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키친토크

즐겁고 맛있는 우리집 밥상이야기

이제 이 말 안쓰려고요

| 조회수 : 18,796 | 추천수 : 14
작성일 : 2014-06-09 15:57:53

#1 그냥 나의 비루한 다짐


지난 지방선거일 이었던가 , 재방송되는 프로그램 중에 쌍둥이 아빠가 아이를 보는 일이 있었는데 . 기어 다니는 아이의 행동에 놀란 눈을 하고 ‘ 대박 ’ 이라고 말하는 모습이 있었다 . ‘ 와 , 놀랍다 , 이걸 어쩌지 !’ 이 정도 놀람과 걱정의 의미로 받아들이긴 했는데 ‘ 대박이란 말을 썼어야 하나 ? 자막으로라도 수정해줄 말이 없었을까 ?’ 하는 생각에 사전을 찾았다 .



- 대박 [ 大舶 ]

큰 배 , 어떤 일이 크게 이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관련숙어

- 대박 맞다

예상치 못한 어마어마한 횡재를 얻다


- 대박 터지다

투기성 투자나 도박 등에서 어마어마한 횡재를 하다 , 예상치 못하게 어마어마한 성과를 거두 다


- 대박 오픈국어

( 한국의 전래 동화인 ' 흥부전 ' 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 큰 박일수록 더 많은 보물이 들어 있기 때문에 .) 1. 운이 좋아 큰 이득을 남김 . 대박이 나다 , 대박을 내다 , 대박을 터뜨리다


사전상의 의미만으론 맞지 않는 말이다 . 하지만 요즘 놀랐을 때 , ‘ 큰일이다 ’, ‘ 대단한데 ’ 정도의 의미를 갖는 감탄사처럼 사람들 사이에서 많이 쓰이는 것도 사실이다 . 본래 말이란 ? 생기고 퍼지고 사라지는 과정이 있기에 , 좀 거슬리는 신조어들도 그냥 그러려니 했다 . 내가 그 말들을 못 알아듣거나 따라가지 않는다고 그 말을 쓰는 사람에게 어법이란 잣대를 들이댈 생각 없었다 .


그런데 방송뿐 아니라 대통령도 쓸 만큼 언중의 힘을 얻고 있는 ‘ 대박 ’ 이 말을 사전 찾아 보고나서 ‘ 애써 쓰지 않아야겠다 .’ 마음먹었다 . 제비다리 치료해준 흥부의 마음 씀과 다음 해 다시 돌아온 제비라는 과정과 시간이 생략된 채 욕망만 드러내는 ‘ 대박 ’ 이란 단어가 공공연해지는 게 불편하기도 하지만 ‘ 배 ’ 라는 의미가 있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 ‘ 그래 선박할 때 ‘ 박 ’ 자가 있었구나 !’ 했었다 . 우리들의 욕망과 ‘ 배 ’ 라는 의미가 자꾸 겹쳐서 이다 .


1.gif



#2 소심한 사과


6/5 일 나는 휴무고 H 씨는 출근이었다 .

H 씨 출근하고 느지막이 일어나 신문보고 세탁기 돌려놓고 커피 한 잔하며 느릿느릿 뒹굴뒹굴 TV 도 보았지만 뭔가 찜찜함이 가시지 않았다 . 전날 H 씨와 싸운 것도 아닌데 뭔가 감정선이 어긋나 있었다 . 냉장고를 뒤적여 봤다 . 시들해진 토마토와 근대 잎이 보인다 . 찬밥도 있다 . 찬밥을 데웠다 . 들기름과 약간의 식초 , 소금과 매실장아찌 다져넣고 주물주물 무쳤다 . 순간 변 머시기인지 무시기인지가 생각나 픽 ~ 웃었다 . ‘H 씨가 회를 먹는다면 생선초밥을 할 텐데 …… . 그럼 나도 초일류요리사 ? 인증하련만 ’ 하면서 말이다 .


