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마늘의 아린맛을 제거 하는게 관건인데 보통은 마늘을 볶아 그맛을 없애려 한답니다.
저도 마찬가지....하지만 쬐금 부지런하게 미리 준비해 두면 맛난 마늘통닭을 즐길수가 있어요.
일주일전 마늘의 즙을 꼭 짜서 부슬부슬한 마늘 알갱이에 설탕,소금,후추,참기름을 섞어
냉장고에서 숙성을 시켜줍니다.
그럼 신기하게 마늘본연의 맛만 남게 되어요.
----덧붙여 마늘즙은 버리지 말고 따로 활용하시면 되구요.마늘양에 1/3 정도의 설탕을 넣었어요.
쉽게 말하면 마늘을 설탕에 절여 버리는 거죠. 소금은 약간만 넣구요 마지막에 통닭에 드실때 소금간 다시 하셔두 되구요...섞어놓고 맛을 보면 잘 어울리는 익숙한 맛이 날거에요~~
이렇게 만든 마늘은 활용도가 높아서 오리엔탈 드레싱이나 파닭소스에 사용할수가 있어요.


뜨신 아랫목에서 핑크빛 이불덮고 귀하신 대접받고 있는 식품의 주인공은 누굴까요?

짜잔~~~~~~ 이래도 모르시는 분들이 많죠??

일주일후 드뎌 모습을 드러낸 음식은..... 바로 밥식해 입니다.
일부(영남,이북)지방에서 밥과 생선을 삭혀 만든 음식인데요 하얗게 만들어 제사상에 올리기도 한답니다.
저흰 생선을 사용하지 못해서 진미채로 만들었답니다. 한번 맛보시면 매콤개운한 그맛을 잊지 못할거에요.

재료: 무채.진미채,고두밥,엿기름,고추가루,마늘,설탕
만드는법: 먼저 고슬고슬 고두밥을 해놓고 무채는 며칠전 썰어놓아 살짝 말리거나 소금에 졀여 물기를 완전히 빼놓으세요. 진미채도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 손질해 놓으시고 ... 생선이 안들어가면 굳이 엿기름은 안써두 되겠더라구요. 식해에 마늘과 고추가루가 많이 들어가니 넉넉히 준비해주시구요. 저흰 비린내가 안나는거라 생강은 사용안했는데 생선 들어가면 생강도 들어가요. 일단 재료만 확실히 준비하시고 버무려 숙성기간을 거치면 되겠습니다. 제가 다른님 까페 링크를 걸어 놓을께요...사진과 설명이 아주 잘 나와있어요.
http://blog.naver.com/pohangjang/110066223352

이 징그런 재료의 정체는 무얼까요?

한때 9시 뉴스에도 그 이름을 널리 알렸던 기름치에요......과다하게 먹으면 설사,복통이 온다는 누명을 쓰고 매우 나쁜 생선으로 인식되어서 그렇지 참치란 이름으로 사용되지만 않으면 맛좋은 생선이에요.데리야끼 소스에 조려 먹으면 부드러운 맛이 일품이죠.

당면대신 넣어본 콩나물이 잘 어울렸던 콩나물 잡채에요.
82쿡엔 고수님들이 많으셔서 일일이 레시피는 올리지 않아도 되겠죠??

냉이랑 어울릴만한 요리 찾다 따라해본 쇠고기 냉이 무침이에요.
먼저 쇠고기는 샤브용으로 준비해 후추,설탕으로 밑간을 해주세요. 차돌박이도 좋고 목심도 좋구요.
깨끗이 손질한 냉이도 이쁜 초록색이 나도록 데쳐냅니다
스키야키 소스를 만들어 끓어 오르면 샤브고기를 살짝 데쳐 냅니다.(한꺼번에 넣지말고 한장씩 넣어 주세요)
무침양념(참기름,마늘,후추,깨소금)에 살짝 무쳐주세요....참기름은 너무 두껍지 않게 봄옷먀냥 하늘거리도록만 입혀 주세요.
만들기도 쉽고 이것저것 해본 쇠고기요리에 질리신다면 한번쯤 만들어 보세요~~

디저트로 한번 만들어본 팥 당고입니다.
먼저 찹쌀가루에 두유를 넣고 익반죽 한다음 여러번 치대서 동글동글 완자를 빚어 끓는 물에 데쳐 찬물에 헹궈주고 참기름을 발라줍니다.
반죽의 되기를 먼저 살펴본후 두유의 양을 가감해 주세요~~
이 과정만 끝나면 타래소스(간장,설탕을 조려 만들었어요...원래 조청을 사용하잖아요~) 를 만들어 줍니다.
팥이 충분히 달아서 소스는 없어도 될듯하긴 해요.
그 다음엔 제대로 담아 내기만 하면 되요. 참 쉽죠잉~~
요즘 들어 아주 오래전 먹었던 켄터키후라이드 치킨 생각이 간절하네요.
닭집이 없던 시절 호프집에서 튀겨 안주로 팔던걸 엄마가 가끔 사오셨는데 빵가루에 계피향이 났어요.
제대로된 레시피 있으신분 어디 안계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