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카바레가 아방가르드의 산실이었다고요?

| 조회수 : 1,937 | 추천수 : 209
작성일 : 2010-06-05 01:55:08


  
카바레란 말이 갖고 있는 이상한 뉘앙스때문에 도서관에서 카바레에 관한 책을 발견하고 신기해서

목차를 읽어보았습니다. 그랬더니 그 안에 지금 목요일에 읽고 있는 도발-아방가르드의 역사-에서 다루고

있거나 아니면 금요일 모던 타임스에서 다루는 내용들이 빼곡히 들어있어서 빌려왔습니다.

마침 본분을 잊고 사진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말을 들어서일까요? 정말 그렇네, 한 번에 두 가지를 동시에

잘 하기가 어렵구나 ,그래도  첫 정을 몰라라 하고  사진만 갖고 노는 모습은 좀 곤란한 것 아닌가?

카바레를 읽다보니 당시의 그 공간을 꾸려나가던 사람들의 삶이 상상이 되고  로트렉의 그림이 보고 싶어집니다.






그 책안에 바로 이 인물 아리스티드 브리앙에 관한 글이 잔뜩 있었습니다. 그렇게 만나고 나니

이 포스터안의 그가  달리 보이는 신기한 경험을 하게 되네요. 오랫동안 그는 포스터속의 인물에 불과했는데

지금은 피와 뼈로 이루어진 한 시대를 풍미한 인간으로 바라보게 되는...



만국 박람회를 기회로 파리에 불어닥친 일본풍의 범람, 그것이 이 포스터속에서도 고개를 디밀고 있는 것이

느껴지는군요. 보나르를 읽다가도 그가  일본 판화에 영향을 받아서 색감에 이용하는 장면이 소개되고 있었습니다.

보나르와 로트렉 역시 아는 사이였고요. 그들이 드나드는 카바레에 에릭 사티도 함께 했다고 하는 글을 읽으면서

한 시대를 형성하는 문화에 대해 ,그들이 모여서 만드는 문화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네요.






만들어서 우리에게 배달되는 문화가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만들어가는 삶속에서 우러나오는 문화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 하는 글을 이번주 수유 위클리에서 읽었습니다. 스스로 만드는 마을,그 속에서 공동체적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 물론 매일 아름답기만 한 것은 아니겠지요?

스스로를 단련시켜야 하고 스스로의 치부를 자신도 모르게 드러내야 하고 부딪히면서 깨지기도 하고

이상하게 싫다고 느껴서 옆에 함께 하기도 곤란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기도 할 것이고

그런 여러가지들을 뛰어넘는 과정,그 자체가 삶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이야기들을 읽으면서

내가 바라는 삶과 내가 실제 살고 있는 삶사이의 거리에 대해서 생각을 하기도 했습니다.



1880년대에 처음 생긴 카바레가 했던 기능을 지금은 잃어버렸고 다른 곳에서는 다른 식으로 변용되어

운영이 되어도 그 정신을 이어받는 다른 공간들이 생겨나지요. 그렇게 변하는 것, 그 와중에서 새로운 것이

첨가되고 혹은 완전히 태를 바꾸어 이어지기도 하는 것, 그것이 인생의 모습이겠지요?



목요일 수업중에 홍대 앞 문화공간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가보고 싶다고 하니 대뜸 반응이

나이제한이 있어서 들어갈 수 없다고 하네요. 나이 제한이라니?  나중에 듣고서야 무슨 소리인지 알게 되었는데요

그렇다면 끼리 끼리 놀아야 한다는 의미일까요? 그 분위기를 잘 몰라서 속단하긴 어렵지만요.

로트렉의 포스터 그림들을 보고 있자니 그 시대 사람들의 이 공간에 대한 반응은 어땠을지, 어떤 사람들이

그 곳에 모였을지, 모이는 사람들은 즐거웠겠지만 춤추고 서빙하는 사람들은 어땠을지 그들 삶속으로

상상속에서 함께 들어가는 기분이 되는군요.



