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수요일 모임의 after-심학산 오고 가는 길

| 조회수 : 2,551 | 추천수 : 56
작성일 : 2010-12-01 16:13:37


  
지난 주 오바바 연설문 암기가 끝나고, 맛있는 점심과 더불어 종강을 하고 나서  3주 연달아서 이런 저런 after를 하기로 했지요.

오늘은 산으로, 다음 주 수요일은 덕수궁 미술관으로 그 다음주에는 영화를 보면 어떨까 생각하고 있는 중인데요

중간에 개인적으로 여행일정이 있고 연말연시의 각자 할 일이나 모임도 있을 것이니 그런 번잡한 일이 다

끝나고 1월에 다시 수업을 시작하기로 해서요.

그렇게 해서 선택된 산이 심학산이었습니다. 알고보니 언젠가 고양 올레와 함께 가 본 곳이기도 했지만

길눈이 어두운 저는 동행한 대장금의 말을 듣고서야 아하 그렇구나 바로 이 곳이 그 곳인가 둘레둘레 쳐다보게

되더라고요.



이런 저런 사정으로 못 온 사람들을 뒤로 하고  6명이 모인 산행인데요. 운동을 가장 우선시해서 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늘 뒷전인 운동에 대해서 심각하게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기도 했지요.

그렇다면 내년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 월요일마다 정기적으로 북한산 타령만 할 것이 아니라

주변에 있는 산에 오는 것은 어떨까? 지금 당장은 그렇게 마음먹지만 내려가고 나면 언제 그런 생각을 했나

싶게 또 변할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래도 그렇게 생각을 자꾸 하는 일이 내겐 필요한 것이 아닐까요?




가지런히 놓인 나무를 보다가 그렇다, 인생에서도 이렇게 한 번에 건너기 어려운 곳에는 자잘한 징검다리가

필요하고, 그렇게 잘라서 무엇인가를 해나가거나 실천하다보면 삶의 무게가 한결 덜어질 것이 아닐까?

생각이 저절로 그렇게 번져서 카메라를 꺼내게 되더라고요.



앞서가는 일행을 뒤에서 찍으려고 하다가 그 뒷자리에 따라붙은 다른 사람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꼭 일행만 찍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 길에서 만나는 것도 다 인연인데 싶어서 찍고 나서 보니 노란 색이

뒤에서 받쳐주니 눈이 더 호사롭군요.



뒤에서 보는 심학산안의 절, 대불의 뒷모습에 눈길을 주면서 함께 걷던 사람과 여러가지 이야기를 주고 받았지요.

그녀는 최근에 암으로 고생하던 언니를 다른 세상으로 보낸 사람이어서인지 마지막 가는 길에 대한 것에

여러가지 생각을 하게 되었노라고요. 생과 사의 가운데를 통과하는 것은 우리들의 몫이지만 태어나고 죽는 것은

우리들 각자가 선택할 수 없다는 점에서 상당히 무겁기도 하고  무력하기도 한 것이 아닐까, 특히 죽음은

그렇다해도 나는 어떻게 마지막을 맞고 싶은가, 할 수 있다면 ? 그런 생각을 해보는 귀한 시간이 되기도 했지요.



수요일 모임의 요리교실을 통해서 제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 그녀, 앞에서 묵묵히 걷고 있는 모습을 찍으면서

생각했습니다.그녀는 과연 그녀가 내게 열어준 문의 놀라움과 소중함을 알고 있을까? 그리고 고마워하는 마음도



정상에 다 올라가서 커피를 마시면서 대화를 나누고 있는 두 사람의 모습이 보기 좋아서 한 장!!

왼쪽의 그녀는 마침 내년 1월에 예술의 전당앞으로 이사를 간다고요. 그렇다면 역사모임과 월요일 미술사 책

읽기 모임에 참석해보면 어떤가 권했더니 벌써 미술사 책은 신청해서 읽고 있다고 하네요. 예술의 전당앞에서

살다가 이 곳으로 이사왔고, 다시 사정이 생겨서 그 동네로 간다는 그녀는 예술의 전당에 책 한 권 들고 가서

그 곳을 동네 사랑방처럼 이용했던 오래된 기억을 끄집어내면서 그 곳에 오면 집으로 쉬러 오라고 미리

초대를 하기도 하고, 좋은 음악회는 함께 가고 싶기도 하고, 좋은 전시도 함께 가자고 권해서 내년 금요일의

새로움이 기대가 되네요.






