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감식초와 막걸리식초를 만들었습니다.

| 조회수 : 9,926 | 추천수 : 130
작성일 : 2006-03-25 02:29:32
이제 겨우 살림에 눈을 떠서 요것 조것 만들어보다가
작년 가을에 맛난 감과 맛없는 감이 동시에 잔뜩 생겨서
맛 없는 상한 감들의 처분을 고민하다가 감식초를 시도하게 되었습니다.

감식초...하면 '대장금'의 열풍으로인해 더 유명해진 바로 그 식초이지요.
곡물로 직접 만든 식초는 훨씬 순하고 부드러워서
건강 미용식으로 많이 각광을 받고 있다는데...

저는 우선, 처치곤란 감을 해치우기 위한 시도로 무조건 시작했습니다.
마침 커~다란 병도 있겠다 시작했죠.


감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닦아낸 다음 병에 차곡차곡 담습니다.
만일 물로 씻었다면 물기가 마르도록 놔둔 다음에 뽀송해지면 넣으세요.
감꼭지도 따지 않고 그냥 넣습니다.

바로 작년 11월 8일입니다.
아무것도 더 넣지 않고 병에 담아두면 됩니다.
단, 병을 너무 꽉 닫지 않고 살짝 닫으세요. 그래야 발효가 됩니다.

그때 동시에 집안 구석에 처박혀있던 막걸리도 식초로 담궜지요.
네,맞습니다.
한마디로 재고처분이었습니다.
막걸리는 술빵 만든답시고 샀다가 한번인가 두번인가 해먹고 구석에 처박혀있던
천덕꾸러기였습죠.
이제 새 인생을 찾게 해주기로 하고, 역시 천대받던 못난 감과 더불어
식초의 인생으로 새출발을 시켜줬습니다.


2006년 3월 19일.
어쨋거나 감식초 이야기부터 하겠습니다.
감식초는 우리집 부엌 냉장고 위에 올려져서 겨울을 무사히 보냈습니다.
냉장고 위인지라 춥지도 덥지도 않은 곳이죠.

얼마 지나자 하얀 곰팡이가 위에 생겼는데 그게 정상입니다.
괜히 '앗! 곰팡이다!' 하고 상했다고 냅다 갖다 버리지 마시기 바랍니다.
좀 보기엔 거시기 해보여도 다 음식이 되어가는 모습입니다.
아무 것도 넣지 않고 감만 넣어뒀는데도 밑에 액체가(식초) 생기는 걸 보면 신기합니다.^^

넉달을 놔두자 저렇게 두껍게 곰팡이가 생겼습니다.
드디어 개봉하겠습니다!!


곰팡이는 그냥 통째로 들리더군요.
곰팡이를 들어내고 안의 푸욱 삭은 감들도 국자로 떠냈습니다.
병 무게가 장난이 아니라 거꾸로 쏟을 수가 없어요.


건데기를 다 건진 후에 큰 통에 면보자기를 얹어서 그 위에 남은 국물을 쏟았습니다.
면보자기는 물론 고무줄로 고정을 해놓은 상태에요.



보이세요?
면보자기를 통해 밑으로 식초가 흘러내려 고이고 있어요.



건더기 때문에 안 빠지는 것은 한약찌꺼기 짜듯이 수저 같은 것으로 꾹꾹 눌러
알뜰하게 짜냈습니다. ^^
생각보다 많이 나오네요.


큰 병에 하나 작은 병에 하나....
이렇게 수확했습니다.
향이 어찌나 강한지... 감식초의 향이 확 납니다.
너무 뿌듯합니다~ ^^



그리고 아까 말씀드렸던 <막걸리 식초>입니다.
이것도 역시 간단합니다.
그냥 병에 넣어 공기 통하게 막아두면 되는~ 가장 쉬운 제조공법의 식초지요.
입구를 공기가 통하게 거름망으로 막아서 부엌에 두었습니다.



며칠 지나자 앙금이 가라앉더군요.


2달 정도 지나서 위에 맑은 부분을 먼저 병에 따라 부어놨습니다.


그리고 남은 막걸리를 다시 채워서 발효를 시켰어요.

그렇게 2달씩 4달동안 2번에 걸쳐 막걸리식초를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같은 날 막걸리식초와 감식초를 다 완성했습니다.


뿌듯하지요.
'걸리식초'가 뭐냐고요? 바로 '막걸리식초'입니다.
막걸리식초라고 쓰면 사람들이 와서 보고 자꾸 물어볼까봐 저렇게 쓴 겁니다. ^^
그러면 물어보려고했다가도 무식하다고 할까봐 못 물어볼 거 같아서요~
발사믹식초 같은 이상한 이름의 식초도 있잖아요~

확실히 막걸리식초는 향이 연합니다. 술냄새도 조금 나고요.
감식초는 그에 비하면 훨씬 향이 강합니다.

