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삼년반만에 화면이 먹통된 pdp 텔레비젼
pdp42인치 텔레비젼을
2005년도에 450만원 주고 구입했습니다(지금 엄청 배아픔)
그런데
정확히 3년 반만에 영상이 나오지 않는 고장이 났습니다.
소리만 나오고 화면이 멈춰 버린겁니다.
에이에스 들어갔습니다.
기사분 오더니 분해해서 지판을 교체해야 한답니다.
텔레비젼 들고 가서 교체해왔습니다.
수리비 340,500.원..
텔레비젼 부셔버리고 싶었습니다.
차라리 다시 사는 게 낫지 않나 이런 생각도 했었지요.
영수증 주는 거 보니까
"부품소요"
이렇게만 적혀 있네요.
이렇게 기재하는 게 일반적인 것 인지..심히 궁금합니다.
그래서
내역서를 주라고 했지요,,수리비가 작은 게 아니기 때문에,,
내역서를 굳이 원하신다면,,,하더니
간이영수증 한장 줍니다.
출장료수리비 48,500
콘트롤러교체292,000
차가 고장나서 수리센타에 가면
내역서가 나오는 것과 비교하면 큰 잘못인 지 모르겠습니다만..
전 이 내역서가
참 맘에 안 듭니다.
작은 회사도 아니고 대기업에서
영수증 발급을 이런 식으로 하는 게 이상합니다.
혹시 저와같은 경우를 경험해 보신 분 계시면 "참견" 좀 해주세요.^^
그냥 일반브라운관 텔레비젼이 훨씬 튼튼하군요,,십년 가도 고장 한번 없었던
옛날 텔레비젼이 보고 싶습니다,,,,,,,
1. 흠..
'08.6.19 11:46 AM (210.218.xxx.242)PDP가 원래 수명이 짧은 줄은 알고 있었는데 삼년반은 좀 심하네요..
2. ㅡㅡ;;
'08.6.19 11:46 AM (118.45.xxx.153)저두 딱 그맘떄 샀는뎅...가운데..줄이 생기는게...고장나면..아예..티비를 치워버릴랍니다 그랴.
시청료 안내고....전기료 아끼고..ㅡㅡ;;신문보고 인터넷만 봐도 되겠습디다.3. ..
'08.6.19 11:48 AM (221.163.xxx.144)혹시 삼성 PDP가 아닌지..
삼성에서 만든 PDP 티비가 불량도 많고 AS 수리비도 많이 나와서 말들이 참 많았잖아요..
그 정도 수리비면 티비를 새로 바꾸는게 더 이득일거 같아요.4. ㅡㅡ;;
'08.6.19 11:50 AM (118.45.xxx.153)허걱...삼성이예욤..ㅡ,.ㅡ;;
5. PDP-.-
'08.6.19 11:57 AM (211.176.xxx.203)저는 52인치(50인치?) PDP 갖고 있는데, 2년 만에 맛이 확 갔네요.
PDP나 LCD 모두 고장나면 보드 통채로 갈아야 한다더군요. 저는 약 50만원 돈 나왔는데
A/S 기사랑 합의 봐서 30만원대에 고친 것 같네요. PDP 그거 고장 나면 대책 없고, 고장도 잘 나더군요. -.-6. 제이제이
'08.6.19 11:59 AM (123.189.xxx.169)서브TV로 평면 브라운관 29인치 TV를 3년전쯤에 하나 샀었는데,
1년 조금 지난 다음에 망가져서,
컨트롤러 교체 해야 한다고 11만원 달라고 하더군요.
브라운관 TV가격이 얼마나 한다고...
브라운관 TV 다른방에 10년도 더 된 삼성 브라운관 TV는 아주 멀쩡합니다.
망가진, TV도 삼성 것입니다.
부품들이 고집적으로 바뀌면서 오랜기간 테스트를 거치지 않은 탓에 2,3년 지나면
기판들에 문제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이것은 분명히 근본적 제품 결함으므로 제조사의 문제인 것 같은데..
그냥, 부품 바꿔 주면서 수십만원씩 받아먹는 재미로 뭉개고 있는 것 같네요.
이건 정말 소비자들이 힘을 합쳐서 바꿔야 할 것 같은데요...7. ....
'08.6.19 12:18 PM (203.229.xxx.253)2005년 말 구입한 엘지pdp는 멀쩡해요.
그 당시에 삼성pdp 몇 모델에 대해 문제 많았었는데.. 리콜 얘기도 얼핏 있었던 거 같고..8. .
'08.6.19 12:18 PM (124.54.xxx.88)전에 무슨 tv프로그램에서도 다루었었는데요. 제 기억으로는 무상 a/s기간이 우리나라는 1년이고 가까운 다른 아시아권에서 판매되는 것은 우리나라 것보다 1년이 더 길었어요. 불량이 하도 많이 나서 내린 처사라고 그랬던 기억이 나네요.. pdp나 lcd 구입 가격도 비싸지만, 불량률도 기존 tv보다 많고 또 한가지 문제는 고장이 났을 때 교체 부품 값이 '너무' 비싸다는 것이더라구요.