점심을 먹으러 내려가는 길, 산길 옆에 센스있게 만들어놓은 앉을 자리가 눈에 확 들어왔습니다.

쉬어가는 자리, 봄이 오면 그 자리에 앉아서 이야기도 하고, 혼자라면 들고 간 소설책을 읽으면서 잠시

쉬기도 하면 좋을 자리처럼 보여서요.  인생의 메타포처럼 보이는 징검다리, 작은 공간 이런 것이 오늘

산행에서 눈에 확 들어오는 것을 보니 아마 그런 주제에 대한 생각을 하는 중이라서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맛있는 점심을 먹고 헤어져서 백병원에 내려달라고 부탁한 다음, 보람이의 초진기록부 떼느라 응급실에

가보니 내가 알던 상식, 응급실에는 진료가 없는 밤에만 환자들이 오는 곳이란 상식이 틀렸더라고요.

그 시간에도 얼마나 많은 응급환자들이 있던지요. 놀랐던 것은 요도인지 요로인지 결석환자가 왔는데

아파서 제대로 앉아 있지도 못하는 겁니다. 젊은 처자가 열이 너무 심해서 어른과 함께 와서는 얼굴도

못 펴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지난 주 화요일의 새벽 시간이 떠오르기도 하고요, 얼굴에 심한 상처가

생겨서 온 중년 남자는 아프다고,소리를 크게 내면서 사정을 설명하기도 하고, 말을 아직 못 하는 나이의

어린 아이를 안고 온 젊은 부부는 아이를 바라보면서 울상이 되어 있네요.



같은 공간,혹은 같은 지역에서 살아도 우리가 각자 보내는 시간은 얼마나 다른가, 그럴 때 타인의 고통을

이해하는 일이 어느 정도 가능한 것일까, 병원에서 번호가 불리길 기다리면서 있었던 약 한 시간. 들고간

소설을 읽다가 ,응급상황을 요하는 환자를 바라보다가, 머릿속이 복잡하더라고요.




집앞 성당의 화단에 아직도 성성한 색을 보여주는 이 꽃들이 너무 반가워서 집으로 들어가기 전에

한 차례 다시 멈추어서게 되었습니다.



봉헌초를 보면서 오늘 응급실에서 본 사람들을 생각하면서 사진을 찍게 되네요. 사진을 찍는 행위가 무엇을

해결해주지 못하더라도, 그 앞에서 그런 마음을 모아보는 것, 그 순간이 소중하게 느껴지기도 하고, 아무 일

없는 일상이 정말 고마운 것이라고 마음 깊이 느끼는 순간이기도 했습니다.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intotheself
    '10.12.1 4:14 PM

    sweetmommy님

    아래 글에 리플 달아놓았습니다. 혹시 못 보실까봐 여기에 이름 불러보는데요

    그리운 이름이네요. 오랫만에 소리내서 불러보는

  • 2. 들꽃
    '10.12.1 7:16 PM

    저는 병원에 가는 걸 참 힘들어해요.
    제가 많이 아팠던 기억이 떠올라서도 그러하고
    아픈 사람들 바라보면 제 마음이 너무 아파서 괴롭고

    세상에 태어나서 아픔없이 살다 가는 것도 큰 복이겠구나..
    하지만 누구에게 아픔의 고통이 찾아와도
    잠시 머물다 비켜가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런 생각들이 들어요.

    응급실에서의 다양한 모습들도 마음을 아프게 하죠.

    저도 작년에 응급실에서 밤을 샜는데
    밤이 그렇게 길 수가 없더군요.
    진통제 주사를 맞아도 아파서
    눕지도 앉지도 못하고
    의사샘께 안 아프게 좀 해달라고 부탁드리기를 몇 번...
    결국 며칠 있다 수술로 낫게 되어서 얼마나 다행이었는지 모릅니다.

    인투님 글을 읽으면서 저도 여러가지 생각이 드네요.
    입장 바꿔 생각해보는 것...그것은 배려와도 같겠죠.
    내가 남이 되어보지 않았다고
    남의 고통이나 아픔을 몰라준다면 참 슬픈일 일거에요.

