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의료법개정안에 관한 보건복지부의 해명-설명부탁

당연지정제폐지반대 조회수 : 417
작성일 : 2008-06-14 16:49:42
의료민영화,당연지정제폐지를 너무나도 반대합니다..

답답해서 가 본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해명글을 보니 또 잘 모르겠고 --;

해서 님들께 이 글속에서의 잘못된 점을 지적해 주시고 또 와닿는 설명 부탁드립니다..

아고라에 글을 올렸는데 아무도 설명을 안해주시네요..ㅜ.ㅜ

잘못된 점을 지적해 주시면 계속해서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 반대글과 전화 예정입니다..

우리가 해명글에도 반박이 가능해야 항의가 먹혀들지 않을까요...

안그럼 뭣도모르고 무조건 반대한다라는 소리만 듣게 됩니다..

아래는 보건복지부의 해명글입니다..잘아시는분들의 날카로운 비판부탁드립니다..

--------------------------------------------------------------------

의료법 개정안...사실을 알려드립니다!





의료법 개정 추진은 의료 민영화와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이번에 입법 예고된 의료법 개정안은 의료 소비자의 권익 증진 및 의료 경쟁력 강화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건강보험 민영화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의료법 개정 내용에 대한 국민 여러분의 오해를 해소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입장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힙니다.

□ 의료법 일부 개정안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이번에 입법 예고된 의료법 개정안은 2007년에 정부가 추진했던 의료법 개정안 내용 중 일부입니다. 이 중 의료소비자의 권익 증진 및 의료 경쟁력 강화와 관련하여 시급하게 개정이 필요하고 쟁점이 적은 조항을 다시 개정 추진하는 것입니다.

○의료법 개정안은 2007년 5월 국회에 제출되었으나, 17대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하고 국회 종료와 함께 폐기되었습니다. 이번 18대 국회 개원에 맞춰 다시 입법 절차를 밟은 것에 불과합니다.

○ 법안의 주요 내용
- 건강보험 비급여비용에 대한 고지의무
- 거동불편 환자의 처방전 대리수령 허용
- 양한방 진료를 동시에 받을 수 있도록 개선
- 외국환자 유치를 위한 유인·알선행위 허용
- 의료법인간 합병제도 도입
- 의료법인 부대사업 범위 규정
- 의료기관 종별구분 개선
- 양한방 복수면허자의 의료기관 개설
- 의료기관 명칭표시에 신체부위·외국어 사용 허용

□ 이번 의료법 개정 추진은 의료 민영화와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 보건복지가족부는 건강보험 민영화는 절대 추진하지 않겠다고 이미 수차례 입장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 건강보험 당연지정제를 근간으로 한 의료 제도의 틀을 계속 유지하겠다는 것이 복지부의 명확한 입장입니다.

□ 외국환자 유인·알선 허용은 의료서비스의 경쟁력을 높이고 외화 수입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 태국은 연간 1,500,000여명의 해외 환자를 유치하고 있고, 싱가포르와 인도의 경우에도 활발한 외국 환자 유치를 통해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는 이들 동남아 국가에 비하여 의료 수준이 높지만, 해외 환자 유치를 위한 유인·알선 행위를 법률로 금지하고 있어서, 작년의 경우 16,000여명 유치에 그쳤습니다.

※ 건강관련 국제수지 현황 : 수입[572억원] - 지출[1,237억원] = 665억 적자

○ 개정안은 국내 의료기관의 해외 환자 유치를 돕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얻어지는 수익은 의료 기관에 재투자되어 내국인 환자의 편익을 돕기 위하여 사용될 것입니다.

○ 해외 환자 유치 확대를 통해 외화 수입을 증대시키고 이를 국내 의료 발전에 이용하게 됨으로써 그 혜택은 내국인 환자들에게 돌아가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 이것은 영리 목적으로 내국인 환자의 유인·알선까지 허용하는 것이 아니며, 더군다나 의료 민영화와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습니다.

□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비용에 대한 고지 의무는 환자의 의료기관 선택권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 환자에게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진료비용을 건강보험 비급여비용이라고 합니다.

○ 이번 개정안에서는 의료기관이 비급여 진료비용을 의료소비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책자, 인터넷 등을 통해 사전에 알리도록 규정하는 것입니다.

○ 이를 통해 의료소비자가 병원을 선택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게 하고, 진료비용을 사전에 예측 가능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 처방전 대리수령 허용은 환자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입니다.

○ 현재는 의사가 환자에게 의약품을 투여할 때 직접 진료한 환자에게만 처방전을 발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만성질환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단순히 처방전을 재발급받기 위한 경우에도 반드시 의료기관을 직접 방문해야 합니다.

○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환자를 진료한 의사가 의학적으로 위험성이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대리인인 보호자에게 처방전을 발급해 줄 수 있도록 규정하는 것입니다.

□ 양한방 진료 협진은 의료소비자의 편의 제공을 위한 것입니다.

