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생협과 한살림중 추천 부탁드려요!
애기 없고 신랑이랑 둘이사는데요, 빠듯한 살림이라 생협 가입 몇번이나 고려하다 말곤 했습니다.
이번에 일련의 사태를 보면서 도저히 안되겠다 싶어
병원비 아끼는셈 치고 생협에 가입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생협과 한살림 중 저같은 두식구 살림에는 어디가 나을런지요?
가입비, 출자비, 배송비.. 너무 복잡해서,
82쿡에 물어보고 알려주시는데로 콱 가입해야지! 하고 왔습니다...
1. 두레생협은
'08.5.13 2:13 AM (125.142.xxx.106)회원가입비 30,000원, 각주 첫 구매시 출자금 1,000원이구요. 가입비도 출자금으로 전환되서 회원탈퇴시 돌려준데요. 전 두레생협 매장이 가까와서 다른 데는 사용 안해봤어요.
2. 한살림은
'08.5.13 6:08 AM (59.10.xxx.40)처음 가입할때 상담을 해요. 요즈음은 홈페이지에서도 하는 방법이 있구요. 출자금,가입비그런건 다 생협이랑 비슷하네요. 근데 전 생협은 안해봤지만 쌀은 한살림이 제일 싼거같던데...
3. '뭘사다먹지'
'08.5.13 8:03 AM (121.131.xxx.64)뭘 사다먹지?에 올라온 적이 있어요.
그 글 링크 걸어 옮겨봅니다.
http://www.82cook.com/zb41/zboard.php?id=food&page=4&sn1=&divpage=1&sn=off&ss...4. 오늘도맑음
'08.5.13 8:27 AM (116.121.xxx.62)필요한 물품만 주문하고 마트가서 충동구매 안하면 그 비용 비슷비슷할거예요^^;
전 한살림 이용합니다
한살림의 생산자는 한살림에만 생산품의 대부분을 공급해요(공산품 제외)
그만큼 수요와 공급이 안정적이라 이윤이 크게 남지 않는대신 가격이 일정한 편이에요
다른 곳에 비해 비싼 품목도 있지만 그게 제 값이려니 합니다
생협에 비해 좀 덜 상업적이죠
그래서 품목도 좀 더 적은 편이죠
개인적으론 한살림 추천 드리고 싶은데 그 지역에서 이용하기 편한 곳이 정답 아닐까요^^5. 윗님.
'08.5.13 8:30 AM (124.49.xxx.5)생협이 상업적인가요? ... 저도 생협 이용중인데 왜 그렇게 판단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품목이 적은건 한살림이 한국생협연대보다 더 작은 단체이기 때문아닌가요?
그리구 저는 한살림이랑 생협을 놓구 고민할때
한살림은 4만원이상 주문, 생협은 15,000원 이상 주문때문에 결정적으로 생협을 선택했습니다. 원글님 참고하시라구요.6. ...
'08.5.13 8:34 AM (203.229.xxx.91)예전에도 비슷한 질문이 올라와서..
무조건 집가까운곳에 매장이있는 곳으로 하세요
주문해도 가끔 매장 갈일이 있거든요 (공급일,주문마감일이 정해져 있어요)
한살림은 우리 생산자의 생산물만 취급하는 걸 원칙으로 하기때문에
'설탕'같은건 없어요.
다른 생협은 공정거래무역,해외유기농업 생산물이면 설탕,커피등도 취급하더군요.
전 한살림 조합원인데 설탕은 이웃 생협가입자에게 부탁해서 먹어요
한살림은 조합원 활동이 활발한 편이라
생산지방문이나 단오,대보름등 큰 행사에 참여할 기회가 많아요
물품도착하고 방문했던 생산자의 편지라도 들어있으면 굉장히 반갑죠
생산자,소비자 직거래 협동조합 형태라 가능한것 같아요7. .
'08.5.13 10:05 AM (122.32.xxx.149)식구가 적으면 한살림이 나을거예요.
