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녹두빈대떡, 어떻게 해야 맛있게 될까요?

| 조회수 : 1,689 | 추천수 : 4
작성일 : 2003-06-23 16:56:03
방법 좀 알려주시와요.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혜경
    '03.6.23 5:08 PM

    핫, 어디서부터 가르쳐드려야할지...
    녹두 불리시구요, 불린 쌀 넣어서 가는 건 아시죠??
    전요, 김장김치 다진 것, 돼지고기 간 것, 숙주나물 데쳐서 잘게 썬 것, 고사리 불려서 데쳐서 잘게 썬 것 넣은 후 소금 후추로 간하고 참기름 조금 넣어서 빈대떡 속 마무리해요.

    간 녹두에 속을 넣어서 고루 저은 다음 부치는데...
    너무 얇지 않게, 너무 타지 않게 부치려고 애를 쓰죠...
    설명이 충분한 건지...

  • 2. nowings
    '03.6.23 5:17 PM

    이건 방법이 아니구요. 반죽을 사는 건데요.
    조오기 종로 5가 광장시장 먹자골목의 한 가운데 가면 녹두 빈대떡을 크고 두껍게 해서
    한 장에 4천원에 파시는 할머니가 계세요. 퉁명하시지만 아주아주 맛있답니다.
    아마 반죽을 따로 파시기도 할 꺼예요. 반죽을 사다가 김치냉장고에 넣어 두면 2,3일은
    괜찮다고 해요.
    저는 그자리 말고 먹자골목 한가운데서 종로3가 방향으로 50m 쯤에 또 한 분의 할머니가
    계신데, 그 분에게서 반죽을 사다가 부쳐 먹었는데, 부침개 종류에 별 관심이 없는 우리
    신랑이 맛있다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어요.
    그럼...

  • 3. 로로빈
    '03.6.23 5:43 PM

    저희 외가가 개성이라서 만두니 녹두지짐이니 하는 것들에는 일가견이 있는데요

    반죽의 정도가 굉장히 중요하더라구요. 좀 질척하다 싶게 반죽을 만들어야해요.

    부치기는 어렵지만 그래야지만 다 지져놨을 때 부드러워요. 부치기 쉽게 되게

    반죽하면 나중에 식었을 때 너무 단단하더라구요.

    그리고 지질 때 도톰하게 부치면서 절대로 여러번 뒤집거나 누르지 않는 거예요.

  • 4. 빈수레
    '03.6.23 5:54 PM

    로로빈 말씀마따나 반죽정도 맞추기가 쉽지 않아서,
    저는 멥쌀을 안 쓰고 찹쌀을 불려서 갈구요(일반적인 국자로 녹두 불린 것 하나에 불린 찹쌀 한큰술 정도)...
    속이 아니라 고명으로 얹어서 지지구요...간이 섞여서 좀 지나면 삭아서 넘 묽어져서....이기도 하지만 친정에서 제사나 차례상에 얹을 것은 이쁘게 색 맞춰 고명으로 얹어서 지지고, 남은 것은 몽땅 섞어서 지지구요...맛은 섞은 게 더 나아요.

  • 5. 김새봄
    '03.6.23 5:56 PM

    앗! 이건 정말 나 자신있는거다.

    녹두 불려서 갈을때 녹두3;물1 로 넣고 갈으세요.
    혜경샘님 말씀처럼 속재료에 밑간 꼭 하시구요.
    녹두갈은거에 재료 다 넣고 너무 섞으면 삭아버립니다.

    또 한가지는 사실 이건 집에서 하긴 좀 어려워요.
    부치실때 식용유 말고 돼지기름으로 부치세요.
    정육점에 가셔서 돼지 기름만 떼어놓은거 달라고 하면 공짜로 줍니다,
    이걸 팬에 놔두면 고 기름이 지글지글 냄새를 마구 피우면서
    갈색으로 변하면서 기름을 내거든요.
    그렇게 부치면 식어도 딱딱하지 않고 고소하고 맛있습니다.
    부치는 사람은 그 담날까지 좀 먹기 힘들꺼에요. 냄새때문에.

    녹두,수수는 잘쉬는 곡물입니다.물에 불리실때 시간이 여유 있다면
    3시간에 한번 정도씩 손으로 비벼 녹색껍질을 제거하셔야 하구요.
    하룻밤 재울꺼면 꼭 냉장고에 넣으셔야 합니다.

    대형마트나 슈퍼에 가면 녹두가루 해서 분말로 되어 있는걸
    파는데 그걸 사다 하셔도 됩니다.
    초당두부에서 나오는 녹두 갈은걸 두부처럼 포장해 파는것보다는
    좀 덜하지만 맛이 나쁘지 않습니다.

    밀가루 부침개는 좀 얇게 녹두는 두툼하게 부쳐야 맛잇습니다.
    볼품도 있구요.

    (비오는데 빈대떡에 막걸리 그리고 잘익은 알타리 생각이 굴뚝입니다.)

  • 6. 딱풀
    '03.6.24 9:26 AM

    맞아요. 녹두부침은 돼지비계로~
    쓰읍..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895 녹두빈대떡, 어떻게 해야 맛있게 될까요? 6 이경희 2003.06.23 1,689 4
1894 전복죽을 맛있게 끓이는 방법은? 5 햇볕쨍쨍 2003.06.23 4,498 9
1893 매실잼, 설탕양은 과육 기준 동량인가요? 1 2003.06.23 827 6
1892 으....케일에 애벌레가..... 2 쭈니맘 2003.06.23 1,038 5
1891 매실쨈! 이러면 실패인가요? 3 manggo 2003.06.23 886 4
1890 [re] 도와주세요..쌀벌레.. 나두 한때 2003.06.23 691 5
1889 도와주세요..쌀벌레.. 8 레이첼 2003.06.23 1,471 4
1888 알로에 스킨에 대해서! 3 이경민 2003.06.23 978 5
1887 충무김밥, 오징어가 아닙니다. 1 송광사 2003.06.23 1,953 6
1886 [re] 충무김밥 만들기라...... 파란꽃 2003.06.23 2,009 5
1885 장승포구에서 충무김밥을... 1 sunny 2003.06.23 1,578 10
1884 어디서 구입할수 있나요.... 1 노랑나비 2003.06.22 1,065 3
1883 매실 절임이 뽀글뽀글.... 2 orange 2003.06.22 1,003 4
1882 지금 나오는 청매실로 매실잼 하도 되요? 6 김새봄 2003.06.21 1,131 16
1881 유통기한에 관한 질문입니다 1 박수빈 2003.06.21 938 4
1880 오징어 불고기가 우째 싱겁네요... 2 이주영 2003.06.21 926 11
1879 오뚜기드레싱 맛은 과연? 2 olive 2003.06.21 1,096 17
1878 매실주 짜고 남은 매실.....은 어떻게 하면 좋을까여.. 1 박현수 2003.06.21 1,060 10
1877 새우 손질법이요 1 김효정 2003.06.21 1,188 10
1876 [re] 좋을 수도... 나쁠 수도.... 그럼 내게는??? 파란꽃 2003.06.21 1,291 5
1875 왜 커피가 나쁜가요 6 jade1830 2003.06.20 1,550 7
1874 고소한 마요네즈만들기는 꿈인겨? 1 김지원 2003.06.20 1,109 9
1873 장뇌삼먹는법 3 김도연 2003.06.20 8,822 80
1872 일밥에 나온 오징어 마요네즈 튀김 2 딸기 2003.06.20 1,245 10
1871 새색시인데요...궁금한게많아서요... 1 지미숙 2003.06.20 75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