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박을넣은황태국] [급~시금치국]

| 조회수 : 6,011 | 추천수 : 107
작성일 : 2010-10-08 23:54:12

[박을넣은 황태국]





마지막 더위가 끝나가는 여름 끝자락 어느날  동네 텃밭에서 사온야채 사진입니다.

오이가 특히나 맛있었던 기억이 나네요.



파는 밭에 심어져 있을때 색그대로 시퍼러면서도 하얀분이 아직도 그대로 있었습니다.




그날 함께 사왔던  박인데  찌개에 몇번 넣어 먹고 요만큼 남았네요.




위의 사진은 무대신 박을 게찌개에 넣었던 사진입니다.




사실은 마른 박나물을  간장에 졸여서  우엉대신  김밥에는 넣어 보았지만
생박은 처음 사보는것이라서
아주머니 생박은 어떻게 먹나요? 라고 물으니.
박을 무대신 요리에 넣어 보면 좋을 거라고 말씀하십니다.
그러시고는 무대신 황태국에 넣어 먹으면  시원할거야! 하고 덧붙이시더군요.



그래서 오늘은  박을 얇게 썰어서  황태국에 넣고 끓이기로 합니다.



먼저 얇게 썰은 박을 다싯물을 넣고 끓입니다.


황태포를 준비합니다.

오늘은 맑은 지리처럼 끓일것입니다.



황태포를  물에 살짝 적신후 깍둑 썰기로 썰어 줍니다.

길게 찢어주어도 좋지만  이렇게 깍둑 썰어서  황태맑은국을 끓여도 별미입니다.




오늘은 쪽파를 준비했습니다.



황태가 단백질이 풍부하니  거품도 자글자글  올라옵니다.





박도 투명하니 잘익었고  국물도 시원하고 황태 씹는맛도 있고 ...

사실, 박은  아직은 무슨 맛인지는  잘모르겠고 먹고 나니 기억도 잘 안나네요.^^

아무튼 깔끔하고 시원한 맛입니다.



남은 황태국은  다싯물 조금 더넣고  계란도 풀고 해서  한번 더 식탁에 올렸습니다.



계란이 들어가니  구수하고  부드러운 맛입니다.


[급~시금치국]

아침에 시금치국을 아주  급히 끓이는 방법입니다.


라면 끓이는  정도의 시간안에  시금치 다듬기, 씻기, 끓이기 까지  하려면
다듬고 자시고  할수 없으니  묶인채로 뿌리부분을 싹둑  잘라 줍니다.
짤려나간 시금치 끝부분에 아쉬움이  조금 남기는 하지만,
안먹는것보다 백배나 나은게야~ 하면서 자기합리화를 해주면 됩니다.

물론  새댁님들은  어르신들 보시기 전에  하셔야 합니다.
어르신들께서 혹시나 보시게된다면  
우리 새댁이가  기둥뿌리  잘 보존 할까나? 하고 걱정 하실지도 모르니까요! ^^


씻을때도  큰양푼에 물을 받아놓고는  바가지로  물을 얼른 떠가면서  씻어줍니다.




한쪽에서는  다싯물을 내고 있어야 겠지요.


화양연화님께서  매콤하니 끓인 시금치국이  맛나 보여서  저도 된장과 고추가루를 풀어주었습니다.


시금치 양파조금 넣어줍니다.


시간을 두고 푹 끓일수 없으니  압력밥솥에 속성으로 끓여 줍니다.


시금치가 푹 잘익었습니다.


[급~시금치국] 완성입니다.




[급~시금치국]이있는[ 급~ 아침상 ]되겠습니다.



momo 께서 물으신
김치뒤 반찬은 ....
당면이 들어간 어묵입니다.
계란물  묻혀서 전부치듯  구어서  반찬으로 먹으니  제법 맛나더군요.





마지막 두가지...

구운김을 밥에 싸먹을때  어떻게 드시나요?



제가 어렸을때  우리형제들은 이렇게  많이 먹었 었는데....







언젠가  들었던 교양강좌에서  강사님께서 하신 말씀이 생각나는 밤입니다.

사람의모습은  네가지정도로 나누어 볼수 있다구요.

