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법조계·학계·소비자단체 “광고주 압박 합법적 권리”

먀우 조회수 : 439
작성일 : 2008-06-20 19:51:06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6201811175&code=...

법조계·학계·소비자단체 “광고주 압박 합법적 권리”
입력: 2008년 06월 20일 18:11:17
  


ㆍ한나라·검찰·조중동은 “사이버 테러” 비난

광고주 압박운동을 놓고 보수언론과 네티즌들이 치열한 공방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한나라당과 검찰이 ‘조·중·동 구하기’에 본격 가세하면서 논쟁의 전선이 확대되고 있다. 여당과 보수언론은 이번 사태를 ‘사이버 테러’로 규정한 반면 네티즌들은 ‘소비자 주권운동’이라며 맞서고 있다.

조선·중앙·동아일보는 20일에도 네티즌과 포털사이트 다음을 비판하는 사설을 게재하며 공세 수위를 높여갔다. 조선일보는 “권위주의시대에 보여지던, 특정언론을 말살시키려는 폭력이자 사이버 테러”라고 주장했다. 중앙일보는 “포털이 돈만 좇아 우리 사회를 파괴하는 흉기가 돼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아일보는 정병철 전경련 상근부회장 인터뷰를 인용해 “시장경제에 정면도전하는 전대미문의 테러”라고 비판했다.

논쟁의 핵심은 크게 두 가지다. 소비자주권운동으로서 광고주 압박운동의 정당성 문제와 압박방법에 대한 위법성 문제다. 한나라당과 보수언론은 “특정언론을 겨냥한 테러일 뿐”라며 정당성을 부인하고 있다. 압박 방법에 대해서도 “협박을 통해 정당한 기업활동을 방해한다”며 불법이라는 입장이다.

반면 소비자단체·법조인 등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네티즌들의 견해에 동조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광고주 압박운동은 소비자 주권운동의 한 형태로 봐야 한다는 견해다. 한국YMCA전국연맹 임은경 소비자팀장은 “미국산 쇠고기를 판매한 홈에버를 불매운동 하는 것과 잘못된 보도를 하는 신문에 광고 싣는 기업에 대해 불매운동 하는 것과는 큰 차이가 없다고 본다”며 “불매운동은 (기업에) 가장 강력한 항의 표시를 하는 행위로 소비자들의 당연한 권리”라고 밝혔다.

한국소비생활연구원 이혜영 정책연구팀장도 “광우병 문제는 국민의 생명권과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소비자가 적극 나설 수 있는 권리가 있다”며 “(광고주 압박운동은) 소비자 운동의 방식과 범주가 시대에 따라 변화한 형태”라고 분석했다.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윤태진 부원장은 “과거 광고탄압 사태에 맞서 독자들이 광고를 실었던 사례와 비슷한 경우로 생각한다”며 “충분히 정당성 있는 소비자 운동”이라고 평가했다.

압박 방법에 대해서도 업무방해 등 위법성을 제기하기 어렵다는 견해가 많다. 민주사회를위한 변호사모임의 송상교 변호사는 “업무 방해 혐의로 형사처벌을 받으려면 허위사실 유포 여부, 위계(거짓)를 통한 기만행위 여부, 위력 행사 여부 등 3가지 요건이 성립해야 한다”며 “네티즌들은 보수언론이 왜곡 보도를 한 것에 항의를 하고 있는 점에서 허위사실 유포나 위계에 의한 기만행위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집단이 아닌 개인이 자발적으로 활동 중이고 광고 철수는 기업들 자체 판단이 작용한다는 점 등에서 위력을 행사했다고도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권영국 변호사도 “언론에 대한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가 사회적 지위를 이용해 광고주를 협박한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지금은 일반 개인들이 하는 차원이므로 물리력, 위력을 통한 업무 방해라고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서울중앙지법의 한 중견 판사는 “네티즌들의 행위에 위계나 위력이 있다고 보기 어려워 형사처벌이 어렵다”며 “소비자들의 여론 표현 방법의 하나라고 볼 수 있으므로 민사상 위법성 여부가 있다고 보기도 힘들다”고 말했다.

조선·중앙·동아일보에 광고를 실었다가 네티즌들의 항의를 받은 해당 기업들은 대체로 소비자들의 지적에 수긍하는 분위기다. 동국제약과 보령제약, 르까프, 신선설농탕, 농협 목우촌, BBQ 등 기업들은 홈페이지에 “앞으로 신중을 기하겠다”는 입장을 띄웠다. 르까프는 홈페이지에 “네티즌의 비판과 우려는 곧 우리 국민이 르까프를 아직도 애정이 담긴 시선으로 지켜보고 있다는 것으로 생각하고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최근 조선일보 기사 때문에 오히려 네티즌의 격려가 쏟아진 삼양라면 관계자는 “소비자의 힘이 강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며 “이런 지적과 응원은 더욱 신뢰받는 기업으로 거듭나라는 충고로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BBQ 관계자도 “네티즌, 소비자 여러분의 뜻은 충분히 이해한다”고 밝혔다.

