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깨지지 않고 껍질이 술술 벗겨지게 계란을 삶는 노하우

| 조회수 : 16,246 | 추천수 : 14
작성일 : 2005-11-09 03:07:07
에스더의 요리세상, 도자기, 그리고 여행
http://blog.khan.co.kr/estheryoo






어릴 때 많이 먹던 삶은 달걀.
소풍 갈 때와 운동회 때 꼭 싸가지고 갔었지요.
그렇지만 먹을 때 노른자가 너무 뻑뻑해서
저는 언제부터인지는 모르겠는데
삶은 달걀을 잘 먹지 않게 되었어요.

그런데 작년 여름 빠리 여행 중 우리가 묵었던 호텔에서
아침식사가 나오는데 매일 삶은 brown 달걀을 써빙하더군요.
따끈따끈하고 껍질이 술술 벗겨지는 삶은 달걀을 너무 맛있게 먹어서
집에 돌아온 후로는 종종 brown 달걀을 삶아 먹곤 한답니다.



* 에펠탑에서 내려다 본 빠리의 공원

빠리 여행 사진 구경하기:
1. http://blog.dreamwiz.com/estheryoo/4175120
2. http://blog.dreamwiz.com/estheryoo/4175124
3. http://blog.dreamwiz.com/estheryoo/4182930
4. http://blog.dreamwiz.com/estheryoo/4182948


또 교회에서는 부활절 때 달걀을 많이 삶지요.
집에서 열 개 정도를 삶을 때는 잘 몰랐는데 100개를 한꺼번에 삶으니까
깨지고 터지고 난리가 났어요. 계란 삶기가 어렵더라구요.
특히 장조림에 넣을 때는 껍질이 에쁘게 벗겨져야 되는데
잘 안벗겨지는 계란은 마치 살을 뜯어먹은 것처럼 되어서
장조림에 넣기가 곤란했어요.

특히 계란 삶기는 시간을 정확히 맞추어서 삶아야 해요.
너무 삶으면 노른자의 테두리색이 변하니까요.

그래서 간단한 것 같아도 쉽지않은 계란 잘 삶기 노하우를 공개해 보려고 합니다.



<계란 잘 삶기 노하우>

1. 냉장고에 보관중인 계란을 꺼내어 실온에 15분 정도 놓는다.
냉장고에서 꺼내 바로 삶기 시작하면 계란에 금이 가고 터지게 된다.

2. 냄비에 계란을 담고 찬물을 붓고 소금과 식초를 넣고 끓이기 시작한다.
소금은 깨지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고 식초는 껍질이 잘 까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3. 중불에서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약한 불로 줄이고 이 때 부터 10분 정도 삶는다.
정확히 10분을 맞추기 위해 타이머를 사용하는 게 좋다.
너무 익게 되면 노른자 둘레가 색이 바뀐다.

4. 끓인 후 찬물에 담가 식히기.
찬물에 담가야 계란이 더 익는 걸 막을 수 있다.

5. 깨지거나 터지지 않고 잘 삶아진 달걀.

6. 이렇게 삶으면 신기하게도 껍질이 실타래 벗겨지듯이 술술 벗겨진다.

7. 아주 잘 벗겨진다.

8. 껍질을 다 까도 계란에 흠집이 없다.



9. 계란 끝 껍질이 쏙 빠진다.

10. 매끄럽게 잘 까진 계란.

11. 아주 보기 좋죠?

12. 계란을 잘랐을 때 노른자가 적당히 잘 익었다.




[팁]

1. 다시한번 요약하면 (1) 냉장고에서 계란을 꺼내 실온에서 15분 두기,
    (2) 삶을 때 식초와 소금 넣기, (3) 물이 끓으면 딱 10분만 삶기 - 타이머 사용,
    (4) 10분 삶으면 바로 찬물에 담기.

2. 신선한 달걀은 껍질이 까칠까칠하고 흔들었을 때 소리가 나지 않는다.

3. 물이 끓을 때까지 가끔씩 젓가락으로 달걀을 굴려 주면
    노른자가 한 쪽에 쏠리지 않고 중앙에 있게 된다.



<계란 삶기 노하우> 더 많은 사진은
여길 꾹 놀러 주세요.
에스더 (estheryoo)

안녕하세요? 뉴욕에 사는 에스더입니다. https://blog.naver.com/estheryoo5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맘~짱
    '05.11.9 3:42 AM

    사소하지만..좋은 정보네요~

  • 2. 솜사탕
    '05.11.9 7:22 AM

    찬물에 담궈야 껍질이 잘까지는것 같은데.. 가끔은 아주 뜨거운거 잠시 찬물에 손댈수 있을 정도로만 식힌후에 뜨겁게 먹고 싶기도 하거든요. 근데 이넘이 뜨거울땐 정말 죄다 살 뜯어먹듯 안까지니.. ㅠ.ㅠ
    저두 담엔 식초를 넣어봐야겠어요~~ 감사~ ^.^

  • 3. 수인맘
    '05.11.9 8:29 AM

    정말 유용한 정보 감사해요. 계란 삶는 것이 쉬운 것 같아도 은근히......... 에스더님 요리정보 잘 보고
    있습니다.

