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유기농 밀가루에 관하여..
한 개인의 생각이니까 절대적인 것은 아니겠지만
여러가지 유기농 밀가루의 종류와 특징을 정리해놓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유기농 밀가루가 좋을까, 우리밀이 좋을까..고민하던터라
저에게는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원글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http://cafe.naver.com/ululul.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14...
------------------------------------------------------------------------------------
2006년 4월 28일 기준입니다.
소개에 앞서 "국산 우리밀"에관한 이야기입니다.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는 모든 우리밀은 제가 아래 링크에 소개한 제품을 제외하고는 유기농 제품이 아닙니다.
제품에 자신이있다면, 판매나 여러 홍보에 득이되는 "유기농 인증 마크"를 획득하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실제로도 2월에 한종류였던 국산 유기농 인증 밀가루가, 전환기 유기농 제품이 한가지 더 추가되면서 늘어났습니다.
그러므로 제 판단 기준은 - 국산 유기농 > 수입 유기농 > 국산 일반 우리밀 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반 수입 밀가루는 그 폐혜가 너무 크기때문에 식품이라는 범주에 넣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제 경우에는 보통 수입 통밀이나 호밀을 쓰게되네요.
수입 유기농 밀가루는 독한 살충제나 소독과정 역시 거치지 않았습니다.
때문에 보관을 잘못하면 죄다 부패하고 상해버립니다.
우리밀 만큼이나 안전합니다. 때문에 비싼것이구요.
물론 작물을 생산할때도 역시 철저히 유기농으로 재배했기때문에 인증마크를 붙인것입니다.
이것이 바로 "일반 우리밀 제품" 보다 수입 유기농 제품이 낫다고 생각하는 근거입니다.
제품 선택은 개개인의 판단에 따를 일이라 생각합니다만,
거듭 이야기드리지만 "인증마크없이 시판되는 모든 우리밀"은 "절대로 유기농"이 아닙니다.
이 부분에 혼선이 없기를 바랍니다.
덧붙인다면, 유기농 인증 자체의 기준으로 보아서는 "모처에서 수입하는 독일산 제품"이 가장 우수합니다.
이 디미터 라는 제도가 규제가 까다롭기때문입니다.
그렇다고해서 여타 수입 인증 유기농 제품들 자체가 "무늬만 유기농"이란 의미는 아닙니다.
우리나라보다 그 연원이 더 오래된만큼, 유기농에대한 관심이 더 앞서있는 만큼 믿을만하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백밀가루에는 강력분/중력분/박력분 의 차이가 있습니다.
각기 글루텐 함량에 따른 차이로 구분짓습니다.
기본지식이니 모두 아실거라 생각합니다.
1. 우리농촌살리기공동네트워크 전환기 유기농 우리밀 밀가루 (중력분)
국내에서 생산되는 우리밀은 유기농이 없었습니다.
하지만 작년부터 "우리농촌살리기 공동 네트워크"란곳에서 유기농 제품을 내놓고있습니다.
통밀제품은 아니고, 백밀로 "전환기 유기농 인증" 제품입니다.
표기는 강력분이라고 되어있지만, 실제로 써보면 "중력분" 수준입니다.
때문에 글루텐을 넣어줘야합니다.
국내에서 유기농 인증을 받은 최초 제품입니다.
http://www.urinongshop.com/
이 제품은 홈플러스에서 구입할 수도있고,
인터넷상으로 구입할 수 있는곳은 현재 단 한곳으로
http://www.freshin.co.kr/m_mall_detail.php?ps_ctid=13030000&ps_goid=173
이곳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대형포장 20kg 제품도 사용해보니 역시 강력분 수준이 되지 못했습니다.
헌데 이건 준통밀정도 되는 것으로 소포장 제품보다 좀 더 노르스름했습니다.
2. 해밀원 전환기 유기농 우리밀 밀가루 (중력분)
한가지 더 나온 국산 유기농 백밀가루입니다.
해밀원 이란곳에서 나온것으로 중력분 수준입니다.
http://www.emart.co.kr/item/ItemInfoViewDtl.jsp?item_id=8809148738699&site_id...
역시 오프라인 이마트 매장에서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
3. 퀸즈 유기농 밀가루 (강력분)
호주의 AUS organic 제품입니다.
기존 밥스레드밀 유기농 강력분은 더이상 들여오지 않고, 이제품으로 교체수입한다고합니다.
http://www.trueorganic.co.kr/Product/ProductInfo.aspx?GoodsCode=0107030001&cg...
이 제품은 단 한곳 이 노른자 사이트에서만 취급합니다.
이 노른자 란곳은 오프라인 매장도 운영하고있습니다. 인근에 사시는분은 직접 가셔서 구입하셔도 좋겠습니다.
4. 파인트리 키알라 밀가루 (강력분)
호주산 강력분인데, AUS organic 제품과 다른것인지, 혹은 같은것이지만 소분을 달리 한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노른자 제품보다 더 싼 장점이 있습니다.
http://www.62mart.co.kr/shop/shopdetail.html?brandcode=008069000001&search=&s...