남들도 알고  나도 아는 나의모습
남들만 아는 나의모습
나만이 알고 있는 나의모습
남들도 모르고 나도 모르는 나의모습

이중에서 남도 알고   나도아는 나의모습부분이 많을수록  건강한 삶을 살수 있다구요.

요즈음 현대인들은  어떤 모습 부분이  더 많은것일까?
말기환자치료는  어떻게 하는것이 좀 더  좋은것일까?







노니 (starnabi)

요리와 일상....자기글 관리는 스스로하기.... 회사는 서비스용 설비의 보수, 교체, 정기점검, 공사 등 부득이한 사유로 발생한 손해에 대한 책임이..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소년공원
    '10.10.9 12:49 AM

    크하하 어르신들 모르게 시금치 다듬기.
    이것이야말로 새댁들에게 꼭 필요한 팁이네요 ^__^

    과정샷 찍어가며 음식만들기가 쉽지 않던데, 수고에 감사드립니다.

  • 2. momo
    '10.10.9 4:13 AM

    아우~
    노니님 글에는 항상 웃음이 있습니다.
    그리고 맛있는 음식도 있고요.
    감사합니다 ^_^

  • 3. momo
    '10.10.9 4:17 AM

    참 그런데,
    금치 위에 있는 노란 것은 무엇인지요?
    오이지 같긴 한데,,,, 급 궁금합니다.

  • 4. 노니
    '10.10.9 7:12 AM

    소년공원님
    어르신들 모르게....중요!
    과정샷... ㅎㅎㅎ 급~시금치국은 급~흔들렸네요.^^
    댓글 감사해요.

    momo님
    항상 따뜻한 댓글 감사드려요.
    사진 올려놓았습니다.
    당면넣은 어묵입니다.
    아이들에게 당면은 항상 옳은것 같습니다.

  • 5. 또하나의풍경
    '10.10.9 7:33 AM

    ㅋㅋ 저는 부추도 그렇게 해요 ㅎㅎ
    시금치국 너무 맛있어보여요 ^^

    남들도 알고 나도 아는 나의 모습...
    저도 앞으로 더 그렇게 하려고 노력해야겠어요

  • 6. 하늘재
    '10.10.9 9:25 AM

    오데로 가야 저 박을 살수 있을래나요?
    음식도 음식 이지만,,
    오랫만에 보는 "박.." 정말 반가운걸요!!

    그리고 건강한 삶에 대한 명료한 멘트!!
    끄덕 끄덕합니다..
    어제는 그 분의 부음을 듣고 종일 ??? 에
    마음이 무거웠거든요,,

    오늘 노니님 얘기로 마무리 했습니다...ㅎ

    근데요,,,
    "가시나무 새" 가 항상 맘속에 도사리고 있으니~~~

  • 7. 곰씨네
    '10.10.9 2:07 PM

    아~박이 들어가면 어떤 맛일까요~? 넘 궁금해요~
    "급"시금치국 매의 눈으로 공부하고 갑니다.
    2교시 "국"영역에 들어가봐야겠어요~~

  • 8. annabell
    '10.10.9 4:25 PM

    저도 박은 한번도 먹어본 적이 없어서 맛이 정말 궁금해요.
    그리고 여기 시금치들은 뿌리없이 잎들만 있어서 급시금치국에 딱이네요.ㅎㅎ

  • 9. 송희숙
    '10.10.9 10:17 PM

    저희는 제사때마다 어머님께서 탕국에 박을 넣으시는데요..
    저도 시집와서 박이 이렇게 맛있다는걸 알게되었네요.^^

  • 10. 돌돌이
    '10.10.11 2:05 AM

    오홍..박이란 말에 클릭했어요~~

    박나물 늠 좋아하거든요~ 저렇게 국으로도 해먹는구낭~~~

    박을 살수있는 텃밭이 가까우신 님이 심히 부러울 따름입니다...

