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저축도 못하고 살았는데 이제 남편 월급이 조금 올라서 저축좀 할려는데 어떤걸 들어야 할까 고민 이네요.
일단 연말 정산시 세액 공제 받는 장기주택마련저축부터 해야하나요?
다른 분들은 어디 은행에 하고 계신지요? 이율이 높은데가 hk상호저축은행 인가본데 현재 6.7%네요.
시중은행들은 5%미만인데가 많구요. 장기주택에 일부 저축하고...
이번에 이사하면서 전세자금대출을 받았는데 2년동안 돈을 모아서 2년후에 갚아야 하는데 2년동안 적금을 들어서 2년후에 갚아야하는지 아니면 일이백이라도 모일때마다 중도상환을 해야 좋은건지 모르겠네요.
대출은 4.5%짜리 거든요.이런거 아시는분 좀 한수 알려주세요.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은행비과세상품
궁금해요.. 조회수 : 591
작성일 : 2008-06-20 15:19:52
IP : 125.181.xxx.3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1. 와.
'08.6.20 3:39 PM (58.78.xxx.23)고정대출이죠? 그렇게 저렴한 대출이면 모아서 갚으시는게 이득아닌가요?
2. 반찬걱정
'08.6.20 3:48 PM (121.179.xxx.201)저축이자 5%와 대출이자 5%는 현실적인 금액에서 차이난다고 들었는데요.
빚갚는 게 더 우선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세액공제용 저축(연금관련이나 장기주택관련 저축 내지 펀드)은 무조건 필수이고요.3. 아아
'08.6.20 3:54 PM (203.232.xxx.23)일단 연말 정산을 위하시고 무주택이시면 청약 저축이 1순위...
장마는 연봉 4천만원 이상이 아니시면...크게 추천하지 않음.4. 원글
'08.6.20 7:09 PM (125.181.xxx.37)답글 감사합니다. 연봉은 오천몇백되구요 청약부금은 들어간지 몇개월 됏네요..
중도상환수수료는 없다고 하니까 조금씩 모이는대로 갚는게 좋은건지.. 적금은 탈때 이자 얼마 안되니까 갚는게 좋을것 같기도...5. 초보아지매
'08.6.20 7:19 PM (121.1.xxx.85)연말정산때문이라면 장마 비추에요.
그것도 연봉이 4천이상정도면 혜택이 클라나? 7년이상 되어야 비과세...
저축액의 40%만 연말정산혜택이 주어지고..6. 지나가다
'08.6.20 8:39 PM (220.116.xxx.5)저라면 중도상환수수료가 없다면 매달 몇백씩이라도 갚아나갈 것 같구요.
정기적금을 그래도 드시려면 집근처의 신협을 찾아보심은 어떠실지...
아시다시피 신협에 하셔도 5000만원까지 예금보호되고, 제가 어제 들은 정기적금은 1년 비과세 6%짜리였습니다. 농특세 1.5%인가만 뗀다더군요. 얼추 7%대 적금과 비슷하지 싶습니다.
펀드가 죽쑤는 시대라 저는 그냥 당분간은 신협에다 적금들기로 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