찢어질까 싶어 살짝 쪄낸 근대 잎에 적당히 뭉친 밥을 말아 근대 말이 쌈을 쌌다 . 시들해진 토마토는 올리브유 넉넉히 두른 팬에 적당히 썰어넣고 낮은 불에서 익혔다 . 토마토에서 물이 충분히 나올 때쯤 치즈와 타임 좀 넣고 여열에 잠깐 두었다 . 조심조심 말았지만 근대 쌈 몇 개는 망가졌다 . 아직 근대 잎이 너무 여린 건지 말리기보다는 찢어져버리더라 . 덕분에 얇게 썰어볼까 했던 욕심은 버리고 그냥 반찬통에 담았다 .


5.gif

4.gif

3.gif


근대 쌈과 토마토로 도시락을 준비하고 커피까지 내려 보온병에 담았다 . 점심시간 30 분전쯤 H 씨에게 전화했다 . 도시락 준비했으니 나오라고 . H 씨 직장 근처 벤치에 앉아 도시락을 받아든 H 씨 “ 오랜만이네 00 씨가 도시락 싸준 게 ” 하면서 그동안 서운함을 들어냈고 “ 쌈이 너무 커 , 좀 잘라오지 그랬어 ?” 하는 평가엔 “ 너무 연해서 자꾸 찢어지더라고 그래서 못 잘랐어 .” 라 대답했다 .


감정선이 별 이유 없이 자주 어긋나는 요즘이다 . 바로 사과하고 털어버리자 하지만 그래도 반복되니 서로 짜증이 커진다 . 조금 더 공감이 필요한데 , 조금 더 움직임이 , 수다가 필요한데 , 생각만 하고 있다 . 가족 , 부부 소중한 만큼 힘들어지고 노력해야 하는 관계라는 생각이 든다 .


-------------------------------------------------------------------


K 에게


잘 지내니 ? 학기말 시험 때문에 연휴에도 도서관 있겠다며 ‘ 두 주먹 불끈 쥐고 머리띠 두룬 토끼 ’ 그림 엄마한테 보낸 것 봤다 . 생애 첫 투표도 해보고 선거가 끝났으니 이런저런 얘깃거리들이 많을 텐데 서로 바쁘구나 .


주말부터 ‘ 국가개조 ’ 라는 말이 나오더구나 . 뉴스를 보며 좀 웃었다 . 국가가 자동차나 집도 아니고 개조라니 ? 개조는 자동차 주인 , 집주인이 하는 건데 , 대통령은 마음대로 국가를 개조해도 되는 주인이던가 ? 또 자동차든 집이든 주인이 개조할 때조차 절차와 법이란 게 있는데 국가에는 이런 게 있던가 ? 뭐에 근거하게 될까 ? 뭐 혁명 상황이라면 가능한 얘기겠지만 . 어떤 이유에서건 ‘ 국가개조 ’ 라는 단어를 선택한 그 마인드가 놀랍다는 생각이 들더구나 .


‘ 국가개조 ’ 라는 단어를 들으며 네게 꼭 해주고 싶은 말이 있다 . ‘ 남을 돌보겠다 .’ ‘ 대의에 복무하겠다 .’ 이런 계획과 꿈을 가지고 떠벌이는 사람은 , 특히 사회 정치적 지위와 권한이 있는 자는 쉽게 믿지 말며 그의 개별 삶을 살펴보라고 . 혹여 연애할 때조차 ‘ 애국 ’ 이니 하는 단어를 즐겨 쓰는 녀석이 있거들랑 한 번 더 그의 개별 삶과 태도를 살펴야 한다 .


‘ 남을 돌보는 것 ’ 좋은 일이다 . 권장할 일이다 . 하지만 남의 것을 빼앗고 그것으로 일부 시혜처럼 베푼다면 이게 과연 돌보는 걸까 ? 모든 부모와 세상의 모든 종교는 ‘ 도둑질하지 말라 ’ 고 가르친다 . 나는 좀 까칠하게 이 ‘ 도둑질하지 말라 ’ 를 ‘ 착취하지 말라 ’ 는 해석으로 네게 얘기하고 싶구나 . 작게는 가족 간에서부터 사회적 관계에 이르기까지 혹 누군가를 착취하면서 돌보고 있다고 착착하고 있는 건 아닌지 ? 이 착각이 가장 해악인 존재들에게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는 건 아닌지 살펴볼 일이다 . 남을 돌보기 전에 누군가의 희생과 착취 없이 스스로 설 수 있도록 자신을 돌보는 것 , 성찰하는 것이 남을 돌보는 첫 걸음이다 . 이 성찰 없이는 아무도 돌볼 생각 말거라 . 이렇게 말한다면 너무 과격한 걸까 ? 누가 누굴 이끌고 지도하고 책임진다는 식의 말의 성찬들 속에 찾을 수 없는 개별 삶에 대한 성찰이 마냥 아쉽기만 하다 .


