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안어울리는 세가지 음식 - 부대찌개 연어데리야끼구이 카스테라

| 조회수 : 8,636 | 추천수 : 83
작성일 : 2010-01-20 16:59:42
요 며칠 해먹은 음식들인데, 한 상에 놓고 먹은 건 아니에요.
참 안어울리는 조합입니다..

부대찌개는 제가 결혼 초기, 해도해도 실패하는 메뉴였어요.
어느날은 빅마마 선생님이 요리 프로그램에서 말씀하신대로, 재료 준비하고 맹물에 약간의 청주를 탄 것으로 국물을 잡아서 했는데, 제가 해본 중에서 제일 맹숭맹숭한 부대찌개가 되었더랬지요.
여러번의 실패 끝에 드디어 정착한 방법은 제대로된 육수가 있을 때만 끓인다, 입니다.
저는 사골국물, 우족, 도가니탕 등등 소 뼈를 푹 고은 국물이 있어야만!! 부대찌개를 끓여요.
밑국물만 제대로 있으면 그 다음에는 별로 어려울 게 없어요.

재료는 김치, 양파, 대파, 햄, 떡, 스팸, 불린당면, 두부
양념장은 고추장 1, 다진마늘 2, 고춧가루 2 비율로 넣고, 여기에 국간장 생강가루 약간씩 넣어줘요.
(저희는 두식구 먹는 양으로 할 때는 밥숟가락 사용하면 딱 맞아요)

냄비에 재료를 가지런히 돌려 담고 - 바글바글 끓인 뒤에는 사실 왕창 뒤섞입니다. 대충 넣어도 결과는 똑같은데, 어쩐지 부대찌개는 가지런히 담아줘야 할 것 같아요.



육수 붓고 끓이다가 나중에 양념장 넣고 같이 끓이면 완성.



소세지는 콘킹 쓰고, 꼭 스팸을 사용해요.
런천미트가 닭고기로 만든거라 더 담백해서 좋아하지만, 부대찌개에는 스팸이 더 낫더라구요.

재료 더 추가하시려면 돼지고기가 쇠고기 갈아서 넣어줘도 좋고
치즈 한장 나중에 넣어도 좋지요.
콩 통조림이 꼭 들어가야 맛이 난다고들 하시는데, 저는 별 차이 모르겠더라구요.

이정도로 준비해서 끓이면 특별한 재료 필요한 것 없고, 어지간한 찌개 끓이는 것보다 품은 덜 들고 결과물은 훌륭해요.

사골국물부터 끓이려면 힘들지 않냐고 하신다면,,,
할 말 없지요.
전 그냥, 냉동실에 얼려 놓은 거 썼는데...



얼마전에는 코스트코에서 연어 한 팩 사서,
샐러드도 해먹고, 스테이크고 해먹어야지 했는데,
막상 해먹은 건.. 구워서 데리야끼 소스에 살짝 졸인 것 뿐이네요.





후라이팬에 앞뒤로 적당히 구워서 데리야끼 소스 살짝 뿌렸어요.
데리야끼 소스가 설탕이 들어간 거라, 워낙 잘 타길래,
연어 굽고 난 뒤에 불은 끄고 소스 투하.. 잠시 후에 불 약하게 해서 살짝 졸이는 척만 했네요.
서너번 해먹고, 혼자 점심에도 해먹고 그랬어요.
아, 지금도 먹고싶다.
이거 왜 이렇게 맛있는 거야, 그러면서 열심히 먹었는데,
남편은 이해못하겠다는 표정을 마구 날려주더군요. -- 그러니 맛있다는 말을 다 믿으시면 안되겠지요.

딱 한조각 굽는데 큰 후라이팬 꺼내기가 싫어서, 아주 작은 전골냄비를 후라이팬 삼아 구워먹었어요.
저만한 냄비, 신혼 때는 고등어조림도 하고 그랬는데, 요즘에는 작아서 못쓰고 있네요.
애들은 어려서 밥을 많이 먹는 것도 아닌데, 어쩐지 음식하는 양이 늘었어요.