한살림은 입회할때 출자비 한번만 내면 되는데 생협은 매달 월회비를 내야 하니까요.
저희는 두식구고 아파트 단지 바로 앞에 한살림 매장도 있어서 한살림 이용해요.
한살림에 없는건 집앞 재래시장을 이용하기도 하구요.
한살림에 있는것도 고기는 동네 정육점에서 사다먹을때가 많았는데 미국소 들어오면 고기도 한살림에서 먹어야 할까봐요. ㅠㅠ8. 차이점
'08.5.13 10:05 AM (116.122.xxx.102)한살림은 주 1회 배송되구요..생협은 주 3회입니다...
물건값은 생협이 조합비를 내서인지(지역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제 경우 매달 22000원)훨씬 저렴합니다..
가끔 한살림에 있고 생협에 없는 물건 사려고 한살림 들렀다가도 슬그머니 장바구니 비우기를 합니다..
왜냐면 한살림서 4만원 채우려면 같은 물건이라도 생협서는 훨~~씬 저렴해서(1~2천원 차이가 아님) 본전 생각나서 그냥 참고 있다가 나중에 근처 한살림 매장에서 사곤 하거든요..
물건 종류도 생협이 더 많은편이구요..
근데 품절이 자주 되는지라 생협에서는 일주일쯤 여유두구 주문해야 원하는걸 살수 있구요..
매달 내는 조합비와 출자금(매회 주문시 1천원 출금..출자금이 20만원이 되면 더 이상 출자하지 않고요...이 출자금은 나중에 탈퇴시 돌려받습니다.)의 부담감이 좀 있지만 자주 주문하신다면 여기가 훨씬 저렴한곳이지요..
아직 이런곳은 첨 이용해보시는거 같으니 생협서 일반가로 몇번 주문해보시거나 한살림서 몇번 해보신후 댁에 맞는 곳으로 선택하세요^^9. 전
'08.5.13 10:11 AM (125.177.xxx.139)한살림 이용하다가 지금은 생협 일반가로 이용하고 있어요..
한살림이 좋긴 한데..한번에 4만원 이상 사기가 힘들어요...
또 취급하는 품목이 적어서 꼭 마트를 또 가야하고요..
저도 생협은 월회비(월2만원정도) 내는 것만 있다고 알고 있다가..
일반회원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생협 일반회원가랑 한살림 가격이랑 별 차이 안나요..더 싼것도 있고요..
한살림도 같이 이용할려고 탈퇴는 안했는데..
계속 생협만 이용하게 되네요...10. 저는
'08.5.13 11:23 AM (211.202.xxx.150)한살림 이용하고 있어요. 쌀과 고기를 여기서 사다보니 전 매번 장볼 때마다 5만원이 훌쩍 넘던데요? ^^;;
생협은 종류가 많아서 뭐라 말씀 못드리겠어요.
근데 우리 동네 생협은 Y생협이라 해서
계속 모임에 참석할 것과 활동을 강요해서 은근 부담이 되더라구요.
그래서 전 생협은 그냥 일반생협가게(일반가라서 한살림 가격보단 좀 많이 비싸던데요? 동네별로 차이가 있나봐요?)에서 한살림 품절 품목같은 걸 사요.
한살림은 다 좋은데 오로지 제철음식,우리 음식만 고집해서 철이 아니면 못구하는 게 많아요.
그게 불만이예요.11. 저는
'08.5.13 11:30 AM (124.49.xxx.237)생협(한국생협연대) 이용한지 1년 되는데요... 아주 만족합니다...
마트에서 파는 먹거리 같은 것(참치캔이나 연어.. 커피... 설탕...등등)도 구입할수 있어서
이제 마트는 거의 안갑니다... 세재나 휴지 같은 것도 삽니다...