사랑하는 딸

지금여기에 집중하렴 , 오늘 행복하렴 !


2.gif

오늘 내컴이 이상한건지 82가 이상한건지....

글이 ㅠ.ㅠ

자꾸 제목과 몇글자만 올라가 지우길 5번, 6번째 됐네요

2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변인주
    '14.6.9 4:08 PM

    개조라는 기사읽으면서
    적절한 단어인가 난감해 하면서 읽었었는데
    같은 마음이시라 반가워 로긴합니다.

    늘 좋은 글 감사하고요 헌데 오늘은
    따님께 쓰는 편지에 맘이 아립니다.

    마지막 김치사진, 시원한국물을 좀 얻어마시면 속이 풀리려나요?

  • 오후에
    '14.6.9 5:27 PM

    혹 속 답답하신분들 사진으로라도 푸시라고 올린거랍니다.
    좀 풀리셨는지요?

  • 2. 리본
    '14.6.9 4:11 PM

    그 마인드가 놀랍다는 생각을 하셨군요.
    저는 그 마인드에서 나올만한 단어라고 생각했던지라......

    오늘도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오후에
    '14.6.9 4:39 PM

    저 마인드를 가능하게 한 것들은 무엇일까?
    곰곰 살펴보고 있습니다. 저와 주변부터

  • 3. 예쁜솔
    '14.6.9 4:36 PM

    대통령마져
    통일이라는 막중한 역사적 사명을
    통일은 대박이라고
    천박하게 표현을 하는 세상입니다.
    누가 누구를 개조한다는건지...
    정말 오후님 김치국물 한 사발 들이키고
    제발 정신 차리라고 소리치고 싶네요.

  • 오후에
    '14.6.9 5:29 PM

    김치국물로 정신차린다면 매끼 온갖 김치를 대령할 수 있습니다. ㅎㅎ

  • 4. 봄날
    '14.6.9 6:03 PM

    저도 참 그 단어가 이상하게 귀에 거슬리더군요. 좋은 다른 표현도 많고 많은데.
    대통령이 그 단어 쓸때 정말 놀랐습니다.
    격이라는게 있는데. 우리말 고운말인데..아쉬운 대목입니다.

  • 오후에
    '14.6.10 3:17 PM

    대통령의 단어 선택이야.. 유행어이니 따라했나보다 넘길수도 있지만 과정이 빠졌다는 게 문제죠.

    단어자체에 있는 의미도 그렇고 쓰이는 경우도 그렇고 과정없이 욕망과 성공, 돈의 이미지가 너무강해서요.

  • 5. 숲길에서
    '14.6.9 7:26 PM

    맞아요. 국격을 떨어뜨리는 가짜 대통령입니다.
    ' 대박' 은 금지어!

  • 오후에
    '14.6.10 3:19 PM

    과정이야 어떻든 대박만 나면 된다는
    성공하면 뭐든 괜찮다는 사고를 은연중 강화하는 것 같아 불편합니다.

    혹시 스스로 우리 삶의 격을 떨어뜨리는 말은 아닐까....생각해봅니다.

  • 6. 나누
    '14.6.9 9:09 PM

    무심코 듣고 써왔던 말들의 의미를 생각할 수 있었어요. 좋은 글 감사드려요.

  • 오후에
    '14.6.10 3:22 PM

    말이 만들어내는 어떤 것이 있다는 생각입니다.
    좋은 말쓰고 악담하지 말라거나. 말이 씨된다고 늘 조심을 강조하던 어른들 말씀이 요즘은 수긍이 가요

    내가 무심코 쓰는 말의 의미를, 꼭 써야 하는 것들인가? 이따금씩이라도 돌아보려고 합니다.
    감사합니다.