  • 4. 덕근맘
    '05.11.9 9:24 AM

    오늘 계란장조림 할건데 정말 알찬 정보네요. 감쏴~~

  • 5. 이지은
    '05.11.9 9:46 AM

    추천~! 안그래두 어제 계란 한판을 샀는데..ㅎㅎ 정보 감솨~ ^^

  • 6. 에스더
    '05.11.9 9:55 AM

    맘~짱님, 땡큐~

    솜사탕님, 식초를 넣으면 뜨거울 때라도 술술 껍질을 까서 먹을 수 있답니다.

    수인맘님, 제 요리정보를 잘 보고 계시다니 감사합니다. 계란 삶는 작은 일도 노하우가 필요하더라구요.

    덕근맘님, 예쁜 계란 장조림 만드시겠네요.

    지은님, 땡큐~ 냉장고에서 꺼내시면 실온에서 15분 두었다가 삶으세요.

  • 7. luna
    '05.11.9 10:01 AM

    와우, 좋은 정보 하나 배우고 갑니다.

    에스터님 감사해요~(항상 삶은 달걀을 까 놓으면 멍게처럼 되어서 불만이었는데...)
    식초, 소금 외워야지....

  • 8. 콩콩
    '05.11.9 10:30 AM

    ㅍㅎㅎㅎ, 루나님, 멍게..ㅋㅋㅋ
    저희집 삶은 계란은 외계생명체처럼 되는데요...-.-
    에스더님, 간단하지만, 감명깊은 레서피 접수하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 9. 에스더
    '05.11.9 10:38 AM

    luna님, 콩콩님, 두 분의 위트 넘치는 답글에 저 넘어 갑니다.
    어찌 그리 글을 잘 쓰시고 표현이 생생한지 부럽네요. ^^

  • 10. 마음만요리사
    '05.11.9 11:23 AM

    아~~ 글쿤요...
    쉬운것같으면서두 계란삶는건 정말 어렵다 생각했었어요...
    몇분을 삶아야할지 안깨지게 삶으려면 어찌해야하는지
    정말 궁금했었는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11. 박하사탕
    '05.11.9 11:27 AM

    국수삶은물로 달걀을 삶으면 껍질이 잘 벗겨진대요
    그렇다고 일부러 국수를 삶을순 없으니 밀가루를 조금 넣고 삶으니 잘 벗겨지던걸요~~

  • 12. miki
    '05.11.9 11:34 AM

    그럼 반숙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가운데가 덜익어 가운데
    부드러운 계란을 좋아하는데,,,,,

  • 13. 민이랑~*
    '05.11.9 11:49 AM

    접수 했습니다..
    간단하지만...꼭! 필요한 정보예요...
    감사해요~~~

  • 14. 건강미인
    '05.11.9 11:51 AM

    나도 잘 삶아서 계란을 먹고 있는데 그럴때마다 중간에 계란이 터지고 난리가 났었는데
    이렇게 하면 되는군요 한번 똑같은 방법으로 해봐야겠네요...

  • 15. 이쁜이
    '05.11.9 2:03 PM

    아하! 그렇군요 계란 삶을 때마다 깨져서 내용물이 밖으로 널부러져 있어 모양이 안 나구 버린 것두 많은데 이제는 그런 일은 없을 것 같아요. 덕분에 맛난 계란 예쁜 계란을 이쟈부터 ㅋㅋㅋ

  • 16. 에스더
    '05.11.9 2:16 PM

    마음만요리사님, 이제는 깨지지 않고 껍질이 잘 벅겨지는 에쁜 계란을 삶아 드세요.

    박하사탕님, 아 그렇군요. 저도 한 번 해봐야겠어요.

    miki님, 5분-7분 정도 삶으시면 될거예요. 그런데 원하는 반숙에 정확히 맞추려면 시간량을 조금씩 다르게 시도해 보세요.

    민이랑님, 맞아요. 간단한 것도 노하우가 필요하더라구요.

    건강미인님, 네, 똑같이 하면 노 프라블럼이랍니다.

    이쁜이님, ㅎㅎㅎ 앞으로는 계란 버리는 일이 없을 거예요. 아자!

