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댁부터 도움 받던 , 어찌 보면 친정보다 나은 키톡인데 예전 같지 않아 속상해요 .
우리 다시 살려보아요 .
시작합니다 .
시래기를 삶아 껍질을 벗겨내고 있는데 , 아들들이 배 깔고 누워 책을 보다가 말 한다 .
‘ 시래기 삶은 냄새가 구수하네요 .’
껍질 벗기느라 힘들었는데 , 냄새에 행복하다니 할 만 하네 .
나는 후각이 굉장히 예민한 편이다 . 같은 향수를 써도 개인의 체취에 따라 근사한 향으로 더 좋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고 , 그 향수가 맞나 , 할 정도로 이상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걸 미세하게 구분하는 정도 .
사랑하던 사람이 쓰던 향수를 헤어진 다음 날 뿌려보아도 , 내 체취로는 그 향이 나질 않으니 괴로웠던 기억이 있다 .
그래서 향기에 대한 추억도 많은 편이다 .
사람의 귀 뒤부터 목덜미까지는 아주 강하게 체취가 느껴지는데 , 그래서 아기들이 어렸을 때 목덜미에 코를 대고 한참 안고 있기도 했다 . 그 어떤 향보다 마음의 안정을 주었다 .
어린 시절에 단독주택에 살았는데 , 2 층 발코니에 서서 해가 뉘엿뉘엿 질 때 붉은 석양을 바라보면 , 동네 어딘가에서 그 풍경과 전혀 어울리지 않은 멸치젓 달이는 냄새가 나곤 했다 .
그 향이 너무나 이질적이고 , 고약해서 몸서리를 치곤했는데 시집가서 시어머니께 ‘ 달인 액젓 ’ 이라고 선물 받고서야 정체를 알게 되었다 . ( 음식에 넣으면 한 스푼으로도 감칠맛이 확 도는 마법의 액체 )
그 향의 정체를 몰랐을 때에도 식당가 골목이나 시장통에서 액젓 달이는 냄새가 나면 , 머리속은 따뜻한 석양이 지는 풍경이 떠오르며 맘이 편안해졌다 .
향이 주는 기억은 이런 것이다 .
몇 년 전 , 딥티크에서 ‘ 롬브르 단 로 ’ 라는 유니섹스 향수를 구입했는데 , 새벽에 이슬을 머금은 장미 꽃잎과 줄기 향 ,
이끼와 흙냄새가 강하게 난다 .
이걸 뿌리고 출근하는데 ,
둘째가 ‘ 엄마한테 냄새가 나요 .’
‘ 엄마한테 향기가 나지 , 냄새가 난다고 하면 어쩌니 ?’
‘ 엄마한테서 우엉 깎을 때 나는 냄새가 나요 ’
이 놈 , 절대후각이다 .
요즘 김밥 집에서는 시금치 대신 오이나 부추를 넣은 김밥을 파는데 , 우리 집 아들들은 꼭 김밥에는 시금치가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해서 소풍날엔 바빠도 김밥을 싸주게 된다 .
재료 준비할 때 , 우엉조림은 반드시 생 우엉을 사다가 껍질을 벗기고 잘게 채 썰어 , 들기름에 볶아서 떫은맛을 빼고 , 한 시간 이상 조리는데 ..
시판 우엉조림과는 비교도 안 되게 향이 좋기 때문에 이런 수고를 하게 된다 .
칼로 우엉 껍질을 쓱쓱 벗길 때 나는 향을 니치향수에서 조우하게 될 줄이야 .
그걸 둘째가 정확히 집어내서 출근 내내 웃었다 .
향기에 대한 기억은 굉장히 오래간다 . 후각이 살아있는 한 기억하게 될 것이다 .
오늘 삶은 시래기와 곤드레 나물의 향을 아이들이 기억하겠지 . 시간이 오래 흐른 후에 식당 골목을 지나다 이 향을 맡으면 , 엄마는 주방에서 나물을 삶고 다듬고 , 따뜻한 거실 카페트 위에서 배를 깔고 책을 보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면 좋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