데리야끼 소스는 하는 방법이 여기저기 나오는데
저는 간장1컵, 맛술1/2컵, 청주 1/2컵, 설탕 5큰술, 생강 손톱만한 것 편 썰어 넣고, 레몬 1/2개 넣으라는..데
레몬이 없어서 레몬차에서 레몬 몇조각 건지고 설탕 좀 줄여서 끓였어요.
양이 절반으로 줄도록 약불에서 졸이면 돼요.
데리야끼 소스 만들어서 애들, 닭고기나 소고기 구워서 살짝 졸여줘도 잘 먹어요.



얼마전 차이윈 님께서 추천해주신 카스테라 레시피 아주 좋아요.
(생각난 김에 다시 가서 추천 한방 눌러드리고 돌아옵니다)
저는 안해본 레시피가 없는 정도는 아니고, 그냥 대충 해서 대충 먹고 있었어요.
그런데 안해본 레시피가 없으시다는 분께서 "강력추천" 하신다길래
강력+통밀 절반씩 한번 해보고,
통밀로만 한번 해봤거든요.
모양이 제대로 잡히고 맛도 좋네요.
통밀로만 한 게 제 입에는 더 잘 맞아요.


그런데, 저는, 왜, 왜, 왜, 가운데가 확 터지는 걸까요.
두번 다 똑같이..
약간 시간이 긴 듯 해서 다음에는 시간을 좀 줄여볼 생각이에요.

나무틀만 있으면 저도 예쁘게 될 것 같은 이 기분...
(저는 파이렉스에 구웠어요.)

차이윈님, 레시피 정말 좋아요. 고맙습니다.
그런데... 그 글에 함께 있었던 사워크림 들어간 케익 레시피도 좀 공개해주시면.. 안될까요? (굽신굽신)
냉장고에 사워크림이 유통기한 간당간당 기다리고 있답니다.



정말 안어울리는 음식을 한 상에 올린 날이 있었는데,
그날은 고구마 길쭉하게 잘라서 튀김이랑, 또 고구마 튀기는 길에 맛탕도 하고,
그리고 주문한 굴이 택배로 왔길래 굴 튀김도 한 20개 하고
그리고 칠리새우도 같이 튀겨서 소스 버무려 먹었어요.
그날의 사진은 밥상이 흡사 난민촌 같아서, 차마 공개를 못합니다.
그런데 더 절망적이었던 것은, 그날 저희집의 5살 된 아들은 그 많은 메뉴를 다 두고 <라면>을 먹겠다고 강력히 주장하여...
컵라면 한개 물 부어줬더랬지요.
어제, 자게에서 아들 키우려면 말이 필요없고 차라리 발이 필요하다고들 하셨지요?
저도 곧 그런 날이 오겠구나 생각합니다.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사람
    '10.1.20 6:47 PM

    음식 힘들게 했는데 맛김,참치에 고추장비벼먹는 울아이들과 남편 생각나 웃고갑니다. 아들 키우려면 발이 필요하다는 말 남편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지요?~^^

  • 2. 소박한 밥상
    '10.1.20 8:59 PM

    문외한의 눈에는 가운데 터진 카스테라가 더 먹음직스러워 보여요 ????
    터진 모양새가 흉한가요 ??
    자연스럽지 않고 옮기다가 갈라진 것처럼 ........??

  • 3. 요맘
    '10.1.21 12:50 PM

    참, 사람님 말씀 듣고보니, 저희집에도 기껏 음식했는데 슬며시 도시락김 봉지 찢는 사람 있네요.
    남편한테도 발이 필요하겠는데요..??

    소박한 밥상님, 자연스럽게 갈라지기는 했지만,
    이제 저걸 뒤집어서 식히면 윗부분이 얌전하게 납작해지거든요.
    얌전한 카스테라 윗부분에 터진 자국..
    그걸 감추려면 터진 부분을 빼고 카스테라를 잘라야하는데, 손실이 너무 커요...
    그.러.나. 안터진 카스테라를 완성할 날이 오기는 할지...

