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국산송이버섯과 북한산 송이버섯 구별법
어부현종 |
조회수 : 11,619 |
추천수 : 77
작성일 : 2008-09-07 16:57:47
지금예정으로 추석지나야 한물이되어 한물때 가격이 내려갔다가
송이가 적게나면 또 갑자기 가격이 폭등합니다
송이는 가격이 하루에 5만원-20만원넘게 오르내리기도 합니다
송이를 파는분들은 헐할때 송이를 많이사서 저장하여두고
송이가격을 안정적으로 헐하게 고정가격으로 팔지만
당일따온 송이는 경매가격이 오후 5시넘어서 나오는데
가격 오르내림 차이가 심합니다
추석선물로는 지금봐서는 가격이 엄청 높습니다
사진의것이 A급 B급이 섞인것 1kg에 35만원합니다
추석전에는 북한산송이가 헐해서 많이 유통됩니다
북한산A급이 오늘 조금전에 15-20만원하는걸 보고왔습니다
***************************************************
아래글은 2년전 송이버섯 질문 대답글인데 수정을 조금했습니다
루이 (st_paul, 2006-09-22 17:34:32)
아직은 몇년전에 비하면 가격은 괜찮은것 같던데요..
정말 궁금해서 질문좀 드리고싶어요... 진짜 궁금했던것 들입니다.
1. 예전엔 양양송이 양양송이 했는데 왜 요즘은 봉화송이 봉화송이 하나요
저만 그렇게 느끼나요? 그냥 홍보발인가요?
아니면 양양에 산불땜에 양이 적어져서 그러나요?
@대답입니다
대게하면 저가있는 울진에서 잡는량이 전국의 절반을 생산합니다
하지만 많은분들이 영덕대게라고 말해야 알아듣고 좋은줄압니다
봉화도 도로망이 좋아져서 서울과 교통이 1일 생활권에 들어서 더 유명세를 더하리라 봅니다
그리고 봉화지역에서 채취된 품질좋은송이는 아주좋습니다
유명세타면 가격이 높고 소모량이 모자라면 타지역에서 구입하여 가져가서
특정지역에서 팔면 그곳 이름의[브렌드]송이가 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사람들은 누가 좋다고하면
군중심리인지 너도나도 와와하고 나빠도 좋다고 여깁니다
2. 송이는 높은산에서 나는 것이 좋은가요.. 아님 고성같이 동네 뒷산?같은곳도도 향은 같나요?
심산유곡것이 좋은가요?
@대답입니다
저가 전문가가 아니기에 송이따는분의 조언을 조금들었습니다
높고 깊은산에나는 송이는 채취하기가 힘드는데
송이가 거칠고 조금 험하답니다[울진기준][보면 매말라보여 알수있습니다]
향은 비슷하다고 하는데 채취하는곳의 토질과 환경에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산에서 채취했으면 향이찐하고
송이를따서 몇일 날짜가 가면 갈수록 향이적어지고 수분이 증발해서 조금 건조해 보입니다
심산유곡이나 야산이나 높은산이나 향은 거의 비슷하다고합니다
송이는 야산송이가있고 높은산 송이가 있으며
중간지역에 소나무 나이 20살정도 젊은산에것이 좋다고합니다
토질은 마사토에 나는것중에 최고품인 일본말 아사도리가 올라옵니다
3. 향은 어디것이 좋다고 보편적인 이야긴 없나요?
@대답입니다
어디송이 어디송이하는데 사실 그지역 어디엔가 좋은품질의 송이가 있습니다만
모두가 좋은것이 아닙니다 [자기가 살고있는 지역것이 좋다고 보편적으로 말함]
울진송이는 많이 나는데 일본으로 수출을 많이했지요 국내 내수가 적으니 알려지지않았는데
해풍을 맞아서 향이많다고 합니다
양양송이가 이름날릴때는 아마 해풍맞은 송이여서 그랬을것같습니다[산불피해 많습니다]
봉화송이도 진품은 향이좋다고 합니다
4. 요즘은 중국산, 북한산이 너무 많다 합니다.. 갈변 된것은 무조건 나쁘다 할수 있겠는지요?
뭘로 구별하나요? 그냥 믿고 받는수 밖에 없나요?