9. 쿠쿠리
'08.6.19 12:36 PM (125.184.xxx.192)삼성 큰 회사라 나중에 고장나도.. 하는 생각에 구입했다가
부품값이 왠만하면 하나 새로 사는게 나을 정도고
아니면 단종된 디자인이라 부품이 없는 경우도 있죠.
저도 지금 부품이 없어서 그냥 저냥 쓰고는 있지만 정말 황당했어요.
가스렌지인데..
하나 바꾸고 싶네요. 가스오븐렌지루요. ㅎㅎㅎ10. 쿠쿠리
'08.6.19 12:38 PM (125.184.xxx.192)글 좀 퍼가도 될까요?
경각심을 일깨워야 할 거 같아서요.
우리 시누는 삼성걸로 다 했는데
가습되는 냉장고 음식이 빨리 상한다고 두달도 안 됐는데 a/s부르더라구요.11. Jey
'08.6.19 12:40 PM (122.40.xxx.51).님이 얘기하신 프로가 KBS 이영돈PD의 소비자고발입니다.
12. 오ㅗㅗㅗㅗ
'08.6.19 12:50 PM (211.206.xxx.71)역시 우리 님들 그냥 안 지나치심이 ,,고맙습니다.
우리텔레비젼은 LG입니다.
피디피가 약하다는 게 맞나봅니다.13. 알찬복숭아
'08.6.19 12:55 PM (121.149.xxx.17)흠 피디피나 엘시디티비를 살까 고민중이었는데 이글이 상당히 갈등하게 하는군요
혼수로 사온 티비라 10년이 훌쩍넘어서 바꿔야할때가 되었거든요
볼만하니 더 뭉개봐야겠네요14. ....
'08.6.19 1:12 PM (121.128.xxx.23)현재로는 PDP가 크게는 쉽게 만드는데..
전기 많이 먹고.. 좀 불안정 하나 보네요;;
LCD는 컴퓨터 모니터로 쓰는거 보면 오래 가던데.. ㅇ.ㅇ;;
그래서 LCD로 갈려고 하고 있고요..
삼성은 예전부터 아는 공돌이(?)들은 뻑성이라고 불리우죠..
'A/S의 삼성' 이따위 헛소리를 하는데..
첨부터 제대로 만들면 A/S 받을일이 없죠...
지들이 엉터리로 만들고는 A/S 받으러 갈때만 간사하게 굽신 굽신 거리면서 새로 사도 될 정도의
돈을 뜯어내고..
전 이번에 냉장고, 에어컨 사면서 다 LG로 샀습니다..
저희 부모님댁에 14년된 LG 냉장고 아직도 쌩쌩;; ㅡㅡ;;15. 원글
'08.6.19 1:21 PM (211.206.xxx.71)우리집 가전제품은 거의가 LG입니다. 윗분처럼 94년도에 산 냉장고는 요구르트 기능이 있는건데 그것도 아직 쌩쌩 돌아갑니다. 사무실로 보내고 집엔 양문형,역시 디오스를 구입했ㄱ요
소음이 적다네요.삼성에 비해..트롬세탁기까지..그런데 이번에 텔레비젼이 배신을
때리고 있습니다..속 상합니다........어디다 따져볼까 머리 굴리고 있는데요.16. 삼성
'08.6.19 1:40 PM (61.98.xxx.226)pdp 저도 2005년 2월 경 구입한 42인치 작년 여름에 갑자기 화면 반이 안나와서 기사 불렀더니
바로 며칠전 이런 건으로 뉴스가 났다고 하면서 무료로 부품을 갈아줬어요.. 작년 여름이니
한 번 기사 검색해서 따져보세요... 저도 2년반 밖에 안됐는데 이게 뭔일인지 완전 싸울려고
했는데 그냥 무료라는 말에... 원글님의 제품모델이 리콜대상일지도 몰라요.. 제 모델은 작년
즈음 많이 그런일이 생겼었대요. 기사 검색해보세요.17. 어머나
'08.6.19 3:40 PM (219.252.xxx.160)우리 집도 티비 고장났어요..삼성 꺼 프로젝션인데..산지 한 5년 안 됐나봐요..화면도 안나오고..소리도 안나요.. as하러 와서는 수리비가 35만원 부르던데.. 그 돈이면 다시 사겠다 하고..지금 며칠간 거실에서는 티비 못보고 있네요.. 삼성꺼 유명하네요.. 역시 가전은 엘지인가요?
티비 없으니까 괜히 좀 허전도 하네요.. 이제 이사가는 데..엘지로 바꿔야지..18. 삼성2
'08.6.19 5:30 PM (67.85.xxx.211)저도 삼성PDP 42" 샀었는데 2년반만에 망가졌었어요.
(a/s기간 지나서 무상수리 안된다고 하고)
살 때에 일제 모 브랜드를 사라는 주변말을 무시하고
꼴에(^^;) 애국한답시고(해욉니다) 삼성샀다가 분통터졌습니다.
이곳의 삼성 a/s센터 여러번 전화 해대고(여기 전화하면 저기로..저기하면 여기로...)
결국 수리비 견적이 출장비 포함 $900 나오더군요.
열불나서 걍 내버렸습니다. 이젠 삼성제품 안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