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BACK TO BACH

| 조회수 : 1,944 | 추천수 : 48
작성일 : 2010-12-04 11:28:24

같은 영화를 영화관에서 두 번 세 번 보는 일은 일생에 거의 없는 일이었는데 딱 두 번의 예외가

바로 아마데우스와 바흐 이전의 침묵이네요. 그러고 보니 둘 다 음악과 음악가에 대한 이야기로군요.



지난 토요일 대화도서관에서 빌려와서 막 읽어나가기가 아까워서 조금씩 읽고 그 작곡가의 음악을 찾아서

듣고 있는 바로 이 책 클래식 시대를 듣다, 목요일에 읽은 작곡가가 바로 바흐였지요.

시대를 초월한 작곡가가 아니라 성 토마스 교회에서 봉직하느라 바쁘고, 작곡가의 지위가 그가 살던 시에서

마음대로 밖으로 나가기도 어려웠던 시대를 살았던 바흐를 잘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음악이 지금 우리에게 어떤 의미인가에 대해서도 생각할 수 있는 그런 글을 읽은 다음 날

아트 하우스 모모에서 바흐 이전의 침묵을 다시 보게 되었지요.



두 번째라도, 아니 두 번째여서 더 몰입했던 시간이 순식간에 흘렀습니다.

멘델스죤의 시종이 고깃간에서 싸온 종이에 있던 악보, 그것이 바로 마테 수난곡이었는데요

사후 50년간 잊혀졌던 바흐가 부활하는 순간이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런 일화는 다시 한 번 파블로 카잘스에

의해서 무반주 첼로 조곡이 알려지게 되는 것과 연결이 되기도 하지만 (영화에서는 이런 장면이 없어요,물론)

에피소드가 중요하기 보단 한 작곡가와 우리가 어떻게 만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기도 했습니다.



오늘 아침 일어나서 몸이 말끔해지고 나니 자연히 기돈 크레머가 로켄 하우스에서 녹음한 동영상

BACK TO BACH를 골라서 듣게 되었습니다. 그가 파르티타를 혼자서 녹음한 현장을 보면서 공연을 들었었지만

이상하게 다큐멘터리를 못 보고 이제까지 그대로 놓아둔 디브이디라서요.

다큐멘터리에는 보석같은 이야기들이 담겨 있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2차 대전에 관한 글을 읽느라

만났던 세 개의 지역,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 그 중에서 기돈 크레머가 바로 라트비아 출신이었네요.

라트비아라, 제겐 글자 속에서만 존재하는 지역이었는데 그가 그 곳에서 어린 시절 연주하는 모습이 동영상으로

나오니까 실감이 확 나면서 그 곳에서 어린 시절 음악과 만나고 소비에트 연방에서 공부하다가 (그의 스승이

바로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인데 한동안 그의 연주를 들었던 기억이 떠오르기도 했습니다.)

자신의 음악을 좀 더 자유롭게 교류하고 싶다는 마음으로 서방 세계로 왔다고 하더군요. 그 과정에서 인연을

맺은 로켄 하우스란 이름의 성 니콜라우스 교회, 그 곳에서 여름 페스티발을 열게 되었고, (그곳의 사제와의

깊은 인연으로 )  바흐의 파르티타도 녹음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에게 바흐는 어떤 존재인가, 인터뷰를

통해서 음악과의 인연에 대해 이야기하다보니 덩쿨에 달린 고구마를 캐듯이 딸려 나오는 에피소드들



기돈 크레머란 이름을 처음 기억하게 된 사건은 제겐 바이올린 플레이어란 제목의 영화를 통해서 였습니다.

지하철에서 연주하는 바이올린 주자의 음악을 그가 녹음했다고 하는 말을 통해서이지요.  그 때 바흐의

샤콘느 연주에 마음을 빼았겨서  그 영화의 OST를 구해서 한동안 자주 듣던 기억도 떠오르고요.

다큐멘터리를 다 보고 나서  파르티타를 틀어놓고  듣다보니 목요일, 금요일,토요일 이렇게 삼 일 연속

바흐와 더불어 살고 있는 시간을 물끄러미 바라보게 됩니다.

처음 바흐의 음악을 들었던 시기, 참 지루하구나, 그런데 왜 이 사람이 크게 평가받는 것일까, 이유를

모르겠네 하는 생각을 했던 시절도 떠오르기도 하고요.



마음속에 스며드는 소리,소리들, 스산한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마음속이 따뜻해지면서 뭔가 즐거운

토요일이 될 것 같은 좋은 예감이 드는 시간입니다.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변인주
    '10.12.4 3:42 PM

    좋은글 그림 잘 봅니다. 감사~
    오늘은 올려주신 그림들이 힘이 있네요. 작가가 누군지? 궁금합니다.

    바하는 들을때와 연주할 때의 느낌이 좀 다를 때가 있어요. (극히 개인적인)
    들을 때는 기도하는맘이 되어요. (바하가 없었더라면 신은 삼류 였을거라는..... 말에 동감합니다)
    신께 아주 가까이 갈 수 있는 도구가 되지요.