    잘은 못하지만
    그렇게 하면서 살아야겠다고 마음에 항상 담아두고 있다면
    조금이라도 실천이 가능하겠죠~

    그러면 사람사는 세상이
    더 아름답겠죠~

  • 3. 열무김치
    '10.12.1 8:10 PM

    멋진 초겨울 산행을 하셨네요.
    저 같이 몸으로 부지런을 잘 못 떠는 사람들은(저 말고 또 많더라고요 ㅎㅎ) 바삭바삭 낙엽길을
    걸으며 운동을 더 열심히 해야지~~하고 결심하지만
    또 그 다음 산행을 준비하는데는 오래 걸리고 말죠..
    건강해야 병원하고도 멀리 떨어져서 사는데 말이죠.

    이제는 평지도 잠깐 걷기가 힘들어 지니, 더더더 나가서 시원하게 걷고만 싶네요.

    작은 국화 꽃에 눈이 오래 가네요. 요새 수를 놓고 있는데 한 번 놔 보고 싶네요 ^^

  • 4. wrtour
    '10.12.2 12:50 AM

    심학산 하니 생각납니다.
    일제시대 미곡증산사업 일환으로 김포와 일산에 뚝방이 생겼죠.
    이전에는 일대가 홍수 때면 잠겨 제대로 농사도 지을수없었고.
    지금 심학산 건너편 김포평야는 제방으로 막혀 한강물을 취수장으로 퍼올려 농사를 짖죠.
    당시 김포미,일산미 유명했죠.
    지금의 일산이야 예전엔 갈대밭 내지는 농지였으니 큰비만 오면 일대가 침수가 일반적이었고.
    심학산도 비가 오면 산 아랫도리가 물에 잠긴다해서 沈鶴山이라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4253 그리운사람 올것같아 6 wrtour 2010.12.08 1,971 40
14252 ㅋㅋㅋ 허경경 새 앨범 대박이군요 2 지나간날 2010.12.08 1,618 67
14251 늦가을,,어느 한지공예가의 작품실에서,,, 5 나오미 2010.12.08 1,698 57
14250 10살 생일 맞은 시네큐브에서는 지금 intotheself 2010.12.07 1,690 50
14249 기다리는 마음 ~~~~~~~~~~~~~~~~ 1 도도/道導 2010.12.07 1,525 62
14248 푸른구름이고 있는 갓바위 팔공산 산행풍경 2010-12-5 3 더스틴 2010.12.06 1,942 65
14247 [아고라펌]이동통신사 마일리지 관련 이야기. 이런 날도둑놈들 워니 2010.12.06 1,460 71
14246 짚으로 엮어 메단 메주~ 1 방글 2010.12.06 1,986 54
14245 막걸리... 5 지리산노섬뜰 2010.12.06 1,804 69
14244 일년만에 올리는 꽃사진들 3 Merlot 2010.12.05 1,706 58
14243 혹시농촌 사시는 분 있나요? 농경지 리모델링.... 2 One_t 2010.12.04 1,747 66
14242 BACK TO BACH 4 intotheself 2010.12.04 1,944 48
14241 안상수 - 시 8 담비엄마 2010.12.04 2,176 41
14240 사진이 안올라가네요 1 보라도리 2010.12.03 1,334 86
14239 이 책-생각 버리기 연습 4 intotheself 2010.12.03 2,184 46
14238 intotheself님 겨울 여행에 끼고 싶어요~2탄~ 5 열무김치 2010.12.02 2,332 90
14237 나의 아들과 그의 아들~~ 8 안나돌리 2010.12.02 2,364 58
14236 희망 어부현종 2010.12.02 1,309 59
14235 겨울비... 6 카루소 2010.12.02 2,643 79
14234 라파엘로를 새롭게 느끼다 9 intotheself 2010.12.02 2,276 48
14233 긴 기다림 3 게으름이 2010.12.01 1,830 106
14232 201년도 마지막달인 12월 달력입니다. 6 안나돌리 2010.12.01 1,807 57
14231 단맛의 절정 ~~~~~~~~~~~~~~~~ 3 도도/道導 2010.12.01 1,843 111
14230 지하철 공연 1 Ann 2010.12.01 1,555 85
14229 수요일 모임의 after-심학산 오고 가는 길 4 intotheself 2010.12.01 2,551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