<송진식·전병역·이주영기자>
- 내손안의 모바일 경향 “상상” 1223+NATE -

IP : 121.159.xxx.10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6.20 7:53 PM (211.108.xxx.251)

    진짜 신문을 만들었어야지..
    한심한 찌라시들아..

  • 2. ...
    '08.6.20 8:25 PM (211.187.xxx.197)

    우리나라 검찰의 현주소.

  • 3. 알바엔무플
    '08.6.20 8:28 PM (125.178.xxx.24)

    당연한 소비자의 권리에 족쇄 좀 채워보겠다던 조중동과 관보지키기에 나선 한날당등은
    이 시대의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는 무 뇌 집단인가?!

  • 4. 검찰도
    '08.6.20 8:35 PM (121.190.xxx.92)

    검찰이 아무리 권력의 하수인이라지만 이제 정권, 기업을 넘어 조중동의 하수인 노릇까지.....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6468 약사친구 10 인천한라봉 2008/06/20 1,561
206467 나 오늘 라면 사러갔다. 11 앗싸 2008/06/20 1,323
206466 저 회사에서 쫓겨날거 같아요 11 바다 2008/06/20 4,436
206465 마트 단상 그리고 정수기 질문 ... 12 참신한(신입.. 2008/06/20 723
206464 경찰청에 들어가보셨습니까?..'촛불집회'사실은 이렇습니다. ... 2008/06/20 748
206463 체벌이 남아있는 집단은 ? 5 착잡합니다... 2008/06/20 615
206462 너무감사해요님 임대차관련 질의 답변입니다. 권지산 2008/06/20 266
206461 우리는 모두 이승복인가? 7 딸기향기 2008/06/20 464
206460 법조계·학계·소비자단체 “광고주 압박 합법적 권리” 4 먀우 2008/06/20 439
206459 새로운 신문 ? 경향신문 사장 인터뷰 11 마이너 2008/06/20 916
206458 다음 백분토론에 전여옥이 17 나왔으면 좋.. 2008/06/20 1,426
206457 여의도KBS앞으로 갑니다 6 !!! 2008/06/20 561
206456 발톱무좀..전 손톱깍개랑 손톱 가는 거(?)로 해결했는데.. 5 2008/06/20 1,821
206455 카드결제금액이 엄청나게 줄었어요. 22 우와~~ 2008/06/20 2,594
206454 MBC 아홉시 뉴스에서 제 인터뷰를 했습니다. ^^; 36 조용한 녀자.. 2008/06/20 5,140
206453 조중동 광고기업항의전화.아무 문제없답니다 7 사랑과 행복.. 2008/06/20 692
206452 생강술만드는 방법 알려주세요. 2 ggg 2008/06/20 881
206451 ★ 조선일보에다가 대놓고 하고싶은 얘길 맘껏 적어주세요 - 현수막 ★ 47 ⓧPiani.. 2008/06/20 1,270
206450 귀 뚫으려면 어느 병원으로 가야하나요? 8 2008/06/20 1,777
206449 아놔~ 검찰이 단속한다는 기사를 보고 조선일보에 광고한 기업 리스트를 다시 올립니다 7 임영박 2008/06/20 937
206448 돈없고, 빽 없으니 이렇게 편할수가 ㅠ.ㅠ 5 나도 거지아.. 2008/06/20 1,007
206447 최신 유행 상품 쇼핑안하곤 못살아! 신상녀 납시오 - 너무해요. 7 D일보;; 2008/06/20 1,709
206446 냄비구입관련질문 5 새벽바다 2008/06/20 475
206445 간짬뽕 6 햇님 2008/06/20 922
206444 검찰청 게시판에 이렇게 썼어요 12 caffre.. 2008/06/20 1,000
206443 쇠고기는 더 이상 안전하지 않아요. 6 지니 2008/06/20 647
206442 [재협상] 소식입니다. 또 속았네요. 5 with 2008/06/20 1,150
206441 검찰청에 문의해서 위법인지 물어보아요^^ 3 마음 2008/06/20 375
206440 미국산 쇠고기 관보게재예정 4 ... 2008/06/20 389
206439 한가지 질문드리고 싶은게 있어요. 3 key784.. 2008/06/20 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