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늦은 밤 ,마티스를 보게 된 사연

| 조회수 : 1,909 | 추천수 : 220
작성일 : 2009-11-19 03:02:34

최근,아들의 시험이 끝나고 학교에 등교하지 않게 되면서 생활의 변화가 많이 생겼습니다.

그 상황에 적응하는 것,그리고 제 개인적으로도 월요일에 새로 생긴 두 건의 세미나때문에

정신이 없기도 하고,그러다 보니 차분히 앉아서 그림을 보는 일이 어렵더군요.

개인적으로 그림을 볼 시간은 모자라지만 예술종합학교 예술사 과정에 시험을 보려고 하는 제자가 있어서

어떤 관점에서 그림을 보고 무엇을 생각해서 시험에 대비하는 것이 좋을까 제 나름으로 생각하느라

머리가 복잡하기도 한 날들이 계속되고 있기도 해서 ,그림과의 인연이 아주 없다고 할 순 없네요.



딸의 싸이에 들어가보니 뉴욕여행에서 돌아온 아이가 올려놓은 사진중에 마티스의 cut-out 작품옆에서

환하게 웃으면서 찍은 사진이 있네요.

한국에 있을 때 음악회나 미술관에 그다지 자발적으로 다니던 아이가 아닌데 이번 미국여행에서는

싸이언스 뮤지움까지 포함하여 미술관,그리고 저녁에는 할인된 표를 구해서 뮤지컬을 많이 보았다고 해서

부럽기도 하고 놀랍기도 했지요.

전화통화를 하는데 엄마야말로 이 곳에 오면 너무 좋아할 것 같다고 ,언젠가 꼭 와서 그림을 보라고

즐거운 목소리로 이야기를 합니다.



그 목소리와 싸이에서 본 표정으로 저절로 저도 마티스의 다른 작품을 보러 들어오게 되니

이런 우연한 연결이 재미있군요.






입에서 톡 프랑스어 이런 제목의 책을 사서 듣던 중 아무래도 설명이 글로만 읽어서는 이해가 어려워서

고민하던 중,ebs를 뒤적거리다 보니 이미 방송이 끝난 것을 재활용해서 다시 듣기 할 수 있게 해놓았더군요.

한 달에 오천원을 결제하면 한 달동안은 얼마든지 들을 수 있게 되었는데

한국인 강사와 프랑스인 강사 두 사람이 서로 이야기를 주고 받으면서 여러 번 본문을 반복하면서

대화를 들려주고,특히 프랑스인 강사가 발음에 많이 신경쓰면서 들려주니 갑자기 어깨의 짐이 가벼워진

기분이네요.

혹시 외국어를 혼자서 공부하느라 애를 먹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면 이렇게 라디오 방송의 다시듣기를

이용해보면 어떨까 추천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라디오 방송에서는 하루분의 방송이 끝나면 샹송을 한 곡씩 들려주기도 해서 처음 듣는 노래들과

만나는 즐거움도 누리고 있고요.



ebs의 이런 좋은 강좌를 이제껏 이용하지 못한 것이 어리석게 느껴질 정도로 도움이 되는 강의라서

앞으로 한동안 만나는 사람들에게 소개하고 다닐 것 같은 강력한 예감이 들기도 합니다.

그런데 혼자서 공부하지 왜 그렇게 나팔을 불고 있는가 의아하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 것 같아요.

왜 그런가 하면 이렇게 떠들다 보면 나도 해보고 싶다는 사람들이 생기고

그러면 그 길을 (사실은 외로운 길일수도 있거든요,혼자서 계속 공부한다는 것이) 함께 가자는 사람들이

반드시 생긴다는 것을 알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마티스의 그림과 프랑스어 방송이 무슨 연관이 있는 것일꼬 ?

물론 방송을 일단 한 번 제대로 들은 다음,소리를 귀에 익히려고 계속 반복해서 듣고 있는 중이라서

저절로 마티스와 프랑스어라는 조합이 이루어진 셈이로군요.

과연 이런 노력이 조금이라도 힘이 되어서 프랑스에 갔을 때 알아듣고 ,실제로 표현해보는 말이 늘어날

것인가,그것은 잘 모르겠습니다.한가지 확실한 것은  프랑스인 화가의 그림제목을 읽어보려는 노력을

하게 된 것,가끔은 어라,이런 뜻인가 하고 추측이 가능한 제목들이 생기고 있다는 것.




한가지 tip이 있는데요,방송을 들으면서 반복은 어렵고,그냥 진도를 막 나가기엔 벅차고

고민하다가  생각한 좋은 방법 한 가지.1과를 공부하고 그 다음 2과를 나갈 때는 1과 전부를 복습하기엔

시간이 모자라더군요.그래서 1과의 대화편만 다시 듣습니다.그리고 3과를 할 때는 1,2과를 그런 식으로

복습하다가 더 이상 복습이 필요없으면 그 과를 넘어뛰고 나가는 그런 방식,생각하면 엄청난 시간이 들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지요.

