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줌인줌아웃

생활속의 명장면, 생활속의 즐거움

세고비아에서 만난 로마의 흔적,수도교

| 조회수 : 1,014 | 추천수 : 12
작성일 : 2008-01-06 00:59:17


   일정표에서 여행의 첫 날이 바로 세고비아의 수도교였습니다.

그런데 수도교를 만나기 전에 상당히 여러 곳을 거친 셈이지요.

우선 엘 에스꼬리알,성모 발현지,그리고 아빌라

그 다음엔 알카사르까지

드디어 수도교에 도착했습니다.

벌써 어둑어둑해지기 시작한 거리에 그래도 사람이 가장

많이 움직이고 있네요.

아마 연휴에 나들이 나온 사람들,우리들처럼 관광을 온

사람들이 대부분이겠지요?

내리자마자 거대한 규모의 수도교를 어떻게 잡을까,

이것은 내 역량에 부치는 것이로구나 실감이 났습니다.

우선 수도교에 대한 설명을 들었습니다.

사실 책에서 읽었다해도 현장에서 바라보면서 듣는

귀로 듣는 이야기가 더 와닿는다는 것은 여행을 할 때마다

느끼는 것이지요.그것이 마술인 것일까요?

그다지 새로운 것이 없어도 이상하게 귀로 듣는 설명이

더 오래 간다는 것이 바로 강의의 매력이 아닐까

그런 생각을 다시 하게 되던 날이었습니다.

(그다지 새로운 것이 없다고 느끼는 것은 제가 유적지를

가기 전에 워낙 이런 저런 자료들을 찾아보기 때문에

그 이상을 넘는 설명을 만나는 것이 어렵거든요.

다만 역사적 사실뒤에 있는 바하인드 스토리의 경우는

어라,새롭네 낯설고 신기하네 그런 기분으로 듣게 되지요

그래도 그것이 활자를 벗어나 사람의 입으로 나오는 설명이
라면

더 오래 기억되는 것이 참 신기한 경험이더라고요)



맨 처음 이 곳에 온 사람들은 페니키아인들이고

그 다음 그리스인,그들은 무역을 위해서 전진기지가 필요한

사람들이었다고 하더군요.

그러나 그 곳에 가서 그들의 흔적을 어디서 찾아야 하나

그런 자료를 구하지 못해서 그것은 체념하고 있었습니다.

겨우 일주일 여행에서 그렇게까지 찾아간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으니까요.

그런데 바르셀로나에서 구한 영문판 catalonia란 책을 보니

바로 그 안에 페니키아인의 흔적과 그리스인의 흔적을

찾아갈 수 있는 곳이 소개되어 있더군요.

근사한 사진과 함께.

언젠가 한 번 가 볼 수 있을까 마음속에 새겨두었습니다.

그 다음 이 곳에 온 사람들이 카르타고사람들이고

그들은 상당히 오랜 기간 이 곳에 머물렀지요.

이 곳을 근간으로 삼아 로마인들과 싸움도 하고

그들이 로마인에게 지고 나서 이 곳은 로마제국의

곡창지대 역할을 했다고 하는데

로마군단이 들어와서 아예 진을 치고 살기도 했기에

그 흔적으로 남은 수도교를 찾아올 수 있게 된 것인데

그들이 화강암을 반듯하게 쌓아올린 기법에 그저

입이 벌어질 따름입니다.

그런데  이런 수도교가 필요했던 이유중의 하나가

아까 본 알카사르에 물을 공급하는 임무도 포함이 되었다는

설명이 새로와서 고개를 끄덕이게 됩니다.

이 수도교는 1914년까지 실제로 그 지역사람들에게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고 하는데 역사적인 유적으로가 아니라

살아있는 존재로 기능을 오랫동안 해온 것이 신기해서

자꾸 둘러보게 되더라고요.





이 지역에서 로마가 물러가고 나서는 아랍인들이 와서

살았는데 그들이 로마인들보다 더 진일보한 방식으로

수도교를 흐르는 물을 관리했다고 하니,아랍인들이 전성기에

이 나라에 보탠 이익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게 됩니다.



물론 이민족이 들어와서 살았다는 것이 이익만이 있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지만 ,그 상황에서 스페인사람들이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자신들의 발전을 위해서 이용할 수 있었을까

그런 생각을 해보게 되는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이 곳을 보고 있으려니 프랑스의 님에도 가보고 싶고

퐁 뒤가르는 어떨까 상상을 해보게 됩니다.

아무래도 사진으로만 보는 것으로는 그 느낌을 생생하게

알기 어려운 법이니 생각이 저절로 그곳으로 가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세고비아의 수도교가 허허벌판에 있는 유적이 아니라

이렇게 환한 불빛이 흘러나오는 거리와 맞닿아 있는 것이

재미있어서 한 컷 담았습니다.