○ 현재 의료법에서는 병원이 한의사를 고용할 수 없고, 한방병원이 의사를 고용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때문에 병원을 찾은 환자가 양방과 한방 치료를 한번에 받고 싶어도 이것이 불가능하여 불편을 호소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 개정안은 양한방 진료를 한 곳에서 동시에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의료소비자의 불편을 해소하고 장기적으로는 의료 발전을 위한 것입니다.

□ 의료법인간 합병은 의료서비스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위한 것입니다.

○ 현재 의료법에는 의료법인간 합병 절차에 대하여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비영리법인인 의료법인이 경영상 어려움에 처할 경우 해산하는 것 말고는 다른 청산 절차가 없습니다.

○ 이는 같은 비영리법인인 사립학교법인과 사회복지법인의 경우, 합병 절차를 통해 다른 법인과의 합병으로 경영을 지속시킬 수 있는 점과 대조됩니다.

○ 의료법인이 경영난으로 해산하는 경우, 운영하던 의료기관이 폐업할 수밖에 없게 되면 국민들의 입장에서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하게 됩니다.

○ 따라서, 지속적인 의료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의료 진료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의료법인간 합병 절차를 규정하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이는 의료법인간의 합병에 국한되기 때문에 대학병원이나 동네의원들은 제외됩니다.

□ 의료기관 명칭 표시의 자율화는 의료소비자의 선택권 증진을 위한 것입니다.

○ 현재 의료기관의 명칭은 외국어 사용이 원천적으로 금지되어 있고, 신체기관과 질병 명칭을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 명칭 표시에 대한 제한으로 인해 소비자의 의료기관 선택권에 제한이 가해지고, 외국인환자가 국내 의료기관을 선택할 때에도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의료기관 명칭에 외국어 명칭도 한글과 병행하여 표기할 수 있도록 하고, 신체부위와 질병명도 일부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입니다.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범위를 대통령령으로 위임하되 무분별한 부대사업 행위를 막기 위해 필요한 규제를 도입합니다.

○ 현재 전체 병원의 26%에 해당되는 비영리 의료법인에 대해서만 부대 사업의 범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의료법인의 부대사업에 대한 과도한 제한을 풀고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맞게 규제할 수 있도록 구체적 범위의 결정을 대통령령으로 위임하려고 합니다.

- 예를 들어 의료법인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한 노인요양시설을 부대사업으로 할 수 없고 환자들에게 숙박을 제공하기 위한 호텔업도 할 수가 없는 실정이므로 이러한 부분들을 허용하려는 것입니다.

- 시민단체는 장관이 마음대로 결정하기 위해 대통령령으로 위임하려 한다고 주장하지만 대통령령 역시 입법예고, 국무회의 심의 등을 거쳐 결정되는 것으로 장관이 임의적으로 정할 수 없는 사항입니다.

○ 또한 시민단체는 의료 상업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주장하고 있으나 오히려 의료법인의 부대사업용 재산이 전체 의료업 재산의 50%를 넘지 못하도록 하고, 과도한 부대사업에 대하여는 영업정지를 명할 수 있도록 규정하여 무분별한 부대사업을 막기 위한 규제를 도입했음을 분명히 알립니다.

○ 일부에서는 부대사업을 전면허용하여 MSO(병원경영지원회사)가 영리병원 네트워크를 설립하도록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현행 의료법하에서는 MSO가 병원의 지분을 보유하고 경영에 관여하는 것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습니다.

□ 의료기관 종별 구분 개선은 다양한 형태의 특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 현재 의료기관 종류에 관한 구분은 단순한 병상 기준으로만 나누어져 있어 다양한 형태의 의료서비스로 분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개정안은 의료기관을 의원급과 병원급으로 분류하고, 병원급을 다시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종합병원으로 구분하여 특화된 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것입니다.

○ 따라서, 이번 종별 구분 개선은 동네 병원의 존폐와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습니다.


문의 보건의료정책과 02)2023-7296
IP : 220.75.xxx.150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08.6.14 4:57 PM (221.147.xxx.52)

    ○ 태국은 연간 1,500,000여명의 해외 환자를 유치하고 있고, 싱가포르와 인도의 경우에도 활발한 외국 환자 유치를 통해 경제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그렇다 하더라도 태국과 인도의 자국민들이 어떤 의료혜택 받고 있는지 설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외자유치 이전에 자국민들을 위한 보호가 더중요하니까요.

  • 2. 당연지정제폐지반대
    '08.6.14 5:03 PM (220.75.xxx.150)

    퍼왔습니다..

    정부가 제주도에 영리병원설립을 허용했는데 이를 두고 정부가 의료민영화에 시동을 걸었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제주도를 시발점으로 삼아서 영리병원을 전국으로 확대하는 것 아니냐는 건데 정부는 일단 부인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달 초 영리병원을 허용해 달라는 제주도의 요구를 받아들여 관련법을 다음 달 초 입법예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리병원은 병원에서 돈을 벌어 투자자들에게 이익을 남겨줘야 하기 때문에 일반 주식회사와 성격이 비슷합니다.