그런데 방송에 나오는 프랑스 남자분은 한국어를 상당히 능숙하게 하네요.물론 인토네이션이나 발음이

재미있지만요.그러니 우리도 외국어를 할 때 native처럼에 너무 집착할 일은 아닐 것 같아요.

소통을 위한 노력 그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닐까요?



어라,이런 말을 들으니 나도 불어를 시작하고 싶어,그렇지만 역시 혼자서는 끈기가 없어서 얼마나

오래 갈 수 있을까? 그렇게 자신의 끈기에 의문을 갖는 사람이라면

철학모임에 참석하시면 됩니다.아니,프랑스어와 철학이 무슨 상관이 있냐고요?

물론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철학모임의 차승연씨랑 둘이서 진도를 맞추어서 각자 공부하고

철학시간 끝나고 점심먹으러 가기 전 잠깐 확인하기로 했거든요.

역시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하는 것은 집중력을 떨어뜨려 글자체가 횡설수설이지만

새로 시작하는 공부에 조금 더 많은 사람들이 함께 할 수 있으면 하는 마음에 조금만 더 조금만 더

이야기를 하게 되는군요.사람의 본성은 참 고치기 어려운 모양입니다.

스터디 이야기만 나오면 사람이 변하는 느낌이라고 할까요?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카루소
    '09.11.19 3:27 AM

    Ce soir je pense a toi, Mon amour inconnu

    J'attend un signe de toi, Sur cette terre, ou es-tu?

    J'attend je ne sais quoi, D'infini, d'absolu

    Mon amour, ou es-tu?



    Je vois la mer immense, Le long des avenues

    Et des bateaux qui dansent, Dans tous mes reves, ou es-tu?

    J'attend dans le silence, Ce bonheur defendu

    Mon amour, ou es-tu?



    Ou es-tu? Au-dela de quel horizon?

    Qui es-tu? Quel est ton nom? Pour te chercher, je ne sais plus

    Parmis tous les hommes, Ou es-tu?

    Mais ou es-tu, dans ce monde? Sur une ile que l'azur inonde?

    Au coeur de la nuit Ou es-tu?



    Ce soir je t'imagine, Pres de moi etendu

    Et puis je te devine Presque a moi mais, ou es-tu?

    Dans le palais d'un roi? Ou au coin de ma rue?

    Mon amour, ou es-tu?



    Je regarde une etoile, Qui annonce ta venue..

    Mon ange, mon ideal, Je tremble un peu, ou es-tu?

    Dans une boule de cristal, J'ai vu ton coeur a nu,

    Mon amour, ou es-tu?Ou es-tu?



    Au-dela de quel horizon? Qui es-tu ? Quel est ton nom?

    Parmis tous les hommes, Ou es-tu?

    Mais ou es-tu, dans ce monde? Sur une ile que l'azur inonde?

    Au coeur de la nuit Ou es-tu?

    Dis moi, ou es-tu?



    오늘 밤 나는 그대를 생각해요, 나의 미지의 사랑을

    나는 당신의 신호를 기다려요 이 곳에 있을 신호를, 그대는 어디 있나요?

    나도 알지 못하는 어떤 것을 기다려요 무한하고, 절대적인 것

    나의 사랑, 그대는 어디 있나요?



    거리를 따라가며 나는 드넓은 바다를 보고 있어요

    그리고 춤추는 배들을 나의 모든 꿈 속에서. 그대는 어디 있나요?

    고요함 속에서 기다려요 나의 행복을 지켜주는 것.

    나의 사랑, 그대는 어디 있나요?



    그대는 어디 있나요? 이 수평선 너머에?

    그대는 누구인가요? 그대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모든 남자들 중에서





    그대는 어디 있나요? 하지만 그대는 어디 있나요, 이 세상에서?

    하늘빛이 넘쳐나는 섬인가요? 밤의 심장으로,

    그대는 어디 있나요?



    오늘 밤 나는 당신을 상상해요 나의 가까이에 있을 당신을

    그리고 당신을 알아맞추어요 거의 나와 함께 있지만, 그대는 어디에 있나요?

    왕의 성 안에? 아니면 여기 거리에? 나의 사랑, 그대는 어디에 있나요?



    나는 별을 올려다보아요, 그대가 올 것을 알려주는..

    나의 천사, 나의 이상, 나는 조금 떨고 있어요, 그대는 어디에 있나요?

    크리스탈 공 안에 나는 그대의 벌거벗은 마음을 가지고 있어요

    나의 사랑, 어디에 있나요? 그대는 어디 있나요?



    그대는 어디 있나요? 이 수평선 너머에?

    그대는 누구인가요? 그대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모든 남자들 중에서 그대는어디 있나요?