건축사를 읽다가보면 그리스인들은 아치를 이용하지 않았는데

로마인들에겐 아치가 상당히 중요한 공법이었다는 말이

있더군요,그 말이 실감나는 현장에 와 있구나

언젠가 시대별로 건축사의 흔적을 찾아서 전문가인 가이드와

연결되어 제대로 된 설명을 들으면서 건축의 현장을

가 볼 수 있다면 하는 바램도 마음에 품은 시간이었습니다.

욕망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무엇을 보면 더 확실해지는 것이로군

그런 생각도 하게 되었고요.

한 번도 가까운 시일안에 프랑스 남부를 여행하게 될 것이란

생각을 못하고 있었는데 그 지방의 유적을 마음에 품게 된

것도 이번 여행중의 큰 소득이었으니 사람의 행보는

언제 어떻게 어떤 계기로 길을 바꾸게 될 지 참 상상하기

어려운 법이로군요.

수도교를 끝으로 공식적인 하루 일정을 끝냈지만

사람이 눈으로만 살 수는 없는 법,

스페인 여행기에서 수도 없이 읽은 하몽,그 음식을 박물관이란

이름으로 팔고 있는 곳에 갔습니다.

하몽 박물관이라니 참 거창한 곳이로군 하면서 따라간

곳인데요 이 곳이 말하자면 서울의 함흥냉면집 비슷한 곳이란

설명을 들었습니다.











일,이층으로 된 공간에 사람들이 붐비고 음식을 앞에 둔

웃음소리,이야기소리가 드디어 사람들이 사는 현장에

온 기분이 들게 합니다.

음식의 양이 많아서 다 먹지도 못했지만

함께 하루 일정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곁들여서

맥주를 마시기도 한 날,늘 맥주는 내겐 조금 쓰다는 생각을

하고 살았던 제겐 이번 여행이 맥주와 와인맛을 알게 한

시간이 되기도 했네요.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8629 팽이 돌리기 3 싱싱이 2008.01.09 973 25
    8628 정말 아프겠다 ^ * ^ (동영상) 5 웰빙부(다랭이골) 2008.01.09 3,086 299
    8627 드디어 프라도에 가다-1 intotheself 2008.01.08 1,313 21
    8626 황홀한 거짖말 6 웰빙부(다랭이골) 2008.01.06 2,493 97
    8625 인샬라!! (두아이맘님 신청곡)와 남자가 담배를 피는 이유.. 21 카루소 2008.01.06 3,017 38
    8624 세고비아에서 만난 로마의 흔적,수도교 intotheself 2008.01.06 1,014 12
    8623 백설공주의 무대,알카사르(4) 5 intotheself 2008.01.05 1,369 34
    8622 프라도 누에보,그리고 아빌라(3) 2 intotheself 2008.01.05 1,266 19
    8621 82쿡 여러분들의 뇌연령을 테스트 해봅니다.(Tennessee .. 47 카루소 2008.01.04 3,823 51
    8620 둔내 자연휴양림(2007.12.29) 2 노니 2008.01.04 1,890 73
    8619 2007년끝 2008년 시작 새해복 많이 받으세요 꾸벅... 3 엉클티티 2008.01.04 1,294 67
    8618 카루소님의 음악으로 페루 마추피추가 다시 생각납니다... 2 야생화 2008.01.04 1,894 40
    8617 엘 에스꼬리알에 가다 (2) intotheself 2008.01.04 1,437 24
    8616 마드리드를 향하여 떠나다 (1) 3 intotheself 2008.01.04 1,167 9
    8615 시무식 ~~~~~~~~~~~~~~~~~~~~ 3 도도/道導 2008.01.03 1,039 25
    8614 2008년 첫해와 위대한 콘도르야.. 9 카루소 2008.01.03 1,967 38
    8613 카루소와 함께하는 체험 삶의 현장 페러디..^^;; 2 카루소 2008.01.03 1,959 40
    8612 월미도에 크루즈 디너 다녀왔어요 1 안꼬네 2008.01.02 2,063 10
    8611 따뜻한 보약 한그릇 드시고 출발하세요. 7 금순이사과 2008.01.02 1,411 13
    8610 해맞이 다녀 왔습니다. 11 금순이사과 2008.01.01 1,531 23
    8609 근하신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도도/道導 2008.01.01 971 23
    8608 사랑은 도대체 어디까지 가는 걸까? (펌) 2 사랑채 2008.01.01 1,003 14
    8607 무자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2 안나돌리 2008.01.01 958 16
    8606 쥐띠연예인(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5 카루소 2008.01.01 2,029 33
    8605 함께 해주는 친구가 있어 좋다 ~~~~~~~~ 1 도도/道導 2007.12.31 1,010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