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사라진 명화들속에서 만난 베르메르

| 조회수 : 1,926 | 추천수 : 162
작성일 : 2008-09-28 00:44:31


   이 책을 처음 잡았을 때 과연 이것이 소설인가

실화인가 어리둥절했었습니다.

그런데 읽다보니 책중간에 낀 주인공의 실제 모습

그의 어머니,아버지 사진까지 실려있더군요.

그렇다면 영국 경찰청중에서 예술품 전담반의 찰리 힐이란

인물은 실존인물이란 이야기이고 그가 도난당한 그림을

회수해가는 과정의 이야기는 실화란 것인데

그러자 갑자기 더 이야기읽기에 속도가 붙었지요.




이 책속에는 이런 저런 미술품 도둑들에 대한 이야기가

가득하다보니 화가의 이름도 아주 많이 등장하는데요

정작 이 이야기의 실마리가 되는 뭉크보다는 베르메르에게

관심이 가서 그의 그림을 열어보고 있는 중입니다.

아니 왜 뭉크가 아닌가? 생각해보니 지금

everymonth에 올라온 맘마미아에 흐르는 노래 전곡을

하나씩 듣고 있는 중이라서 아무래도 뭉크의 그림으로는

손이 가지 않는 것같아요.

그렇다고 베르메르의 그림들이 아바풍의 노래에 맞는 것은

아니지만 ,17세기 네덜란드의 풍속화라면 분위기에 맞을

것같아도 그 그림들에 마음이 끌리지도 않는 시간이라서

역시 베르메르로 정했습니다.








베르메르가 누군지도 모르던 시절,우연히 런던의

미술관에서 소설책을 한 권 구한 적이 있어요.

돌아오는 비행기속에서 잠을 자야 내려서 바로 수업을

하러 갈 수 있는데,그 소설이 궁금해서 조금만 읽어야지

하고 손을 댔다가 결국은 너무 재미있어서 다 읽고 말았던

그것이 바로 진주귀고리소녀였고요,그 것이 제겐

베르메르와의 첫 만남이었지요.

그 책이 얼마 있다가 번역이 되어 나왔고,다음에는

영화로도 만들어져서 어라,어라 하면서 즐거워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이 그림은 웬디 수녀의 미술사 책의 표지로 선택된

작품인데요,그 때만 해도 아니 그 많은 그림들중에서

왜 저자는 이 그림을 표지화로 선택했을까 의아해하던

바로 그 그림입니다.

나중에 베르메르를 알게 되면서 아하,그래서일까?

혼자 나름대로 대답을 구했던 기억도 나고요.




진주귀고리 소녀에서 화가 베르메르역을 했던 콜린 퍼스가

맘마미아에서도 아버지 후보중의 한 명으로 출연했더군요.

그런데 아니 이럴수가 이렇게 변한 모습이라니 하고

혀를 끌끌 차던 영화관에서의 시간이 기억납니다.



오늘 월요일 수업을 준비하면서 제국의 미래중에서

포르투갈,스페인,그리고 네덜란드의 역사를 읽던 중에

스페인이 한 나라로 통일하면서 종교에서의 불관용으로

돌아서면서 유대인,이슬람교도들을 추방하는 장면

그리고 이들이 주로 네덜란드로 가서 그 곳의 금융과

상권을 장악하게 되는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그것이 전부는 아니겠지만 네덜란드가 유럽에서의 종교적

불관용이 극으로 치닫던 시절,각 지역에서 박해의

대상이 되었던 사람들을 받아들이면서 순식간에

17세기의 황금기를 이룬 이야기를 읽어가다가

지금의 우리를 돌아보게 되더군요.







제가 가본 외국의 공항중에서 영어권이 아닌 나라중에서

가장 영어가 잘 통하던 곳이 바로 암스테르담 공항이었지요.

그것이 바로 상업을 통해 외부로 뻗어나가던 나라의

저력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던 기억도 떠오르고요.

사라진 명화에서 베르메르로,그러다가 네덜란드의

역사로,그 곳에서 한 발 더 나가 지금의 그 나라로

머리속에서 여러가지 영상이 떠오르는 토요일밤입니다.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피글렛
    '08.9.28 4:24 AM

    베르메르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있을 때였는데
    우연히 베르메르의 '진주 귀고리 소녀' 원화를 보게 되었어요.

    크기가 작은 그림이었는데 어찌나 흡인력이 있던지
    한참을 그 그림 앞에서 떠나질 못하겠더군요.

    소설, 그리고 영화도 참 잘 만들어진 것 같아요.