    하지만 그대는 어디에 있나요, 이 세상에서? 하늘빛이 넘쳐나는 섬인가요?

    밤의 심장으로, 그대는 어디 있나요? 내게 말해줘요, 그대는 어디 있나요?

  • 2. 하늘재
    '09.11.19 9:38 AM

    누구에게 행동 하고픈 신선한 자극제가 될수 있다는것!! 참으로 귀하지요,,,, 그 일 인 이구요~~ 감초 같은 음악도 참 좋습니다,,,,ㅎ

  • 3. wrtour
    '09.11.20 12:37 AM

    빗나간 얘기 하나~
    화가 마티스 하니 생각이 나요.
    힌데민트 교향곡 중에 '화가 마티스'가 있어요.
    힌데민트의 대표작일 정도로 괜찮은 곡이고.
    근데,
    근데,,
    근데요,,,,,
    그 마티스가 아니라 바로크 시대 화가여요.
    한동안 저 마티스로 알고 있었다는.

  • 4. intotheself
    '09.11.20 10:08 AM

    wrtour님

    그런데 바로크 시대 마티스가 누구일꼬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지난 번 20세기 거장전 쓴 글 읽고 감탄 감탄 했는데요

    그 날은 마음속이 복잡한 날이라서 글을 쓸 마음의 여유가 없어서 리플을 달지 못했었지요.

    지금 이 글을 보니 그 때가 생각나서요.

  • 5. wrtour
    '09.11.22 12:47 AM

    '이젠하임 재단화'의 마티아스 그뤼네발트(Matthias Grunewald,1480~1528)~
    물론 후기 고딕 시기~~~~

  • 6. intotheself
    '09.11.22 2:25 AM

    그뤼네발트를 마티스라고 표현한 것이로군요.

    그의 이젠하임 제단화는 바라보기만 해도 고통이 느껴지다가

    아하,그래서 이런 그림을 제단화로 삼았구나 고개끄덕였던 기억이 납니다.

    그 제단화를 보는 사람들이 주로 병자들이어서 그들의 고통을 함꼐 하는 예수상을

    그린 것이라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2379 결혼기념일에 ~ ~ 6 흙과뿌리 2009.11.19 1,994 107
12378 늦은 밤 ,마티스를 보게 된 사연 6 intotheself 2009.11.19 1,909 220
12377 남녀검색탐구생활이랑 이벤트있어서 가져왔어요^^ 1 니니월드 2009.11.19 1,273 91
12376 공감할 수 있는 눈물 슬픔 그리움... 12 카루소 2009.11.19 2,882 173
12375 어린시절이 생각나서~~! 2 고구마아지매 2009.11.18 1,511 115
12374 자랑질의 끝 시골밥상 9 명사십리 아짐 2009.11.18 3,135 92
12373 저녁노을 사진 한장 올립니다 1 차돌바위 2009.11.18 1,815 176
12372 가을은 가고~ 6 고구마아지매 2009.11.18 2,102 105
12371 샐러드바는 1회만 가능합니다^^ 5 해바라기 2009.11.18 8,260 209
12370 가을의 끝자락에 서서... 7 안나돌리 2009.11.18 1,553 134
12369 벚나무의 변화에대한 철학자들의 견해와 내맘대로의 생각..... 5 노니 2009.11.18 1,607 120
12368 먼훗날에 우리 다시 만나리라... 9 카루소 2009.11.18 3,209 227
12367 있찮아요~~ 김해에도~~~ 11 봉화원아낙 2009.11.17 1,597 51
12366 유치원 생활에서 가장 중요하고 필요한 것은? 사랑스런세아이 2009.11.17 1,510 163
12365 어제 바람이 심하게 불더니 엄청큰 전복이 잡혔습니다. 5 명사십리 아짐 2009.11.17 2,166 126
12364 이번에 나온 sk-700 w폰의 cf 무삭제판 입니다 underani01 2009.11.17 1,659 122
12363 우리는 겨울이 오길 바랐었죠... 11 카루소 2009.11.17 2,772 147
12362 인천대교와 송도 ~~~~~~~~~~~~~~~~ 4 도도/道導 2009.11.16 1,630 123
12361 11월 16일...사진올리기 연습중..^*^.. 초인(장흥) 2009.11.16 1,864 164
12360 송아지는 이렇게 태어나요!!! 4 초인(장흥) 2009.11.16 2,040 183
12359 연이은 가을비가 반갑지 않네요ㅜㅜ 7 소꿉칭구.무주심 2009.11.16 1,358 72
12358 엄마의 편지 4 동경미 2009.11.14 2,554 94
12357 서투른 인부는 연장탓만 한다고? 3 intotheself 2009.11.14 2,040 249
12356 정치인과 거지의 8대 공통점... 11 카루소 2009.11.14 2,501 136
12355 20세기 사진거장전 & 뉴욕필 15 wrtour 2009.11.14 4,072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