이곳에서만 판매하네요.
5. 맥선 유기농 밀가루 (중력분)
해가온 인터넷 쇼핑몰에서만 찾아볼 수 있습니다.
http://www.hegaon.com/product/product_list_frm.asp?LcatCode=005000000000&Scat...
이 제품은 한농 마을 키르키즈스탄 지부에서 생산된것을 수입해 도정한 뒤에 판매하는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한농 이란곳을 신뢰하는 편이라, 백밀을 사용할경우는 이제품을 이용하고있습니다.
(지인분에게 빵을 드려야할 경우는 부득불 식감을 위해, 백밀 반, 통밀 반인 빵을 만들어 갑니다.)
물론 이 제품은 5% 정도 활성 글루텐을 첨가해줘야합니다.
6. 밥스레드밀 유기농 통밀가루와 호밀가루
이제는 여러곳에서 판매되서 많이들 알고 계실것이라 생각합니다.
두 제품 모두 2.26kg 소포장 제품이 7천원선입니다.
함지식품, 창진식품 등 유명한곳부터 방진시장의 대부분 재료상에서 취급하고있습니다.
제가 인터넷으로 구입하는곳 몇군데만 적어놓습니다.
각기 가격이 약간씩 차이가나지만, "배송비 무료 구입 기준가"가 3만원 혹은 5만원 혹은 20만원 이상이기때문에
잘 살펴서 구입하시면 좋겠습니다.
창진 = http://www.happybaking.com/
e홈베이커리 = http://www.ehomebakery.com/FrontStore/iStartPage.phtml
카우 = http://www.cow2004.com/front/php/search/search.php
7. 바우크호프사의 유기농 밀가루/호밀가루/통밀가루
이 제품은 한곳에서만 취급하고 잘 정리되있어 굳이 따로 분류하지 않았습니다.
디미터 유기농이 좋기는 하지만 많이 비싸서 쉬 구입해 사용하기는 좀 어렵습니다.
http://www.ezbaking.com/bemarket/shop/index.php?pageurl=page_goodslist&part_c...
8. 유기농 오트밀 프리믹스
이 제품은 밀가루는 아니지만 제과/제빵에 용이하기때문에 소개합니다.
http://www.happybaking.com/front/php/product.php?product_no=2733&main_cate_no...
이곳에서만 볼 수 있었습니다.
현재 품절로, 문의해보니 수입처에서 수입을 해주질 않는다고 합니다.
이전에도 품절이였는데, 계속 품절이네요.
속히 수입되면 좋겠습니다.
9. 유기농 옥수수 분말
이 제품 역시 밀가루는 아니지만, 제과/제빵에 쓰는 재료이기때문에 소개합니다.
http://www.happybaking.com/front/php/product.php?product_no=3571&main_cate_no...
제가 소개한 까닭인지, 이 제품도 품절이네요.
역시 속히 수입되면 좋겠습니다.
10. 키르키즈스탄 유기농 통밀가루
아직 정식으로 포장되서 유통되는 제품은 아닙니다.
혹 저처럼 한농 제품을 선호하시는 분이 있을거같아 적습니다.
017-814-7556 이 전화번호로 통밀가루를 문의하시면, 1-2kg 단위의 소포장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보통 다른 한농식품의 경우도 함께 주문 배송받을 수 있습니다.
요 제품의 경우는 한농에서 자체적으로 소비하기위한 제품으로 정식으로 포장 판매하는 제품은 아닙니다.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마지막 10번 글이 문제가된다면, 말씀해주세요. 이부분은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틀린부분이 있으면 지적부탁드립니다.
모쪼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요리물음표] 베이킹 시 호주 키알라.. 3 2007-12-25
- [요리물음표] 미리 끓여놓아도 괜찮은.. 1 2007-12-08
- [요리물음표] 계란이 들어가지 않는 .. 2 2007-09-14
- [요리물음표] 황매 매실 액기스 담아.. 6 2007-07-09
1. 하버드
'06.8.29 2:55 PM도대체 우리들은 무엇을 믿고 먹어야할지요?
2. 니양
'06.8.29 3:13 PM그동안 우리밀은 유기농이라고 생각해왔었는데..아니라니 좀 충격이네요. 밥스레드밀사의 통밀을 요즘 먹고 있는데 맛도 좋고 국산 밀가루보다 더 거칠고 투박한 느낌이더라구요. 돌로 갈았다고 써있던데.그래서 그런지..
3. 레드크리스탈
'06.8.29 6:09 PM - 삭제된댓글그런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외국산 유기농보다는 보통의 국내산을 더 선호하더군요.
중국산 유기농콩두부보다는 국내산콩두부를,키르키즈스탄유기농밀가루 보다는 그냥 우리밀을 더 믿던데....4. 달구네
'06.8.29 6:14 PM들은 말로는, 우리밀은 겨우내 자라기 때문에 농약을 줄 필요가 없다고 하던데.. 아닌가 보네요. 우리밀을 먹어야하는지 수입 유기농을 먹어야 하는지 혼란스럽습니다.