유기농 과일 저렴하게 실컷 먹고요... (전에 유기농 매장에서는 비싸서 많이 못샀거든요)
전에 한살림도 고민 했었는데... 공급 받기가 어려워서 생협 결정했고
불만 사항이 없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아주 만족합니다...12. 생협
'08.5.13 11:32 AM (125.178.xxx.15)이라고 다 같은 생협이 아니예요
운영을 개인이 하는 이익을 추구하는 곳도 있어요13. 유기농권장
'08.5.13 12:23 PM (121.134.xxx.52)그냥 올가가 근처에 있다면 올가 가세요. 아님 편한데로 결정사심 될듯, 둘다 비슷비슷 하드라구요. 다만 식자재 이외의 2차 가공품에 대해서 올가의 제품구성력이 훨씬 나은 듯 싶어요. 그래인데 직접 가셔서 구입하는 곳을 이용하세요.
인터넷으로 구입하기엔 아직 부족한 점들이 많은 것 같아요. 우리애한테 사용하려고 친환경(유기농)로션, 비누를 선택해 전화로 상담했는데 화학적이고 인위적인 것도 함유가 되어있음에도 친환경제품이라고 말씀주시드라구요.14. i-coop
'08.5.13 12:23 PM (125.142.xxx.219)한국생협연합회 검색하시구요.
장보기에서 보이는 가격은 비조합원가격이니 20~30% 적게 계산해보세요.
자꾸만...한살림은 우리농업을 더 위하기때문에 물품가격이 비싸다는 말씀들 하시는데...
사실은 매장운영의 재고발생 비용과 이윤까지 그 안에 포함된거 아닌가요?
저도 한살림 회원이고 후에 생협을 알게되어 이용해온 사람입니다.
생협단체도 농업 살리자고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는걸 잘 알면서
서로 깍아내리는건 좀 그렇네요.
식비가 20만원이하 쓰신다면 한살림 이용하시고 월 조합비 없는게 이득이시구요,
그게 넘는다면 월조합비 내더라도 생협이 낫습니다.
원글님께서 빠듯한 살림이라 고민하셨다는 말씀에 근거하여 가격부분은 확실히 알려드려야겠네요.분명...!! 생협가격이 더 메리트있습니다.
한살림 장보기 살피시면 나와있는 가격이 회원가입니다.
꼭 비교하세요.
보다 저렴하게 친환경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게되면 소시민들로까지
우리 농산물 사랑이 퍼져나가게 될것이고 그것이 결국 농업기반이나 농민을 살게하는 큰 힘이
된다는 것이 생협의 지향하는 바입니다.
비싸서 일부만이 먹을 수 있는 친환경 물품은...결과적으로 농민에게 큰 힘이 되지 못합니다.
생산지에서도 잘 알고 계십니다.15. 이루자
'08.5.13 12:50 PM (211.59.xxx.121)제가 올렸던 댓글입니다.다시 퍼왔습니다.
-----------------------------------------------------------------------------------
보통 한살림과 생협을 비교를 많이 하시는데,
생협의 기본운영원칙은 같으나, 단체에 따라 농업, 건강, 환경, 여성, 종교, 노동, 의료 및 복지, 평화문제 등 보다 중요하게 강조하는 가치는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한살림은 생명이 살아있는 유기농산물 직거래 운동을 통해 식량자급, 농업과 생태계보전, 생산, 생활양식의 변화, 공동체적인 연대 등을 강조해왔습니다.
특히 생산자, 소비자, 실무자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조직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생산자 조직은 단순히 물품을 생산하는 것만이 아니라 유기농을 통해 마을 공동체를 복원하고 생태적인 농촌문화를 살리는 농업운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한살림의 운영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점이 다른 조직과 다른 특색이라고 알고있습니다.