  • 7. 너와나
    '14.6.10 8:28 AM

    저도 남편하고 6~70년대 살던 사람들이 갑자기 현대에 떨어진다면 알아들을수 없는 말이 얼마나 될까? 하면서 이야기 나눴네요.
    언어라는것도 생성 소멸을 거치기는 하지만 좀 아니다 싶은 것들도 너무 많지요.
    오후에님 글은 읽을때마다 차분해지는 느낌이 들어 좋아요 ^^

  • 오후에
    '14.6.10 3:27 PM

    그렇죠... 십년만시간을 건너뛰어도 대화가 많이 어색할거같아요.
    차분해지신다니 감사합니다.

  • 8. 밥이쉽냐
    '14.6.10 10:15 AM

    이 땅에서 세월을 보내는일에는
    위로가 필요한 시절입니다.
    저는 이 아침,
    오후에님 글 읽으며 위로를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 오후에
    '14.6.10 3:30 PM

    무엇보다 자신을 위로할 필요가 있을듯 합니다.
    그래도 잘 버텨냈구나 위로하며 뭔가에 쫓겨 달여왔는지? 묻고 또물어 보려고 합니다.
    혹 나는 앞만 보도록 눈 가리개를 하고 질주하는 경주마는 아니었는지?

  • 9. 장구봉
    '14.6.10 10:43 AM

    차분히 읽고 갑니다.

    대박이라는 단어를 신날때. 기분이 좋아질때 무심히 했는데

    이제 쓰지 않기로...

    대통령이 대박이라고 할때 '헉' 했지요

  • 오후에
    '14.6.10 3:31 PM

    네 감사합니다.
    같은 생각이 많아져서 TV나 라디오에서도 듣기 힘들었으면 합니다.

  • 10. 깡깡정여사
    '14.6.10 11:20 AM - 삭제된댓글

    차분한 좋은글 감사합니다.
    저도 대박이란 말이 기분 나쁜 말이었는데
    오후에님글 읽고나니 슬픈 단어가 됐네요.
    오늘도 어여 실종자들 돌아오길 기도합니다.

  • 오후에
    '14.6.10 3:32 PM

    비슷한 생각을 가지신분들이 많아 다행입니다.
    네.. 저도 검색해보고는 대박이 슬픈 단어가 되었답니다.

  • 11. 키다리옆
    '14.6.10 12:34 PM

    난 현정부 하는것 보면
    욕부터 나오는데
    참 차분하게 지적으로 표현하시네요
    "대박" 아이들이나 일반인이 표현할땐 그런데로 별생각없이 들었는데
    대통령이란 자가 대박할땐 참 저속하게 들리더군요
    "국가개조"란 단어가 참으로 거슬렸는데
    개조할 당사자가 누굴 개조하겠다는건지 이해불가

  • 오후에
    '14.6.10 3:33 PM

    그냥 웃어야 할 때가 많은 요즘이죠.

    총리지명 발표가 있네요. 그냥 또 웃습니다.

  • 12. 유유맘
    '14.6.10 3:11 PM

    글 말미를 읽고는 급히 딸아이에게 '사랑하는 딸~ 기말시험에 집중해'라고 따라하며 톡을 보냈어요. 열무물김치가 쓰읍~, 탐납니다.

  • 오후에
    '14.6.10 3:35 PM

    열무김치 저도 탐납니다. 이맘때면 먹을 수 있는 텃밭의 선물이죠.
    기말이면 아직 한달이나 남았는데... 따님이 부담가질실 듯 ㅎ

  • 13. 까만봄
    '14.6.10 5:04 PM

    그러네요.
    개조…란 단어가 이렇게 혐오 스럽게 들린적이없었거든요.
    정신은 ,양심은 팽개치고
    시스템만 바꾸면,
    큰 변화가 생길것처럼,
    그 말하신분만,
    좀…바꾸시거나,내려오시길 …
    참 생각 많이하게 만드는 정부예요

  • 오후에
    '14.6.12 1:14 PM

    아마 새마을 운동 같은 걸 하고 싶은 모양입니다.
    새벽종이 울렸네~~ 이런 노래가 나오면 우르르 쏱아져 나오는 동원체제를 꿈꾸는거겠죠

    그런데 우린 어떤 꿈을 꾸고 있을까요?
    우리 삶에 대해...

