816 4
35993 다시한번 조심스럽게...... 14 백만순이 2012.04.26 9,729 4
35992 어머님 냉장고 습격하기 12 해남정가네 2012.04.26 11,841 4
35991 <첫글> 22 커다란무 2012.04.26 6,538 3
35990 스승은 도처에 있다! 22 발상의 전환 2012.04.26 13,649 7
35989 불란서 포도주별 맛구분과 음식별 포도주 선택 (1) 13 janoks 2012.04.26 5,266 2
35988 프랑스에서 밥 해먹기-살림도구&해먹은 것들&봄 44 스콘 2012.04.25 14,658 1
35987 수아종의 샐러드 6 해남정가네 2012.04.25 6,804 1
35986 향긋함이 가득한 미나리무침 10 황대장짝꿍 2012.04.25 11,861 4
35985 참치회 2탄 눈다랑어 다다끼!!! 47 쿠키왕 2012.04.25 9,303 6
35984 매실청 피클, 견과류쌈장, 일상밥상들~ 10 엄마딸 2012.04.24 7,306 2
35983 [라자냐만들기] 처음 시도해본 라자냐~ 26 아베끄차차 2012.04.24 13,594 2
35982 사람되려,,,쑥버무리~ 16 해남정가네 2012.04.24 6,881 3
35981 나물밥상과 벚꽃 54 LittleStar 2012.04.24 11,948 4
35980 10,000원도 안들어간 집밥 반찬들 31 경빈마마 2012.04.24 23,496 12
35979 비오는 주말 아까워라.. 15 딩딩 2012.04.24 7,245 1
35978 키톡에 아이 밥상 올리는 이유 33 분홍딸기토끼 2012.04.24 12,975 2
35977 자취생도 먹는다!! 참치회!!!! 52 쿠키왕 2012.04.23 11,707 6
35976 '사먹은' 중국음식 들이랑 갈비요 갈비. 8 appple 2012.04.23 5,449 1
35975 [비스켓만들기] kfc 안부러운 비스켓만들기 28 아베끄차차 2012.04.23 11,456 2
35974 나의 주방이야기... 몇탄인가요? 6 셀라 2012.04.23 11,765 1
35973 너도 소중하고, 너도 소중하다. 24 행복한손가락 2012.04.23 5,834 1
35972 국민요리 오징어 볶음과 데침!!!! 49 쿠키왕 2012.04.23 10,647 4
35971 아침 영양죽으로 좋은 바지락 부추 죽 4 경빈마마 2012.04.23 7,66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