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한큰술이란?

| 조회수 : 3,191 | 추천수 : 6
작성일 : 2003-11-17 16:25:00
새책을 받고 탐독중인 로미입니다...

궁금한게 생겼는데요,

마른고추는 붉은색 고추를 말하는거 맞죠?  이거 보관은 어떻게 하는지 알려주세요



한큰술의 양은 얼마를 말하는건지 궁금합니다...

계량스푼을 하나  사야겠어요....불끈!!!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모아
    '03.11.17 4:49 PM

    한큰술은 15cc에요 로미님, 계량스푼은 꼭 하나 장만하세요.. 반구형으로요.. ~
    붉은 고추, 전 냉동실에 두고 먹는데..

  • 2. 나나
    '03.11.17 4:54 PM

    한큰술은 계량수저로 15cc이고 세 작은 술과 동량입니다.
    1컵은 13과 1/3이예요.
    우리나라랑 미국등이라는 한컵을 보는 기준등 도량형의 단위의 차이 때문에..
    국내 요리서적 레시피를 따라 하시려면 국산 계량컴이나 계량수저를 써야 해요,
    일qn대학 교재가 컵에 240cc등을 쓰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표준단위는 한컵은 200cc한큰술은 15cc,한 작은술은 5cc 예요.
    마른고추는 냉동실이나 아파트의 경우 뒷베란다의 서늘한 곳에 보관 하시면 되요.

  • 3. 로미
    '03.11.17 5:13 PM

    질문이요, 아울렛갔다가 여러가지 계량스푼이 있는걸 봤거든요...숫자적혀있는거요..--;
    표현력부족입니다...
    저울은 전자저울이 좋다...이런식으로 스푼은 어느게 좋다....이런건 없나요?
    반구형이 어떤건지 모르겠거든요....^^; 갈켜주시와요~~

  • 4. 치즈
    '03.11.17 6:10 PM

    일반 수저같이 넙데데 한거 말구요..
    동그란 구를 반 뚝 잘라 놓은 모양입니다.

  • 5. 나나
    '03.11.17 6:56 PM

    계량수저는 한식등 요리 위주로 하실거면 소재는 스테인레스가 좋구요,,
    앞뒤로 큰술,작은술 붙어 있는게 여러개 고리에 연결 되어 있는 것 보다 좋아요,,
    한쪽은 큰술,한쪽은 작은 술로 된거 2500원 정도면 시장에 그릇 파는데 가도 팔아요,,
    오목한 것보다는 밥수저 처럼 약간 평평한게 편하게 쓰기 좋아요,,
    오목한게 이런 스타일에 이런 소재면 제과 제빵에 좋구요,,
    계량컵은 유리소재(파이렉스)랑 스테인레스로 된 한컵 짜리 가 주방에서 쓰기 편해요,
    이것도 시장에만 나가도 살수 있어요.
    계량저울은 빵 만들거 아니면 일반 저울도 괜찮아요,일제 타니타표가 좋은듯 해요,
    전자 저울은 빵 만들때 쓰기 좋아요,베이킹파우더 같은것도 미세하게 계량하기 좋거든요,
    단점은 전자저울의 경우 고장이 난다거나,,수리를 해야 한다 거나 이런 문제가 생기면,,저울 자체에 결함이 있을 수도 있구요,일반 저울에 비해 가격이 조금더 비싸다는 거죠,전문적으로 빵,과자만들거 아니면 일반 주방용 저울을 쓰시는 것도 괜찮아요.

  • 6. 김혜경
    '03.11.17 9:16 PM

    15cc가 한 큰술이니까 꼭 사지 않아도, 아가들 시럽용 스푼, 그런걸 이용해도 되지않나요?

    마른고추는 지금부터 봄까지는 그냥 다용도실에 보관하구요, 그후엔 냉동실에 보관해요. 제 경우는요.

  • 7. 로미
    '03.11.18 9:28 AM

    답글 감사합니다...
    오늘 마트가는데 잘살펴보고 구입할께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796 수협 맛 고등어 & 네오피시 고등어 ????????? 5 ms. song 2003.11.18 1,422 2
3795 춘권피 파는곳 좀 알려주세요!!! 3 sook! 2003.11.18 4,753 1
3794 통감자에...? 2 몽이 2003.11.18 840 2
3793 강남 신세계에... 1 orange 2003.11.18 635 2
3792 맞아요. 혜경님... 어디서 살 수 있나요? 1 naamoo 2003.11.18 634 1
3791 블랙페퍼소스여... 2 김윤희 2003.11.18 750 2
3790 유자차 어떻게 만드나요? 2 길명희 2003.11.18 2,034 2
3789 남들은 반찬 뭘 해먹을까?? 4 Mix 2003.11.18 1,189 1
3788 남은 돼지고기 수육을 어떻게 할까요.. 6 mianz 2003.11.18 4,581 1
3787 양장피구입은.... 2 채유니 2003.11.18 829 2
3786 슬로우쿠커 요리할때 냄새 나나요? 홍이공주 2003.11.18 2,008 4
3785 돼지족발 끓인물 특유의 냄새 없애려면.. 1 희주맘 2003.11.18 987 4
3784 타피오카 2 이정현 2003.11.18 1,327 2
3783 워머요~ 4 이정현 2003.11.18 1,483 6
3782 [re] 워머 사진임다(한국도자기 vs 전망좋은방) 7 야생화 2003.11.18 1,251 2
3781 김치찌개가 남았어요 2 김영숙 2003.11.17 1,049 9
3780 식빵틀이 없는데.그냥 네모난 틀에 식빵구울순 없나요? 2 요리왕비룡 2003.11.17 1,344 61
3779 피자만들때... 3 궁금해요^^ 2003.11.17 948 1
3778 생태찌개 맛있게 끓여먹구싶어여.. 7 영이 2003.11.17 1,445 5
3777 한큰술이란? 7 로미 2003.11.17 3,191 6
3776 피를 맑게 해주는 음식 2 궁금해요 2003.11.17 1,465 3
3775 레몬차 만든게 써요...ㅠㅠㅠ 4 박민경 2003.11.17 1,231 1
3774 조기찜 구이에 대해 알려주세요 2 완전초보 2003.11.17 1,951 2
3773 청국장은 생으로 먹었을 때 가장 효과 커 멋진머슴 2003.11.17 1,036 3
3772 [re] 아이가 먹을만한 반찬 2 글로리아 2003.11.17 1,7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