감식초는 음식에 넣어먹기엔 좀 아까워서 물과 꿀을 타서 음료로 먹어보려고 하고요
막걸리식초는 요리에 넣어 사용하려고 합니다.
아직은 아까워서 구경만 하는 것으로도 배가 부릅니다.^^
봄되고 여름이 되면 식초가 들어가는 요리를 많이 하게 되니 사용하게 되겠지요.

생각보다 쉽지요?
직접 만드는 식초, 한번 시도해보세요.



그리고, 많은 분들이 이름이 왜 '매발톱'이냐, 무섭다는 분들이 계셔서
이름의 뜻을 설명드립니다.
저 꽃은 제가 가장 좋아하는 '하늘매발톱'입니다.
우리집 화단에서 3년째 피는 꽃이죠.
제게 야생화를 처음 가르쳐준 꽃으로 제가 파종해서 3년째 우리 화단에서 꽃을 보고 있는 꽃입니다.
올 봄에도 벌써 피고 있어요~ ^^
왜 이름이 매발톱인지 저 꽃의 꽃받침을 보세요. 매가 발톱을 웅크린 것 같지 않으세요?
매발톱(올빼미) (manwha21)

화초, 주말농장 14년차입니다. 블러그는 "올빼미화원"이고. 저서에는 '도시농부올빼미의 텃밭가이드 1.2.3권'.전자책이 있습니다. kbs 1라디오..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천하
    '06.3.25 8:04 AM

    한수 배웠습니다.

  • 2. 콩깍지
    '06.3.25 8:21 AM

    저도 11월 초에 감식초를 담았는데 걸러야겠네요..
    기대되는걸요

  • 3. 달개비
    '06.3.25 8:33 AM

    우선 걸리식초부터 도전해봐야 하나~~고민 들어갑니다.
    감식초는 가을이나 되어야겠고...
    정말 뿌듯하시겠어요.
    진짜 어렵지 않은거죠? *^^*

  • 4. 봉나라
    '06.3.25 8:57 AM

    정말 82쿡에서 많이 배웁니다. 올가을에는 감식초 꼭 만들어봐야겠어요.
    근데 정말 몰라서 그러는데 감을 씻어서 어디에 담는 건가요? 물은 아닐테고 일반 식초인가요?
    부끄러붜라. 꼭 얘기해주셔여.

  • 5. 스누피
    '06.3.25 10:30 AM

    저도 감식초 3달째 발효중입니다.
    감식초가 몸에 그리 좋다네요.

  • 6. 화니맘
    '06.3.25 10:52 AM

    감식초에 식초는 붓지않고 감으로만 하는 것인가봐요?
    좋은정보 얻고 갑니다..^^

  • 7. 방콕여사
    '06.3.25 12:05 PM

    저도 막걸리 식초도전하고 싶은데요
    아무것도 넣치않나요.

  • 8. 야생화
    '06.3.25 12:20 PM

    막걸리 식초부터 시작해봐야 되겠습니다
    정보 고맙습니다

  • 9. 봉나라
    '06.3.25 1:30 PM

    요거 퍼갑니다. 괜찮죠?

  • 10. 강물처럼
    '06.3.25 2:35 PM

    우와~~ 박수를 보냅니다.
    저도 지금 막걸리 식초 담아논지 며칠됐는데 이제 병에 층이 생겼어요.
    사진 찍어서 올릴께요..

    그리고 올가을엔 감식초 꼬~~옥 도전해 볼랍니다.

    82는 정말 너무 좋은곳이에요...

    폐인 된거 같아요~~ㅠ.ㅠ

  • 11. 재영맘
    '06.3.25 3:17 PM

    저두 이번 참에 막걸리 식초부터 만들어 봐야 겠어요.
    퍼 갑니다...괜찮겠지요?

  • 12. 포미
    '06.3.25 3:44 PM

    봉나라님,,씻으면 안되고 깨끗이 닦아서 넣어야 하는걸로 아는데요.

  • 13. 칼라
    '06.3.25 6:04 PM

    좋은걸 배웠습니다. 떡하고 남운 막걸리 먹기도 뭣해 버리곤했는데....
    요긴하게 쓰이네요,
    감식초는 만드는과정이 상세해만들어 보고푼마음이 절로절로 생깁니다.
    가을에만들어 봐야겠어요,

  • 14. 매발톱
    '06.3.25 6:10 PM

    감은 깨끗이 씻어서 꼭지채 그냥 넣으세요.
    씻어서 저는 물기가 싹 마르도록 채반에 한참 놔뒀습니다.
    그런다음 차곡차곡 넣으세요.