  • 11. 뭉게구름
    '10.10.15 10:44 AM

    외국에서 살다보니 명절에 한국 가보는게 아련한 바램이었는데
    이번 추석때 한국 다녀왔어요
    그때 황태채 사가지고 온게 있어서 안그래도 저녁으로 황태국을
    끓였어요 엄마가 주신 들기름에 볶고 작은올케언니가 싸준
    조선간장 흐를까봐 꽁꽁 싸서 가지고 왔는데 그 세가지만 넣고
    끓인 황태국은 더 말할것이 없네요
    퇴근한 남편이 국을 먹으면서 너무 시원하고 맛있다고 하네요
    외국 살다보니 한국에서는 조선간장 냄새가 너무 싫었는데
    내가 음식 만들다보니 조선간장의 필요성을 느끼게 됐는데
    사먹는 조선간장은 역시 아니였어요
    역시 집간장이 최고예요 작은 물병으로 한병가지고 왔는데
    더 가지고 올걸 후회가 되네요

  • 12. 독도사랑
    '11.11.17 3:40 PM

    진짜 맛있어보이네요 ㅎㅎ 너무 먹어보고싶어요 ㅋㅋ

  • 13. 독도사랑
    '11.11.17 3:41 PM

    진짜 맛있어보이네요 ㅎㅎ 너무 먹어보고싶어요 ㅋㅋ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2900 순덕이엄마의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 가을호.^^; 49 순덕이엄마 2010.10.13 34,353 181
32899 딸의점심~(16편). 가지의 추억 .~팔리는 기억. 17 매력덩어리 2010.10.13 7,845 76
32898 콩나물밥, 춘천 닭갈비::단촐하되 화려한 밥상으로 기쁜 날 25 프리 2010.10.13 14,296 94
32897 날씨가 많이 쌀쌀해져서 만두 만들어 봤어요. 49 사막여우 2010.10.13 9,844 73
32896 간단한 반찬 '땅콩조림'레시피와 오늘 저녁밥상 27 보라돌이맘 2010.10.12 21,918 147
32895 슬로바키아 한식경연대회 7 개구리 2010.10.12 7,198 88
32894 조촐한 홈파티음식 몇가지... ^^;; - >')))>.. 26 부관훼리 2010.10.12 20,483 112
32893 딸의 점심입니다~(15편) 13 매력덩어리 2010.10.12 8,099 73
32892 오랜만에 키톡... ^-^;; 32 LittleStar 2010.10.12 21,187 1
32891 2010 글로벌 아마추어 요리대회 출품작 >_< Ann 2010.10.12 5,149 111
32890 3일간 먹은 저녁과 "세상에서 제일 치사한" 엄마 9 어림짐작 2010.10.12 8,089 99
32889 스위스 사람들한테 한국 음식 전수하기^^:: 24 완이 2010.10.12 14,275 108
32888 10월의 아침 ,저녁 몇가지 16 노니 2010.10.12 7,978 90
32887 속 든든했던 월요일 아침상입니다.^^ 32 보라돌이맘 2010.10.11 16,680 121
32886 잔소리 9 오후에 2010.10.11 5,924 91
32885 흥미진진한 야구보면서 밥해먹기:: 부대찌개, 호박쪽파부침개, 계.. 23 프리 2010.10.11 11,613 100
32884 이번 주말에는 김밥에 도전했습니다 :D 12 Ji 2010.10.11 9,895 110
32883 일욜 저녁인데 뭣들 하실라나...^^;;; 49 순덕이엄마 2010.10.10 22,805 132
32882 집에서 튀기는 후라이드치킨 + 양념치킨.. 텃밭구경 20 꿈꾸다 2010.10.10 15,977 139
32881 배추도 비싼데 말 안듣는 와이프 대신 열무 물김치 담그기 10 이프로 2010.10.10 7,496 66
32880 상추의 역할은 '깔맞춤'- 4 어림짐작 2010.10.10 6,770 111
32879 기침,감기에 좋다는 배중탕만들기 5 얼떨떨 2010.10.09 8,735 87
32878 잔반처리 비빔밥, 후다닥 스파게티와 김치찌개의 주말 9 프리 2010.10.09 9,392 72
32877 살림13일차새댁 - 복숭아크럼블과 얼큰이들 4 곰씨네 2010.10.09 7,271 116
32876 [박을넣은황태국] [급~시금치국] 13 노니 2010.10.08 6,011 107
32875 심 야 식 당 놀 이 + 된 장 질 ^^; 49 dolce 2010.10.08 9,510 100
32874 주말을 맞는 마음...그리고 오늘 아침밥상이야기 37 보라돌이맘 2010.10.08 18,435 144
32873 집에서 직접 떡볶이 떡 만들기~ 38 환희맘 2010.10.08 29,596 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