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양치기를 하라고?

| 조회수 : 1,162 | 추천수 : 0
작성일 : 2012-01-25 12:49:07

 

 

지난 주 수요일 이후 시간이 모자란 것은 아니었지만 역시 설 휴가가 끼어서 그런지

 

악기에 손이 가지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레슨을 빼먹을 수도 없어서 고민하다가 아침에 연습을 시작했지요.

 

벌 받으러 가는 심정이라고 할까요?

 

제대로 준비가 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부담감이 있어서 말입니다.

 

연습도중 갑자기 떠오른 말이 양치기였습니다.

 

양치기라니 그게 무슨 말일까 그 말을 맥락없이 들으면 아주 묘한 말이지만

 

고 3이 되는 사촌에게 보람이와 승태가 동시에 한 말이었답니다.

 

고등학교 3학년때는 가능하면 집에 늦게 들어올 것, 이유는 집에서의 유혹에 넘어가기 쉬우니까

 

그리고 특히 수학의 경우 질보다 양이 우선이라고 그래서 양치기라고 하더라고요.

 

양을 많이 늘이다 보면 어느 순간 수학 문제의 답이 보인다고요

 

그렇다면 다른 과목은?

 

사실은 입시에서 거의 모든 과목에 해당하는 말이지만 어려운 지문이 나와서 생각을 해야 하는 경우

 

양치기가 과연 맞는 방법인가는 예외라고

 

그러면서 고등학교 3학년때는 다른 생각말고 공부에 집중하라는 충고를 하는 장면에서 웃음이 저절로 터져나오던 시간이

 

생각납니다.

 

그렇게 말해도 마음에 새기지 않던 아이들이 이제는 마치 자신들이 그렇게 살았던 것처럼?

 

아니면 뼈아픈 후회가 되어서 그런지 몰라도 의젓하게 그렇게 충고하던 장면이라니!!

 

그렇다면 양치기의 법칙은 악기 연습에도 적용되는 것일까 갑자기 엉뚱한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도 역시 지나친 연습은 하기가 어려워서 잠깐 쉬러 방에 들어와서 음악을 틀어놓고 듣고 있습니다.

 

음악을 듣는 것만으로는 왜 만족하지 못하는 것일까, 늘 갈등하는 구조가 되풀이되는 순간이네요.

 

 

금요일 역사 모임에서 반둥세대라는 제목으로 4장으로 이루어진 발제 준비를 하고 있는 중입니다.

 

독립에 이르는 인도, 제 3 세계의 반둥회의, 그러니 이집트의 나세르,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

 

여기에 이어서 이스라엘의 독립에 이르는 과정과 중동전쟁,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를 둘러싼 싸움, 그리고 프랑스와 알제리의

 

전쟁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이야기가 들어 있었습니다.

 

그것을 한 번 읽어서는 무엇을 어떻게 짧은 시간안에 전달하면 좋을지 감을 잡을 수 없어서 이런 저런 자료를 찾다보니

 

역시 여기에도 양치기의 법칙이 적용이 되더라고요.

 

특히 인도의 경우는 이번에 3권의 책을 정독하면서 한 나라와 조금은 제대로 만나는 경험을 하게 되었습니다.

 

서로 다른 시각으로 씌여진 책을 읽는 일이 주는 충격과 그 이후에 갑자기 글이 확 들어오는 경험이 이어지면서

 

내가 알고 있다고 믿는 것의 근거에 대해서 생각을 하게 되었지요.

 

양치기는 기본이지만 그것이 전부가 될 수 없다는 것, 그것은 사료를 어떻게 해석하고 받아들이는가는 양으로 해결이 가능한

 

영역이 아니어서겠지요?

 

그래도 공부가 힘들다고 끙끙대거나 시작도 못하는 아이들에게는 이 이야기를 해주고 싶었지네요.

 

물론 연습에서 도망치고 싶거나 돌아와서 운동을 시작도 못하고 있는 제 자신에게도요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하늘재
    '12.1.27 11:09 AM

    ㅎㅎ 양(量)치기??....

    자제분들의 표현이 넘 재밌어서.....
    어떤분의 메모에 이런글이 있었어요..
    그리고 공감의 고개짓을 끄덕 끄덕~~~

    학습의 동의어는 반복 이라고... 결국 학습=반복...
    고로 양치기=학습=반복....등식이 성립 되나요??ㅎ

    암기>이해 라는 공식도 성립 될듯 하구요~~~
    배우시는 악기도 앙치기 하다보면 훌륭한 대가가 되실듯~~~~ㅎ

    그리고 아시죠??
    저 같은 그림의 문외한도...
    인투님이 양(量)치기 해 주시는 덕분에...........
    開眼...ㅎ 하고 있다는~~

  • intotheself
    '12.1.31 1:17 AM

    그런가요?

    덕분에 제가 더 고맙습니다.

    그림을 올리는 일을 통하여 서로 소통하고 그림에 눈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이 생긴다는 사실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5700 조명놀이중... 땡아저씨 2012.01.30 1,220 1
15699 [퀼트 옷] 나인패치 퀼트 옷 수선 3 배누리 2012.01.30 3,701 1
15698 예술or변태적인?사랑스러운?침넘어가는?눈돌아가는! 쿠키들 4 meeky 2012.01.30 1,677 1
15697 미리보는 24차 모임후기 사진2. 1 카루소 2012.01.29 2,431 5
15696 미리보는 24차 모임후기 사진1 1 카루소 2012.01.29 2,031 6
15695 사자섬 1 박전배 2012.01.29 1,144 0
15694 진짜 뉴스, 뉴스타파 1회 - 10.26 투표소 변경..선관위의.. 밝은태양 2012.01.28 863 3
15693 101things to learn in art school -5.. intotheself 2012.01.28 1,121 0
15692 산그리매 1 도도/道導 2012.01.28 1,342 0
15691 다은이네 이야기( 눈속에서도 잘자라고 있습니다~) 1 다은이네 제주벌꿀 2012.01.27 1,599 1
15690 24차 모임공지 14 카루소 2012.01.27 3,252 1
15689 당신이 아는 그대로예요 2 카루소 2012.01.26 2,095 0
15688 27일-모마에서 본 건축2 intotheself 2012.01.26 894 0
15687 27일-모마에서 본 건축 intotheself 2012.01.26 1,010 0
15686 요상한 놈들. 2 탐랑 2012.01.26 1,361 0
15685 섣달 그믐날 눈세상 선자령 2 wrtour 2012.01.26 1,463 2
15684 미안하지만..이미 잠자리의 신세계를 느껴버렸어.. 8 알토란 2012.01.25 2,681 0
15683 26일 모마- 모네에서 피카소까지 2 intotheself 2012.01.25 1,390 0
15682 양치기를 하라고? 2 intotheself 2012.01.25 1,162 0
15681 절대 그럴리가 없다고 2 카루소 2012.01.25 2,722 0
15680 다은이네 이야기(이쁜 마음~) 2 다은이네 제주벌꿀 2012.01.25 1,268 0
15679 제주올레 10코스~2편 10 제주/안나돌리 2012.01.23 2,399 0
15678 울집 강쥐를 소개합니다 8 루루 2012.01.23 2,258 1
15677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30발 쏩니다.) 25 카루소 2012.01.22 2,452 0
15676 기다림 2 어부현종 2012.01.21 1,49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