  • 17. 비타민
    '05.11.9 2:59 PM

    간단한듯 해도 저같은 초보에겐 아주 좋은 정보에요... ^^ 어떨땐 계란 삶으면... 물이 무슨 계란국 같이 될때가 있어요...ㅋ ^^

  • 18. Kong각시
    '05.11.9 4:24 PM

    오늘 메추리알 장조림 하려고 하는데 응용해야겠어요~~~

  • 19. capixaba
    '05.11.9 6:33 PM

    전에 82에선지 다른 곳에선 지 본 건데요
    바닥이 좀 두꺼운 냄비에 키친타올을 깔고
    키친타올이 젖을 정도로 물을 뿌린다음
    달걀을 올려놓고 중불에서 5~7분정도 삶으면
    완벽하게 계란이 삶아집니다.
    가끔 삶아 먹는데 정말 시간 짧게 걸리고 맛있는
    완벽한 계란이 탄생합니다.

  • 20. 수우
    '05.11.9 11:38 PM

    삶으면서 숟가락으로 계란들을 굴려주면 잘랐을때 노른자가 한가운데 예쁘게 박혀요...

  • 21. 개똥이
    '05.11.10 12:43 AM

    오늘아침에 계란 열개 삶아서 장조림 했는데,,,, 껍찔 깔때 살점이 다 떨어지더라구요.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ㅅ^

  • 22. 에스더
    '05.11.14 10:43 AM

    비타민님, 님 리플에 저 넘어갑니다. ^^

    Kong각시님, 메추리알 장조림 맛있겠어요. ^^

    capixaba님, 좋은 정보 감사해요. 저도 한 번 해 볼게요. ^^

    수우님, 맞아요. ^^

    개똥이님, 다음엔 예쁜 삶은계란으로 장조림 하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5343 고소미의 먹고살기 8 고소미 2005.11.10 3,467 15
15342 저도 빼빼로 만들었어요. 3 상구맘 2005.11.10 2,984 39
15341 제발 사진아, 보여다오 11 miki 2005.11.10 3,704 2
15340 홍시 만들기... 저한테 쪽지로 문의하신 분이 계셔서.. 7 행복한토끼 2005.11.10 7,414 28
15339 할로윈 테이블 세팅 6 miki 2005.11.10 3,642 6
15338 <맑은 북어콩나물국> & <얼큰한 북어콩나물국&.. 6 에스더 2005.11.10 5,835 37
15337 영광굴비..really~? 7 tazo 2005.11.10 4,045 7
15336 죄송해요. 다시 올립니다. 친구 왔을때 상차림 13 miki 2005.11.10 6,208 3
15335 떡 . 뽁 . 이 ♥ 20 챠우챠우 2005.11.10 7,420 4
15334 아침부터 " 빈대떡"-간단 버젼입니다. 13 주니맘 2005.11.10 4,670 3
15333 어젯밤에 결심했다!!!! ㅡ.ㅡ 17 광년이 2005.11.10 5,074 3
15332 "하트파이" 드세요~~~ 7 덕근맘 2005.11.10 2,478 6
15331 tazo님 따라해본 초코 케이크 6 aristocat 2005.11.09 3,418 26
15330 계란이 동동 순두부 찌게 1 뿌요 2005.11.09 3,696 24
15329 노른자 애가 안먹는다면 이 방법으로.. 진주 2005.11.09 2,590 31
15328 Piemonte의 치즈 2 il cuoco 2005.11.09 2,322 14
15327 Peperoni Arrostini con Bagna Caoda... il cuoco 2005.11.09 1,841 110
15326 해초이야기 2 지돌이 2005.11.09 1,994 38
15325 나의 누룽지 만드는 방법..... 11 luna 2005.11.09 7,132 23
15324 요리라고 하기엔 ... 호박고구마 구이 7 쭈아 2005.11.09 3,592 4
15323 고등어를 맛있게 먹는 또 한 가지 방법(퍼온글) 3 또이엄마 2005.11.09 4,914 3
15322 휘리릭~ 갈비찜! 4 까미 2005.11.09 5,798 79
15321 버섯밥드세요 8 miki 2005.11.09 4,077 2
15320 가지튀김 14 솜사탕 2005.11.09 4,544 19
15319 스콘 초코 2005.11.09 2,827 71
15318 깨지지 않고 껍질이 술술 벗겨지게 계란을 삶는 노하우 22 에스더 2005.11.09 16,246 14
15317 오색의 동부묵으로 만든 탕평채 쉽게 먹기... 22 soogug 2005.11.09 4,848 5
15316 ♣ 바게트와 마늘빵..그리고.... ♣ 4 민들레 2005.11.08 3,112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