  • 4. 스머펫
    '10.1.22 4:04 PM

    18.5%되시겠습니다. 20% 안 넘어야지요

  • 5. 날날마눌
    '10.1.23 10:04 PM

    저랑 같이 발쓰는 연습하실까요?...ㅋㅋ
    저도 그 글 읽고 엄청 웃었어요...

    부대찌게는 곰국류를 안끓여봐서 못하겠고^^; 맛있어 보이는데요..
    데리야끼소스 좋은데요...맛간장만들고 남은 레몬도 있고...레시피 잘쓸께요..

  • 6. 토마토샤벳
    '10.1.25 12:24 AM

    저도 자꾸 카스테라 위가 터져요.ㅠㅠ
    이유가 뭘까요~~ 궁금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1214 맛있게 먹어요~ 9 꿈꾸다 2010.01.25 6,204 73
31213 해물찜 만들기 8 명사십리 아짐 2010.01.25 11,754 83
31212 피자 구웠어요.(ㅎㅎㅎ) 33 현랑켄챠 2010.01.25 11,919 76
31211 계란빵 외 기타등등... 13 꿀아가 2010.01.25 7,248 97
31210 알리오 올리오(Aglio e Olio) 만들기 17 프로방스 2010.01.25 19,943 131
31209 슈가파우더 8 마르코 2010.01.25 5,681 67
31208 보리밥에 쌈채~ 5 금순이 2010.01.25 5,547 71
31207 파스타 한접시 5 인왕산 2010.01.24 7,388 76
31206 제가 좋아하는 쉽고도 맛있는 두가지 면 요리....^^ 34 보라돌이맘 2010.01.23 25,062 125
31205 묵밥 그리고 저녁 한끼.... 11 소금쟁이 2010.01.23 9,658 117
31204 버터님들 22 마르코 2010.01.23 9,793 80
31203 N**요구르트제조기를 이용한 청국장만들기 16 Blue 2010.01.22 34,192 120
31202 [다이어트]온니드라~ 준비되쒀어~~~~? 107 순덕이엄마 2010.01.22 26,966 2
31201 눈에 좋은 차 6 회색꿈 2010.01.22 5,970 91
31200 튀겨 보아요_ 16 꿀짱구 2010.01.22 6,526 60
31199 쿠키 만들었어요 49 푸우 2010.01.22 5,656 95
31198 오랫만에 준비한 닭도리탕...!!!탕탕 2 썽희맘 2010.01.22 6,439 54
31197 초보주부의 저녁메뉴와 어색한 사진들 20 미스유 2010.01.22 12,755 107
31196 추억의 길거리표 고구마튀김 9 에스더 2010.01.21 11,065 124
31195 성의없는 상차림들...그리고 "환희" 54 쪼매난이쁘니 2010.01.21 21,385 133
31194 해먹인것, 해먹은것, 사먹은것 15 두리몽실 2010.01.20 11,285 73
31193 안어울리는 세가지 음식 - 부대찌개 연어데리야끼구이 카스테라 6 요맘 2010.01.20 8,636 83
31192 귀차니즘 대마왕 엄마의 점심 메뉴~~ 팥죽!! 6 버블리 2010.01.20 8,805 56
31191 설 준비 빠른가요? 조기 절여 말리기 12 경빈마마 2010.01.20 18,937 57
31190 **** 겨울철 보양식 꽤~~~꽥이 주물럭을 집에서 준비해 보았.. 11 썽희맘 2010.01.20 5,441 89
31189 맨하탄 직딩아저씨의 커피이야기... - >')))>.. 46 부관훼리 2010.01.20 15,400 113
31188 귀차니즘을 위한 파스타 ^^ 8 드리미모닝 2010.01.20 7,923 81
31187 쪼매 늦은 새해 모임 ^^ 15 letitbe 2010.01.19 7,305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