    따라서 이런 영리병원이 늘어날수록 환자들이 내야 할 의료비는 더 커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건의료단체들은 제주도에 허용된 영리병원이 인천이나 광양, 군산 등 다른 경제자유구역으로 확대될 수 있다며 영리병원 전면허용을 위한 단계를 정부가 착실하게 밟아가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비싼 병원 때문에 민간보험 가입자가 늘어나고 따라서 건강보험이 위축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저는 이번 정부와 제주도의 영리병원설립 허용을 강력히 반대합니다. 이를 통해 전국적으로 확대시키는 분위기 조성하려는 듯 보여서 입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왠지 의료 민영화가 되어버릴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펌)

  • 3. 복많이
    '08.6.14 8:41 PM (121.189.xxx.159)

    어제 제주도청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 어떤분이(의료민영화 반대)
    의료민영화에 대한 질문에 담당공무원이 답변글중에

    "앞으로 3단계 제도개선 과제와 관련하여
    국내영리법인 병원허용 여부에 대해서는
    충분한 의견수렴을 거쳐
    진지하게 검토한 후 확정시켜
    나아갈 계획임을 알려드립니다"라고 했는데

    윗님의 글중에 "제주도의 요구를 받아들여...(?)"
    그럼 벌써 의견수렴과 진지한 검토는 다 끝나고 결정이 난건가요?
    저도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싶습니다.
    어떤방법으로 해야할지 난감하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202903 여러분!! 조선에서 82쿡에 공문보냈어요 9 큰일이에요 2008/06/14 1,130
202902 웃기시네 20 별.. 2008/06/14 1,147
202901 최시중 탄핵 서명 10 퍼옴 2008/06/14 409
202900 헉! '오피스텔녀'가 KBS이사였군요,, 6 명박사형 2008/06/14 2,983
202899 저는 지금의 82가 더 좋습니다. 11 [명박퇴진].. 2008/06/14 763
202898 소고기재협상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거였네요. 3 꼭 읽어보세.. 2008/06/14 543
202897 마늘초절임 맛있게 만드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3 방법 2008/06/14 506
202896 촛불집회 외신들은 어떻게 보도했나(펌) 3 ^^ 2008/06/14 432
202895 저도 숙제 참가합니다. 12 긴급제안 2008/06/14 596
202894 공지글과 관련해서...걱정할것 없습니다.^^ 6 ^^ 2008/06/14 709
202893 두려운 집들이 고수님들 조언좀 부탁해요~ 4 느린여자 2008/06/14 394
202892 물 끓여드시는분???티백형으로 사다가 드시나요?? 11 2008/06/14 959
202891 드디어 올 것이 왔네요. 29 걱정 2008/06/14 3,552
202890 의료법개정안에 관한 보건복지부의 해명-설명부탁 3 당연지정제폐.. 2008/06/14 417
202889 양말의 구린내 제거법이 궁금해요 1 bb 2008/06/14 386
202888 초등학교 성적은 아무 소용없는거 진짜 맞는지요? 10 bb 2008/06/14 1,329
202887 '이제그만' 은 알바글인데 왜 자꾸 낚여드세요? 1 알바퇴출 2008/06/14 312
202886 초등학교 자녀분 학교홈피에 관련.. 5 해오름 2008/06/14 450
202885 직장생활..조언좀해주세요. 1 고민. 2008/06/14 430
202884 우리도 [명박퇴진]같은 것을 붙이면 좋겠어요 2 알바퇴출 2008/06/14 268
202883 오늘집회는 어디로(KBS본관, 광화문 중?) 6 아꼬 2008/06/14 391
202882 초등 1학년 딸아이가 놀이터에서 놀다가 애완견한테 물렸는데요 7 지금요,.... 2008/06/14 695
202881 울아가 몸무게가 안늘어요 5 돌쟁이엄마 2008/06/14 539
202880 분당에 수학학원은 어디? 1 수학학원 2008/06/14 546
202879 명박이 마누라야, 마스크 껴야지 7 참내 2008/06/14 1,679
202878 오늘은 숙대 학생들이 한겨레 1면에 광고를 냈네요... 2 배운뇨자 2008/06/14 1,160
202877 박근혜로 튄 ‘고엽제’ 불똥...복당녀가 아니라 고엽녀? 21 -.- 2008/06/14 1,283
202876 돼지고기 먹지마세요. 39 미국산 2008/06/14 6,630
202875 한나라 티비 켜놓기 운동합시다-이거 한나라당 돈 마니 나가는겁니다 11 사탕별 2008/06/14 799
202874 사상 최강의 새로고침 프로그램-업데이트 버젼이에요 4 ㅋㅋㅋ 2008/06/14 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