관중이 즐겁기 위해서는 누군가 그들을 위해 뒤에서 봉사하는 사람들이 필요하다는 것, 그것이 아니고

동시에 준비하고 동시에 즐기고 그리고 동시에 뒷처리를 하는 그런 문화를 만들어가고 즐기는 아이들이

되려면 어찌 해야 하나, 두 아이들이 어른이 되어서 살아가는 삶에서 스스로 문화를 만들어가는 역량이 있는

아이들로 클 수 있었으면 하는 생각을 간절히 하게 됩니다.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intotheself
    '10.6.5 11:05 PM

    오늘 이 책을 이어서 읽었습니다 ,드디어 스위스의 취리히에 만들어진 카바레 볼테르에

    관한 글을 만났지요. 일차대전을 전후로 해서 그 곳에 모여든 사람들의 면면을 읽으면서

    마음이 거의 100년전의 한 장소에서 노닐던 날이었습니다.

    우연히 구한 한 권의 책으로 시간여행을 하고 있는 중이라고 할까요?

  • 2. wrtour
    '10.6.6 1:37 AM

    샤티 말씀하시는데,
    샤티하면 드뷔시겠죠.
    둘은 가장 친했으니.
    드뷔시 인간관계가 좀 개판이였어요.여자 관계도 그랬고.
    로뎅과 까미유 클로델,그리고 드뷔시의 삼각관계에서도 그랬고.
    클로델의 브론즈 '왈츠'에서 상대방이 바로 드뷔시.
    당연 로트렉,샤티,드뷔시는 친분들이.
    여기에 좀 지나 피카소,장콕도 등도 합류하고.

    로트랙하면 고흐.앵그르가 생각나요.
    37에 단명햇기에.
    연금술에 도취 수은 중독으로 죽은 파르미자니노도 37세였던 걸로.

  • 3. 수늬
    '10.6.8 1:27 PM

    로트렉하면 저는 어릴적?(중딩땐지 고딩땐지..)본 물랑루즈라는 영화가 기억나요...
    거기서 로트렉이,명성을 얻은 후 방탕하고 느낌이 좀 비관적인 내용이었던거같아요...
    단신에대한 비관도 기억나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3304 신병교육대 9 여차하면 2010.06.08 2,001 183
13303 마당 꽃들.. 4 remy 2010.06.08 2,151 165
13302 할머니의 창문은 ~~~~~~~~~~~~~~~ 7 도도/道導 2010.06.08 1,782 188
13301 힘내세요!! 9 카루소 2010.06.08 2,775 220
13300 어느 치과의 무리수. 3 꿀아가 2010.06.07 2,357 149
13299 요즘 보기 힘들지 않나요??? 9 Good bye..Angel 2010.06.07 2,109 120
13298 지난 추위의 혹독함 그 후.... 1 하늘나리 2010.06.07 1,959 148
13297 친구야 한잔받어 1 어부현종 2010.06.07 2,179 177
13296 그대 이름은~~아침에 피는 장미^^ 13 안나돌리 2010.06.07 2,474 130
13295 그림 보는 만큼 보인다 2 intotheself 2010.06.07 2,094 216
13294 올림픽 공원의 꽃들 9 청미래 2010.06.07 2,008 154
13293 비번 바꾸고 군대간 여친!! 8 카루소 2010.06.07 3,334 204
13292 power of love 1 서티9 2010.06.06 1,701 219
13291 난꽃이랑 강쥐들이랑 기념샷도 날려 주공^^ 12 안나돌리 2010.06.06 1,897 150
13290 너무도 기분좋은 나의 일요일 아침 5 안나돌리 2010.06.06 2,053 194
13289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워 8 intotheself 2010.06.06 2,324 197
13288 홀로선 적막감에... 7 카루소 2010.06.06 2,979 214
13287 파란 이유를 아시나요? 12 카루소 2010.06.06 3,081 192
13286 저는 여기 매번 물어보러만 와요...^^; 5 ice 2010.06.05 2,010 139
13285 토요일 아침의 신문읽기 6 intotheself 2010.06.05 2,453 222
13284 우리지역 슬로건.. coolguy 2010.06.05 1,712 211
13283 해돚이 4 어부현종 2010.06.05 1,910 182
13282 카바레가 아방가르드의 산실이었다고요? 3 intotheself 2010.06.05 1,937 209
13281 포말처럼 부서지는 햇살이......... 12 마실쟁이 2010.06.04 1,783 135
13280 6개월간의 다이어트를 끝내고!!! 3 엉클티티 2010.06.04 2,355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