  • 14. sunny73
    '14.6.10 7:35 PM

    저도 '통일은 대박' 이란 말이 거슬리기도 했지만,
    과연 그 상황에서 적절한 표현인가 싶기도했어요.
    그런데 이 상황에서 '국가개조'라니...
    요즘 애들 표현대로 그저 헐~ 입니다..
    진심 욕을 유발하는 단어네요.
    그것도 본인이 직접 생각한 단어는 아니겠지만...ㅋ
    주위에 단어 적절하게 선별해 줄 사람도 없나보네요..

    오후에님 올려주신 물김치맛 상상하며 막힌 속 뚫어봐요..ㅎㅎ
    다음엔 레시피도 부탁드려요..^^;;

  • 오후에
    '14.6.12 1:21 PM

    국가개조가 어색한 이유는 개조라는 말을 보통 물건에 사용해서 아닐까 합니다.
    국가는 물건이 아니니까요.

    물김치 레시피 여기 키톡에도 많은데...
    저희는 다시마 우려낸 물을 사용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38705 후라이팬에 굽는 플렛브레드 15 remy 2014.06.10 15,547 1
38704 이제 이 말 안쓰려고요 49 오후에 2014.06.09 18,796 14
38703 가래떡 넣은 떠먹는 피자 쫄깃쫄깃 맛나네요. 49 4월의라라 2014.06.08 14,089 5
38702 제 부엌은 건재합니다 22 백만순이 2014.06.05 24,053 11
38701 엄마니까 37 너와나 2014.06.03 21,073 10
38700 아주 간단한 성게알밥상 49 어부현종 2014.06.03 14,726 9
38699 밴뎅이회 32 게으른농부 2014.05.30 14,180 18
38698 엄마라는 이름으로 20 소년공원 2014.05.29 16,925 22
38697 5월을 보내며.. 29 remy 2014.05.26 18,462 14
38696 밥을 먹으며 전열을 가다듬어봅시다 13 소년공원 2014.05.19 21,689 15
38695 눈치가 없는 건지 영혼이 없는 건지 14 오후에 2014.05.19 24,332 12
38694 미국시골은 귀한...짬뽕 한그릇. 18 아라리 2014.05.17 23,221 7
38693 still fighting it 9 백만순이 2014.05.16 11,326 10
38692 누가 가만히 있어야 할까? 18 오후에 2014.05.16 14,237 14
38691 까칠과 참회 12 오후에 2014.05.13 18,474 8
38690 이 작은 한 알 안에... 15 소년공원 2014.05.12 18,378 17
38689 일상의 무거움 49 백만순이 2014.05.01 36,025 25
38688 사진 없고.. 식사 꼭 하셔야 되요 ㅠㅠ 5 호호아줌마 2014.04.21 27,576 10
38687 요조마의 집에서 만드는 홍어삼합 (수육 맛있게 삶는 비결) 136 요조마 2014.04.17 60,533 69
38686 짭쪼롬한 베이컨과 아삭한 양배추의 만남! 베이컨양배추볶음 4 Fun&Cafe 2014.04.16 24,962 2
38685 처녀 아닌 총각 김치 담궜습니다. 23 김명진 2014.04.15 17,234 2
38684 고소한 치즈향이 물씬~ '김치'와 '계란'의 조화! 아이들도 좋.. 15 Fun&Cafe 2014.04.15 18,905 1
38683 카레우동이라고 드셔보셨나요..? ^^;; - >').. 20 부관훼리 2014.04.15 22,647 10
38682 비엔나에서는 비엔나 소세지를- 비엔나에서 사먹은 이야기 20 꼰누나 2014.04.15 19,035 5
38681 부관훼리님께 짜장면배틀을 신청합니다. 47 조아요 2014.04.14 19,727 9
38680 그냥 평범한 밥상 8 튀긴레몬 2014.04.14 15,792 3
38679 베이컨과 볶음밥의 행복한 하모니 ♥ 4 Fun&Cafe 2014.04.14 10,892 2
38678 교촌치킨 따라하려다 엉뚱한 게 되버렸어요 7 예전만큼은 2014.04.12 14,67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