    그런데 연주 할 때는
    원초적인 본능의 맘이 들기도 합니다.
    인터넷에 올리기 어색한 단어의 맘이 들어요..... 그런맘이 가장 솔직한 맘일지도 모르지만........
    (왜 그런맘이 부끄러운 맘이 되어야하는지는 좀 생각해 볼 일이지만 ....
    그것은 아마도 교육때문에 생긴 족쇄?)

    여하튼 정 반대의 느낌으로 바하가 읽힙니다 저는.......

  • 2. 카루소
    '10.12.4 5:16 PM

    제1곡인 판타지아는 말그대로 환상적인 느낌이 드는 곡으로 나른함이 가득한 어느 일요일 오후처럼 여유롭다.
    I. Fantasia Angela Hewitt, Piano
    제2곡인 알레망드는 아름다운 선율의 흐름이 귀를 자극하는 매력적인 악장으로 호소력이 매우 높다.
    II. AllemandeAngela Hewitt, Piano
    제3곡인 쿠랑트는 억눌린 감정을 터뜨리듯이 에너지가 충만한 악장으로 다소 동적인 느낌이 든다.
    III. CouranteAngela Hewitt, Piano
    제4곡인 사라방드는 장식음을 사용한 선율의 전개가 감지되는 곡으로 다소간 평정을 지향하려는 뉘앙스를 전하고 있다.
    IV. SarabandeAngela Hewitt, Piano
    제5곡인 부를레스카는 말뜻과는 달리 오히려 진지함이 곡에 스며있는 악장으로 흥겨운 템포감이 인상적이다.
    V. BurlescaAngela Hewitt, Piano
    제6곡인 스케르초는 앞의 제5곡보다도 훨씬 활기찬 선율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된다. 진지함도 더 심화된 느낌이다.
    VI. ScherzoAngela Hewitt, Piano
    마지막곡인 지그는 앞의 두곡의 고조된 분위기를 반전시키는 역할을 하듯 다소 차분한 느낌을 전하는데 이점은 통상의 지그와는 약간 다른 느낌이 든다.
    VII. GigueAngela Hewitt, Piano

  • 3. intotheself
    '10.12.5 9:57 AM

    피오니님

    제가 좋아하는 프란츠 클라인의 작품이랍니다.

    그리고 바흐를 들을 때와 연주할 때를 구분하는 것을 보니 그렇다며 직접

    바흐 연주를 한다는 말인가 부러운 마음으로 생각하게 되네요.

  • 4. intotheself
    '10.12.5 11:06 AM

    카루소님

    일요일 아침의 귀한 선물로, 방안에서 바흐를 들으면서 하루를 시작하고 있답니다.

    감사, 감사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4253 그리운사람 올것같아 6 wrtour 2010.12.08 1,971 40
14252 ㅋㅋㅋ 허경경 새 앨범 대박이군요 2 지나간날 2010.12.08 1,618 67
14251 늦가을,,어느 한지공예가의 작품실에서,,, 5 나오미 2010.12.08 1,698 57
14250 10살 생일 맞은 시네큐브에서는 지금 intotheself 2010.12.07 1,690 50
14249 기다리는 마음 ~~~~~~~~~~~~~~~~ 1 도도/道導 2010.12.07 1,525 62
14248 푸른구름이고 있는 갓바위 팔공산 산행풍경 2010-12-5 3 더스틴 2010.12.06 1,942 65
14247 [아고라펌]이동통신사 마일리지 관련 이야기. 이런 날도둑놈들 워니 2010.12.06 1,460 71
14246 짚으로 엮어 메단 메주~ 1 방글 2010.12.06 1,986 54
14245 막걸리... 5 지리산노섬뜰 2010.12.06 1,804 69
14244 일년만에 올리는 꽃사진들 3 Merlot 2010.12.05 1,706 58
14243 혹시농촌 사시는 분 있나요? 농경지 리모델링.... 2 One_t 2010.12.04 1,747 66
14242 BACK TO BACH 4 intotheself 2010.12.04 1,944 48
14241 안상수 - 시 8 담비엄마 2010.12.04 2,176 41
14240 사진이 안올라가네요 1 보라도리 2010.12.03 1,334 86
14239 이 책-생각 버리기 연습 4 intotheself 2010.12.03 2,184 46
14238 intotheself님 겨울 여행에 끼고 싶어요~2탄~ 5 열무김치 2010.12.02 2,332 90
14237 나의 아들과 그의 아들~~ 8 안나돌리 2010.12.02 2,364 58
14236 희망 어부현종 2010.12.02 1,309 59
14235 겨울비... 6 카루소 2010.12.02 2,643 79
14234 라파엘로를 새롭게 느끼다 9 intotheself 2010.12.02 2,276 48
14233 긴 기다림 3 게으름이 2010.12.01 1,830 106
14232 201년도 마지막달인 12월 달력입니다. 6 안나돌리 2010.12.01 1,806 57
14231 단맛의 절정 ~~~~~~~~~~~~~~~~ 3 도도/道導 2010.12.01 1,843 111
14230 지하철 공연 1 Ann 2010.12.01 1,555 85
14229 수요일 모임의 after-심학산 오고 가는 길 4 intotheself 2010.12.01 2,551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