  • 2. 아몬드조이
    '08.9.28 11:21 AM

    얼마전 뉴욕 프릭컬렉션에서 베르메르 의 3작품앞에서 정말 한~참을 서 있다 왔습니다.

    저도 진주귀고리소녀를 읽은 후 베르메르를 좋아하게 된거 같아요.

    영화도 재미있었구요.

    언젠가는 저도 원화를 볼 수 있겠지요.^^

  • 3. nayona
    '08.9.28 11:54 PM

    베르메르의 전시회를 가본 일이 있어요.
    모조 진주귀걸이 목걸이도 팔던데...ㅋㅋ
    그의 작품 속 몇 여인들은 큰 진주 귀걸이나 목걸이를 하고 있으니까요...

    메르메르의 델프트 풍경....
    델프트의 이케아에 자주 갔었던 저로서는 늘 그 하늘을 떠올릴 수밖에요.

    자식을 15명이나 두었고...

    부유한 처가덕에 궁색하지않고 쪼들리지않기에 여관을 운영하는 주인이기에
    그림이 일생에 35점밖에 남겨지지 않았다는? 안타까움이...
    사실....
    궁핍이라는 현실이 많을 작품을 쥐어 짜낸다는 것이 맞거든요.
    도스트예프스키라든가...많은 작가들의 어려운 삶을 비춰볼 때말이죠.

    그의 그림 속의 여인들....
    저도 누군가의 작품에 그려지고 쓰여지는 그런 남겨진 여인이 되고 싶건만....
    없네,없어...ㅡㅡ

  • 4. intotheself
    '08.9.29 1:00 AM

    베르메르 그림이 루브르에 한 점 있다고 들었는데요

    그 때에는 그가 누군지도 몰랐으니 일부러 찾아서 볼 리가 없고

    나중에 알고 나서 앗 소리를 절로 냈던 기억이 나는군요.

    실제로 보신 분들이 부럽기도 하고,언젠가 제게도 그런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는 마음이기도 하고

    갑자기 네덜란드가 제게 가깝게 느껴지는 밤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0001 오이지랑 뭉치는 잘 있는지 ? 4 쏘가리 2008.09.29 1,375 15
10000 씨앗 열매 과일로 만들기숙제 경빈마마 2008.09.29 1,665 33
9999 아파트 놀이터 1 푸른하늘 2008.09.29 1,212 51
9998 여자이기때문에 좋은이유 24 카루소 2008.09.29 3,465 141
9997 포도 상자속에서 느끼는 어린 아이의 마음 4 intotheself 2008.09.28 1,774 137
9996 어두운 농촌에 조그마한 희망 행사를 합니다. 2 미실란 2008.09.28 1,086 66
9995 사라진 명화들속에서 만난 베르메르 4 intotheself 2008.09.28 1,926 162
9994 풍림각을 아시나요?? 9 카루소 2008.09.28 3,468 163
9993 까치발 들고 하늘바라기......... 12 소꿉칭구.무주심 2008.09.27 2,153 49
9992 시공간을 두루 다닌 하루 2 intotheself 2008.09.27 1,474 134
9991 두번째 유럽여행.......발밑에 펼쳐진 아름다운 스위스...... 3 시간여행 2008.09.26 1,768 33
9990 연속극 "베토벤 바이러스"를 봤습니다^^ 2 청년 2008.09.26 1,775 24
9989 이 책-메트로폴리탄 미술관 1 intotheself 2008.09.26 1,677 237
9988 똑순이손잡고가?? 미션?? 10 카루소 2008.09.26 2,784 111
9987 둥이네집님...나이도 어린데 10 카루소 2008.09.26 2,690 96
9986 저...자랑질 좀 해도 되죠?~~~^^ 28 소꿉칭구.무주심 2008.09.25 3,499 55
9985 노을~! 1 민심은천심 2008.09.25 1,007 17
9984 해질무렵 빌딩사이로,,, 1 민심은천심 2008.09.25 1,134 41
9983 가을꽃 이미지예요~ 1 르플로스 2008.09.25 2,507 59
9982 하조도등대 2 웰빙 식품 2008.09.25 1,299 73
9981 조용한 카페에서의 일몰.... 2 샤이닝 2008.09.25 1,503 84
9980 nayona님의 터키음악 입니다. 22 카루소 2008.09.25 2,380 88
9979 오리아짐님!! 생일을 축하드립니다.*^^* 15 카루소 2008.09.25 2,364 110
9978 호박아 ~호박아~ 7 경빈마마 2008.09.24 1,603 45
9977 한 장의 추억담은 흑백 사진처럼 .......... 16 소꿉칭구.무주심 2008.09.24 2,238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