5. 꾸미
'06.8.29 6:28 PM판단은 각자의 몫이겠지만 밀가루가 비행기타고 오지는 않을 거고 장기간 밀폐된 컨테이너속에 배타고 올텐데 그 선도가 국내산과 비할 수 있을까요.
다음은 한살림에서 판매중인 우리밀 상세정보입니다.
생산지
푸른들영농조합
수매, 유통
푸른들영농조합
특징
- 올해 수확한 햇 우리밀을 제분하여 공급합니다.
- 재배 기간 중 농약과 화학비료를 주지 않고 재배합니다.
- 수확후 보관시에도 훈증을 하지 않고 저온창고에 보관했다가 제분합니다.
우리밀의 특징
- 우리가 시중에서 사먹는 밀가루의 99%이상이 수입밀인데, 수입밀은 대부분 여름에 자라므로 농약을 치고, 오랜 항해기간과 온도변화 때문에 살충제, 살균제, 방부제, 보존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우리밀은 배기가스는 많이 나오는데 식물이 자라지 않아 공기가 탁한 겨울철에도 다른 작물과는 달리 0도만 넘으면, 광합성운동을 하므로 대기정화능력이 탁월한 작물이며, 겨울철 마땅한 작물이 없는 농촌에서 농가소득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우리땅에서 자라는 우리종자로 우리의 식량 주권을 지켜간다는 점에서 우리밀은 큰 의의를 가지고 있습니다.6. 로즈마리
'06.8.29 7:40 PM좋은 정보 감사..
7. 슈퍼맨
'06.8.29 9:28 PM젇 밥스레드밀 10키로 사두고 먹었는데
여름을 못견디고 고만 상해버려서 아깝지만 다 버리는 수고가...;;
수입유기농은 인증마크따기도 힘들고 까다로워서 더 믿고 먹게 되는거 같아요
호주파인트리두 괜찮은거 같구요...비싸서 그렇지 유기농은 밑을만 한거같아요
한국껀...왠지 꺼림직하긴 한데.;..;8. 로미쥴리
'06.8.29 9:51 PM오늘 밥스레드밀 사다 호두 스콘 만들었어요.
호두가 들어가 그런지 매끄러운 백색 밀가루에 입이 길들여져서 그런지...
밥스레드밀은 식감이 껄끄럽네요. 색도 거무스름하고.
그래도 건강을 위해선 유기농 통밀을 먹어야겠죠. 우리나라 브랜드로 이런 유기농 밀가루 제품들이
많이 나오기만을 바랍니다...9. 후니우기맘
'06.8.30 1:15 AM저 요즘에 배이킹 많이 해서 먹는데 그래서 온몸이 이렇게 가렵고 힘든건가요?
수입 밀가루 무서워요~10. 라임그린
'06.8.30 4:21 PM따끈따끈한 정보인데요 오늘 쓰지마 위험해한 책을 쓴 일본분 강연회에 다녀왔습니다.
일본에서 호주산 유기농 밀가루로 만든 빵을 주로 먹었는데 테스트 해보니 농약 성분이 검출된 적이 있어 좀 시끄러웠던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전 우리밀 무농약 먹는데 그 역시 상온에 두었다가 곰팡이 쓸어 버렸습니다.
화석 연료를 쓰지 않는 것의 의미는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당장 몸에 좋은 것을 찾지만
단순히 먹는 것만의 문제가 아니란 것을 주부들이 명심해야 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식량주권"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올바른 소비를 통해 지켜야 할 것이 있다는 것을 많은 이들이 알아가면 좋겠습니다.11. 튼튼맘
'06.8.30 4:32 PM단순히 먹는것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윗분 말씀에 동감합니다.
우리가 우리밀을 지켜야지요.
우리밀 소홀히 하다가 우리땅에서의 밀경작을 포기하면 100프로 수입밀에 의존해야 한다는 사실도 잊지 않으셨으면...단순히 '내 식구 먹일 음식문제' 로만 생각치 말고 다른 면도 한번쯤 생각해 보심이 어떨런지요.12. 열쩡
'06.8.30 5:36 PM기사인가요?
이런 글 뒤에는 얼마나 많은 물밑 작업이 있었을지 싶어지네요.
우리밀은 겨울에 자라서 봄에 수확하기 때문에 농약을 치지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유기농이 아닐지는 몰라도 적어도 무농약이라고 생각했는데...
그것도 아닌가요
우리밀 사면 행여 상할까 꼭 냉장고에 두고 먹는데
다 부질없는 짓인가 헷갈리네요13. 올망졸망
'06.8.30 6:42 PM나중에 애가 생기면 유기농을 쓰게될것 같네요.
근데,,,유기농 밀가루나 통밀을 쓰면 글루텐을 첨가해야 하나요??14. 후니우기맘
'06.8.30 11:21 PM올망졸망님~ 네 글루텐 첨가해야해요~ 어제 우리밀통밀로 부시맨 브레드 만들었는데 글루텐 첨가해두 많이 부풀지 않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