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다양한 빛깔의 바로크 (베르메르)

| 조회수 : 2,385 | 추천수 : 129
작성일 : 2008-12-12 22:55:21


   카라바지오 그림 다음에는 루벤스를 보려고 했었습니다.

그런데 마침 오늘인 금요일 반룬의 예술사 읽기 모임이

있는 날이라 서울나들이가 있어서 세종문화회관에서

루벤스 그림을 볼 수 있는 날이라 그 전시를 보고 나서

마음속에 이미지가 생긴 다음이 좋겠다 싶네요.



마침 오랫동안 듣지 못하던 음반 guitar and the moon을

틀어놓고 보칼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면서 기타소리를

듣고 있는 중이라서 베르메르 그림을 골랐습니다.



이상하게 원화로 제대로 만날 기회를 못 갖는 화가중의

한 명이라 더 애타게 그의 그림을 볼 날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기도 하지요.



17세기의 네덜란드,개신교를 선택한 나라에서는

교회에서 성화의 수요가 없어서 화가들의 경우

일감이 확 줄어들 우려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상업으로 성공한 브르주아 계급들이 자신들의

집에,혹은 그들이 가입하고 있는 조합에 걸어 둘 그림을

주문하게 되면서 풍경화,초상화,정물화,그리고 집단

초상화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고요.

이 그림에서도 버지널이란 악기앞에 서 있는 여인이

있는 이 방에만도 여러 점의 그림이 걸려있는 것에

눈길이 가네요.








당시 네덜란드에서 분 튤립열풍,그것이 초래한 광풍과

몰락의 이야기를 오늘 새삼 떠올리게 됩니다.

지금 읽게 되면 과연 어떻게 그런 일이 가능했을까 의문이지만

사람의 한살이는 이성적으로만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상당히 많지요.

튤립구근,그것도 병든 구근이 훨씬 아름다워서

집 한 채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구근을 사고 팔았던 시대

그런데 생각해보면 금융상품으로 인해서 벌어지는

희비도 마찬가지겠지요?







지도를 보니 생각이 나는군요.

지금 아이들과 함께 읽고 있는 책중에 과학의 배꼽이란

책이 있습니다.

공부가 생겨난 이야기란 부제가 붙은 아주 재미있는

책인데요,처음에는 과학의 배꼽이란 제목에 별로

흥미를 갖지 못하던 아이들이 막상 읽기 시작하자

태도가 변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면서 함께

읽고 있지요.

탈레스가 살던 시기에 아낙스만드로스란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는 말하자면 지금의 빅뱅에 해당하는 이야기를 하거나

인간의 조상은 물고기라는 주장을 펴기도 합니다.

황당하다고요?

사실 그는 그 시기에 벌써 다윈의 진화론에 해당하는

이야기를 한 셈이라서 놀랍다는 생각을 했지요.

그런데 그가 이집트,바빌로니아,심지어는 인도까지

여행을 한 다음 그린 지도가 책에 나와 있었습니다.

그 당시 그리스 지식인들이 생각한 세상의 끝이

바로 인도였다고 하더군요.

이 그림속의 지도를 보고 있으니 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도 얼마나 서로 다른 세계속에서 사는 것일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드네요.



웅진 주니어에서 출간하기 시작한 시리즈중에

지식의 사슬이란 제목으로 나온 책이 두 권 있습니다.

한 권은 이미 출간되어서 국사시간에 세계사 공부하기

일종의 통합교과를 시도한 책인데요 어른들 수업시간에도

그리고 방학특강에서 아이들하고도 함께 읽은 책입니다.

그래서 후속편이 나오길 오랫동안 기다렸는데

드디어 과학시간에 사회공부하기란 제목으로 두 번째

책이 나왔습니다.

어제 처음 장을 읽어보니 그리스 시대에 이미 원자론이

이야기되었는데 왜 18세기에 이르러서야 그 이론이

받아들여지게 되었나를 참 알기쉽게 설명을 했더군요.

과학과 종교의 관계,과학과 시대의 관계가 잘 설명되어

있어서 과학서적이라면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해서

일종의 컴플랙스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제게도

이 책은 낯선 세계로의 진입장벽을 낮추어 주었습니다.