@대답입니다
중국산은 검고 가늘고 뿌리에 흙이 떨어져서 적습니다
여기서 일본 수출하는 아사도리도 흙을 많이제거하여 보냅니다
북한산은 백두산것은 크기가 엄청크고 전문가들은 모양과 색을보고 압니다
우리들은 보기에 먹음직 스럽다하지요
물론 작은것도있지만 수입유통날짜가 몇일걸리니 향이 적어집니다
[지난해보니 북한산송이가 저가봐도 식별이 어려웠습니다]
송이를 저온냉장하여 가져오는데 냉장하면 향이 줄어듭니다
송이 파는분들의 양심에 맏겨야합니다[착한마음은 돈을 많이 못남깁니다]
오늘 어판장에가서 사진을찍는데 고기배가 안터진것을 가지고 터진부위옆에 덮어놓으니
모르고 경매로 샀는사람이 뱃사람이 이렇게 속인다고
관광객들이 구경하시는데 고기를 들어서 보이더군요
5. 송이도 말리면 향이 더 짙어지나요?
@대답입니다
송이는 말리면 향이적어집니다
요리때도 향이 날아가지않게 뚜껑을덮고 하시면 좋습니다
6. 송이는 무거운것보단 가볍고, 갓이 안퍼지고 크고 하얀색이 좋은가요, 아님 어부 현종님 말씀대로
하얀것들은 키워서 좀 덜한 맛을 내나요, 오히려 자연그대로 색이 진하고 윤이 있고 크기가 좀 적
은 것이 더 좋은가요? ( 이부분은 좀 이해가 잘안가서요.. 색이 진하고 윤이있다라는 얘긴 시간이
좀 경과해서 갈변이 생기는 것 같이 느껴져서요..그냥 송이산주가 불명확해서 미리 따서 적을수도
있을것 같구요..)
@대답입니다
송이는 단단한것이 좋습니다
희고 굵은것은 상품성은 좋으나 향은 햇볕봐서 갈색난것이 더 납니다
색상은 아마도 햇빛을 많이본것이 조금더 났다고봅니다[송이 채취장소 현품따라 틀릴수있음]
산에서 금방따도 윤기가 있는것이있고 없는것이 있습니다
크기는 상업적으로는 큰것이 좋지만 실속형으로는 중간크기가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송이는 a급b급c급 등외로 분류합니다
급수 분류하는 규격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먹는것은 c급 갓이 퍼진것이 향이 더 나고 맛이좋습니다[사람따라 취향따라 틀릴수있음]
굵고 흰것은 시각적으로 선물용으로 좋습니다
이글을 읽는분중에 송이장사 하시는분 채취하시는 전문가님들이 많을겁니다
이글을 보시면 너가 뭘 알어 하며 웃을겁니다
그렇지만 모든먹꺼리의 비밀은 재배하거나 거두는 본인밖에 모릅니다
송이버섯도 요즘은 인위적으로 크기를 키우고 관리를하여 다량으로 수확하는방법이 있습니다
질과 향은 모르겠습니다
북한산과 남한산 송이를 구별하는데는
남한산은 겉에 수분이 많고 윤이나며 찢어보면 길게 잘 찢어지고
북한산 송이를 보면은
짙은갈색 검은빛이좀나며 송이가 습기가 말라서 건조해보이고
똑똑 뿌러지듯이 딱딱 끊어지듯이 찢어집니다
바쁘신줄 알면서 너무 궁금해서 적어 보았습니다.
궁금한거 아무나 아시는 분 있으면 알게 해주세요.. 알고 싶어요
위에사진이 오늘따온 송이버섯
아래사진은 어제 들어온 북한산송이
- [줌인줌아웃] 어부가 사는마을 8 2022-12-29
- [줌인줌아웃] 영원한 친구야 3 2022-04-08
- [줌인줌아웃] 출석용 사진입니다 3 2021-08-10
- [줌인줌아웃] 천년을 변치않으리 3 2020-10-1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윤주
'08.9.7 8:40 PM반갑습니다~^^
2. 산.들.바람
'08.9.8 11:18 AM정말 귀한 말씀 이네요!!
잘 명심하여 두었다가 활용하도록 하겠습니다....^^
바다 빛갈이 많이 투명하여 졌지요?3. 마리아
'08.9.8 11:19 AM감사합니다
4. 자연과나
'08.9.8 12:49 PM잘 기억해 둘게요. 감사합니다. ^^
5. 단비
'08.9.8 12:56 PM전 여직 북한산먼 먹어온듯해요
6. 발상의 전환
'08.9.8 11:28 PM예전에 어떤 농산물에 "북한산" 이라고 적어놓고 그 옆에 (통일되면 국산)이라고 되어 있어서 한참 웃었어요.
어부현종님은 바다를 넘어 산까지~ㅋㅋ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