    그리고 식초나 이런 것 전혀 넣지 않습니다.
    다 원재료만 사용해서 식초로 만드는 거에요.^^
    그러니 너무 쉽죠.
    퍼가셔도 돼요. 출처만 밝혀주심~ ^^

  • 15. 매발톱
    '06.3.25 6:19 PM

    가을에 못난 감, 좀 상한 감으로 감식초를 만드세요.
    땡감, 단감 다 괜찮습니다.
    감 쌀 때 왕창 만들어두면 좋지요~^^

    저는 작년 가을에 못난 맛없는 감으로 집에서 곶감(반시)도 만들었습니다.
    곶감(반시) 만들고 남은 감으로 감식초를 만든 것이죠.
    집에서 곶감 만들기 과정이 여기 올려져있으니 제 이름으로 찾아보세요.

  • 16. 안나푸르나
    '06.3.25 10:52 PM

    천연식초를 이렇게 간단히 할 수 있다니.....좋은정보 고마워요!

  • 17. 매발톱
    '06.10.28 2:41 AM

    작년에 만든 감식초..요즘 너무 잘 먹고 있습니다.
    식초 들어가는 음식은 이걸로 다 합니다.
    장아찌같은 걸로 많이 들어갈 때만 시판 식초 사용하고요.
    맛도 좋고 향도 진하고요.^^
    오래 둘수록 더 향이 진해지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7360 집에서 외식했어요~ 1 요리치 2006.03.25 4,912 20
17359 새우 두부 야채전~ ^^ 2 싸랏 2006.03.25 3,358 3
17358 럭셔리 요리 2.(황새치 카파치오와 과일소스) 3 김해영 2006.03.25 3,791 3
17357 크림 치즈 과일 토르테~~~ 2 알콩달콩 2006.03.25 2,856 1
17356 어느 요리사와이프의 생일상 1 정장욱 2006.03.25 6,090 3
17355 감식초와 막걸리식초를 만들었습니다. 17 매발톱 2006.03.25 9,926 130
17354 달래야~놀자~오이달래무침 6 노처녀식탁 2006.03.25 3,307 3
17353 캘리포니아 롤 5 inblue 2006.03.24 4,638 5
17352 홈메이드 요구르트로 만든 스콘 5 뿌요 2006.03.24 3,861 23
17351 럭셔리 요리 1.(링귀니 파스타) 2 김해영 2006.03.24 3,440 6
17350 제 저녁꺼리 그리고 제가 키우는(?)애들 5 cherry22 2006.03.24 4,057 2
17349 ♣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버섯탕수, 양념구이, 초고추장무침 2 미니미니 2006.03.24 4,701 9
17348 삼각산 산행점심<회덮밥>~우리만 먹어 미안해요^^ㅎㅎ.. 5 안나돌리 2006.03.24 4,257 29
17347 넘 예쁜 주먹밥! 4 dlwh 2006.03.24 6,639 10
17346 3가지 요리로 하는 런천 파티 4 니미츠 댁 2006.03.24 5,724 25
17345 정신이 번쩍!!! <레몬 커드 머랭 케이크> 7 오렌지피코 2006.03.24 6,150 49
17344 녹차 티백의 3가지 변신 4 은미숙 2006.03.24 4,991 5
17343 해장도 되고~ 아이들도 같이 먹는 북어국 >.< 3 싸랏 2006.03.24 4,309 13
17342 옥수수의 반란-팝콘 만들기 13 불량주부 2006.03.24 4,055 11
17341 오이소박이를 담으며.. 12 칼라 2006.03.24 4,948 4
17340 선선한 날엔 개운하고 시원한 배추된장국이 딱인것 같아요 7 우노리 2006.03.24 4,204 17
17339 캘리포냐(?) 삼각김밥 14 현석마미 2006.03.24 8,307 29
17338 간단한 칵테일 2탄(쿠바 리버) 5 자연이네 2006.03.24 2,176 12
17337 고소 고소 고소미 6 진&임사랑 2006.03.24 3,286 34
17336 코코넛수플레치즈케잌^^ 2 꿈이상^^ 2006.03.23 2,641 19
17335 all or nothing ??? 10 매드포디쉬 2006.03.23 4,095 8
17334 내가 해먹는 날콩가루 김치국 3 강물처럼 2006.03.23 5,457 111
17333 드디어 막걸리 식초에 도전해 보아요~~ 7 강물처럼 2006.03.23 3,227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