저자들 ( 두 사람)은 과학이 과학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사회속에서 어떻게 거부되고 받아들여지는가를

아이들에게 보여주고 싶었던 모양입니다.

17,세기에 과학과 종교가 대립하기도 한 반면에

과학이 열렬히 추구되는 시기이기도 했다는 것을

읽으면서 책속의 도판에 실린 블레이크의 뉴턴을

다시 보게 되었지요.

그렇게 예상하지 못한 공간에서 만난 블레이크가

신기하기도 하고,이렇게 연결해낼 수 있는 저자들의

능력이 돋보이기도 해서 나머지를 읽는 일이 기대되네요.

고등학생들이 읽으면 참 도움이 될 책이라고 강력하게

추천할 수 있답니다.




베르메르의 그림을 더 보고 싶지만 벌써 일어나서

준비하고 나가야 할 시간이네요.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intotheself
    '08.12.12 10:56 PM

    아침에 글을 쓰고 나서 글이 사라져버려서 없어진 글이라고 체념을 하고 나갔는데요

    밤에 들어오니 그대로 있어서 놀랐습니다.베르메르 그림 함께 보려고 늦은 글,올려놓았습니다.

  • 2. 카루소
    '08.12.13 1:06 AM

    download.wma
    올려야할 음원이 없어서...네덜란드 기타 트리오의 "솔베지송" 연주음악을 올려봅니다...

  • 3. 베로니카
    '08.12.13 7:31 AM

    좋은 글, 좋은 그림 고맙습니다..

  • 4. 순이
    '08.12.20 2:25 PM

    저도 진주귀걸이한 소녀 영화보고 베르메르에 대해 관심가져졌었는데...아주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솔베이지송도 감사히 듣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0451 우리도 연리지가 되어 1 어부현종 2008.12.14 1,509 69
10450 카루소님, 부탁드립니다 5 도그 2008.12.14 1,420 70
10449 다양한 빛깔의 바로크 (17세기 네덜란드의 그림들) intotheself 2008.12.14 2,227 167
10448 서양배 3 조은자두 2008.12.14 1,219 49
10447 금요일,역시 금요일 intotheself 2008.12.13 1,194 142
10446 다양한 빛깔의 바로크 (베르메르) 4 intotheself 2008.12.12 2,385 129
10445 과수농업 선진국 일본에선? 2 조은자두 2008.12.12 1,105 53
10444 행님나무 4 스페셜키드 2008.12.12 1,586 72
10443 겨울바다 앞에서 5 안나돌리 2008.12.12 1,575 106
10442 카루소와 함께하는 체험 삶의 현장!! 2 1 카루소 2008.12.12 2,820 213
10441 카루소와 함께하는 체험 삶의 현장!! 1 2 카루소 2008.12.12 2,747 211
10440 넘 아름다운 곡이에요 '나나무스꾸리-세레나데'- 2 정직먹거리 2008.12.11 1,265 16
10439 커피한잔과 들으면 더 좋을노래 '나나무스꾸리- only love.. 4 정직먹거리 2008.12.11 2,561 26
10438 대게와 어부의아내 반영 2 어부현종 2008.12.11 1,960 66
10437 다양한 빛깔의 바로크 (카라바지오) 1 intotheself 2008.12.11 1,892 126
10436 저의 졸업작품 발표을 앞두고.... 7 금순이 2008.12.11 1,496 33
10435 복숭아의 변신은 무죄? 4 조은자두 2008.12.10 1,529 47
10434 돈 맥클린의 노래,고흐의 그림 4 intotheself 2008.12.10 8,297 2,524
10433 오늘은 이렇게 보내고 싶습니다.~ 2 안나돌리 2008.12.10 1,962 98
10432 봄을 기다리며-분재복숭아 개화 조은자두 2008.12.09 1,182 38
10431 트리를 만들었어요...*^^* 12 카루소 2008.12.08 2,549 111
10430 시켜만 주신다면 .... 2 coolguy 2008.12.08 1,204 56
10429 이런~~~ 메뚜기도 한 철이라는데... 9 봉화원아낙 2008.12.08 1,421 54
10428 호정원 유기농 배추 김치를 담았습니다. 6 호정원 2008.12.08 1,685 33
10427 마음이 따뜻해지는 책이야기 1 intotheself 2008.12.08 1,733 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