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30후반 대기업과장 월급 보통 얼마정도에요?
뭐 남편직업따라 가지각색이겠지만 그럼 비슷한 대기업 샐러리맨들도 그렇게 월급이 천차만별일까? 갑자기 궁금해지더라구요..
사실 남편이 가끔 자기정도면 샐러리맨중에선 연봉이 좀 높은편이라고 그러는데 제 생각엔 절~~대로 높은 거 같지 않고 그냥 평균선이라고 생각들거든요..
제가 콧방귀뀌면 남편은 저더러 눈높이가 높고 욕심이 많답니다..ㅡ.ㅡ
원래 사람들은 자기주변 사람들 범위에서 비교를 하잖아요..
남편은 자기 친구들이나 친척들 중에서 제일 소득이 높은 편이고 저는 친정이나 친구들 등 저와 친한 사람들중에선 남편이 제일 소득이 낮거든요..
그러다 보니 사실 서로 눈높이가 틀려요..
보통 30후반 나이에 대기업과장급(과장말년차는 아니구요..)정도면 세후 월급 얼마정도 받으시나요?
제 눈높이가 정말 남편 말마따나 높은건지, 아님 평범한 평균눈높이를 가진 건지 알고 싶어요..
참, 남편 월급은 실수령 410-420이구요 연말에 회사실적 따라 성과금 200프로 이상 나올떄도 있고 안나올때도 있어요..ㅡ.ㅡ
연봉제니까 기타 명절 보너스니 뭐 그런거 일절 없구요...
1. 비교하지 마세요
'09.5.21 11:47 AM (125.177.xxx.49)천차만별입니다 남하고 비교하기 힘들어요
님 정도면 괜찮은 편입니다 그정도면 세전 6500-7000 정도 잖아요 그나이에 많이 받는거죠
위만 보면 끝도 없어요 우리 그나이때 -6-7 년전- 5000 도 안됐던거 같아요
외벌이 월급쟁이 다 사는거 비슷하죠 시집에서 물려받을거 있어 버는거 다 쓰고 살면 좀 낫긴한데 그런집이 얼마나 되요
아이 키우고 저축이라도 하고 그럼 다들 힘들죠
주변 사람도 다 비슷한거 아니잖아요 나보다 훨 잘사는사람 못사는 사람...
나름대로 사는거죠2. ㅁ
'09.5.21 11:54 AM (220.85.xxx.202)물어보셨으니..
30대 후반이면, 과장, 차장 정도 되겠습니다. 팀이나 인사고과에 따라 연봉이 달라지긴 하나
6000에서 핵심부서 차장급 7000 정도 왔다 갔다 할꺼에요.3. 원글..
'09.5.21 11:56 AM (116.42.xxx.43)세전 그정도 아니구요, 연말소득공제할때 봤더니 연봉 6천 조금 안되더라구요..
글구 위만 보고 비교할려고 그런게 아니라 정말 제 눈높이가 높은건지가 궁금해서 여쭤본거에요..남편 월급적다고 구박하는게 아니라 그냥 객관적인 시각으로 남편한테 말한건데 남편이 완전 절 그런 사람으로 몰아부쳐서 왠지 억울하달까요??
다른 사람들 눈높이와 제가 정말 틀린건지, 정말 그렇다면 오늘부터 제 눈높이를 조정해야겠단 생각에^^;4. 에고
'09.5.21 12:38 PM (121.151.xxx.149)저도 대기업과장 말년 이제 차장진급앞두고 있는데 월세후가 350정도이네요 성과급제도는 있지만 나오지않은적이많구요
휴 연봉5천정도이더군요
저같은 사람도 잇습니다
그정도만 높은것 사실이네요5. ㅇㅇ
'09.5.21 12:41 PM (147.46.xxx.39)이건 뭐 상대적인거라 뭐라 말하기 힘든데요.
30대후반 대기업과장끼리의 비교라면 딱히 많이는 아니고 딱히 적다고 말하기도 그런데요.
애초에 대기업과장 자체가 아무나 하는건 또 아니거든요. 요즘은 대기업 입사 자체도 어려운걸요 뭐.
일반인 기준에서보면 알만한 대기업 과장쯤이면 어느정도 고소득자 맞구요. (일반 샐러리맨중 대기업 과장급보다 낮은 사람이 90%가 넘죠) 전문직과 비교들어가면 .. 좀 무의미 하구요.
암튼 일반 샐러리맨 중에서는 높다는 남편말도 맞고, 대기업 과장중에서는 평범한 편이라는 님의 생각도 맞아요.6. 월급
'09.5.21 5:19 PM (121.165.xxx.16)연봉이 아니고 월급 실수령액이 나이에 0을 하나 더 붙인만큼이면 딱 중간이라고 하네요.
그러니까 마흔이면 월 400이 통장에 들어와야 한다는 얘기겠지요? 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