다른 생협과 달리 가입이 까다로운(?) 이유는 새로 가입하는 조합원들도 한살림 물품을 소비하는 일이 농업을 살리고 세상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일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살림의 새로운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생각때문이라고 합니다. ^ ^
간혹 월 15만원 이상 유기농산물을 이용하는 분이라면 월회비를 납부하더라도 생협이용이 더 저렴하다는 비교의 글을 보는데,
한살림은 <생산자는 소비자의 건강을, 소비자는 생산자의 생활을 책임진다.> 는 슬로건과 같이 생산자의 생산비를 보장하는 차원에서 가격 결정을 합니다.
유기농업은 생산비(퇴비, 제초작업 등)가 많이 들고 병충해등으로 수확량이 감소하므로 일반농산물보다는 다소 가격이 비싼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자연재해와 같은 특별한 변동이 없으면 연중 거의 비슷한 가격으로 공급하므로 겨울이나 시장가격이 불안정한 때에는 오히려 한살림 채소가 시중가보다 싸기도하고, 조합원수가 많
기때문에 유통비용등을 줄일 수 있어 다른 유기농 단체보다는 가격이 저렴합니다.
가격 중 유통마진 20%는 한살림 직거래 운동에 필요한 유통비용과 다양한 조합원활동을 지원하는데 사용되고, 잉여금은 출자금 배당 또는 잉여금 배당으로 조합원에게 다시 환원됩니다.
유기농산물 직거래 운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식량자급,안전한 먹을거리 생산, 생태계보호, 생활양식의 변화 등을 실현하는 데 있으므로 현재 책정된 물품가격에는 이러한 사회적 비용까지 함께 포함되어 있다고 보시면 되지않을까 싶습니다.
전 평범한 주부이지만, 저도 궁금하던 점이어서 그동안 공부 좀 했기에 정보 공유합니다 ^ ^16. 이루자
'08.5.13 1:01 PM (211.59.xxx.121)하나 더 덧붙이자면
생협의 경우 국가에서 인증만 하면 자체적인 검사없이 물품을 공급받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극단적으로 얘기하면 한번만 인증을 통과하면 그 후엔 어떤식으로 생산을 하는지 검사가 되지 않는것이지요. 그리고 생협 자체적으로 생산지를 관리하지 않기때문에 전 솔직히 생협의 식품을 전부 신뢰하지 않습니다.
이와달리 한살림은 자체적으로 생산지를 관리를 합니다.
한번 기준을 통과했다고해서 끝나는게 아니라 지속적으로 검사를 하고
생산지들끼리 서로 일종의 감시(?)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단순히 내가족만 유기농을 먹으면 된다는 생각보다는
장기적으로 우리 농업을 살리고 농민을 보호하자는 한살림의 취지에 공감하는
좀 더 넓은 안목이 필요할때인거 같습니다.17. 이루자
'08.5.13 1:03 PM (211.59.xxx.121)위에 아이쿱님.
한살림은 비영리기업이기때문에 이윤이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유통비용을 제하고도 돈이 남으면 조합원들에게 잉여금 배당을 하는것이지 한살림이 이윤을 남기는것이 아닙니다. 한살림을 이용하셨다는 분이 이런것을 잘 모르셨다니 의외입니다.18. 초보주부
'08.5.13 1:15 PM (125.187.xxx.31)하루밤새 정말 많은 답글에 깜짝 놀랐습니다.. 감사합니다..
답글 주신거 참고해서 Icoop과 한살림 장보기 매장을 한번씩 방문해보고 결정하겠습니다.
(집근처에는 둘다 매장이 없어요 - 여기는 서대문구입니다)
아무래도 당장은 외벌이 살림이 빠듯해서 가격이 좀더 저렴한쪽으로 가게 될것 같습니다.
우선 조금씩 이용해보고 차차 더 확대하도록 하겠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19. 이루자님..
'08.5.13 3:16 PM (125.142.xxx.219)생협도 무작위 농약 잔류검사를 매주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비산에 따른 오염원 유입등의 문제에 완전 오픈으로 정보공개도 하고 즉각 처리도 하고있지요. 개별적 검사를 안하신다는 말씀 거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