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개편이전의 자유게시판으로 열람만 가능합니다.

엄마가 강골초플러스란걸 사셨는데 아시는분 계신가요?

강골초 조회수 : 567
작성일 : 2011-05-26 11:36:33
말그대로 엄마가 사오셔서 드시는데 당뇨랑 혈압있으시고 위는 좀 안좋으신편이세요
근데 이게 현미식초가 베이스로 되었네요.
자꾸 엄만 좋으시다고 드시는데 저는 걱정되요..아시는 분 계신가요?
IP : 59.19.xxx.196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손짱
    '11.6.17 3:02 PM (222.107.xxx.138)

    저는 강골초를 18개월째 복용하고 있으며 지금은 메니아가 아니라 강팬, 강추, 강업을하는 사람입니다.
    어머님께서는 드시겠다는데 귀하께서는 걱정만 하고 있으니 안타깝습니다. 어머님이 옳다면 복용하셔서 몸이 좋아지실 것이고, 귀하의 주장이 강하다면 어머님의 건강이 좋아질 기회를 잃게 되는 것이군요. 이럴때 정부기관에서 식품으로 허가가 난 제품인지 기능성인 식품인지 먼저 알아보시는 것이 좋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식품은 장기간 복용해도 이상이 없는 것이며 기능성은 장기복용시 좋지 않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식초에 관한 인터넷 검색도 하셔보길 권합니다.
    강골초는 식초와 약용식물을 결합하여 체질이나 남녀노소구분없이 복용이 가능하게 만들어져있습니다. 식품이기 때문에 약물부작용에 대한 염려를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또한 잘못되거나 부작용이 있는 식품이라면 복용할 수록 좋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게 될 것이고 몸은 망가지게 될 것입니다. 강골초는 식품이며 부작용이 보고된적이 없는 식초로 허가된 제품입니다.그런 강골초는 50%이상이 15일 이내에 명현현상이라는 독특한 현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 현상이 나타났을 때 병원이나 약국에서는 약물부작용이라고들 말하곤 합니다. 그렇지만 약물이 아닌 식품이 약물부작용일 수는 없는 것입니다. 또한 식품인데 부작용이 날 수 있다고 한다면 식초의 부작용이라고 해야 하는데 적정량을 먹는 식초가 부작용을 일수는 없는 것입니다. 몇천년을 복용되어온 식품이기 때문이고 식초의 효과는 이미 노벨생리의학상을 3번이나 수상한 전력으로도 누가 시비를 걸거나 부작용운운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또한 약물 부작용이라면 시간이 지날수록 나빠져야 하지만 강골초 복용 후 무슨 현상이 나타났더라고 며칠이 지나면 좋아지고 그런 증상마져 사라져버립니다. 그러니 식초식품인 강골초를 안심하시고 복용하시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혈압과 당뇨에 식초가 좋다는 것은 이미 임상과 학계에서 보고된 사항이지만 강골초는 단순한 식초가 아니라 귀하의 어머님께 새로운 건강을 선물할 경이로운 약용식초임을 아시게 될 것입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전화번호를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답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655020 옷 잘 버리는 방법 알려주세요 4 비오는날커피.. 2011/06/29 1,454
655019 타이항공 차일드밀 신청해보신분~ 3 잠안와 2011/06/29 597
655018 몸싸움방지법 통과 오케바리제이.. 2011/06/29 120
655017 오년만에 휴가 나오신 수녀형님.. 58 형님.. 2011/06/29 13,360
655016 비가 너무 오니.... 우리집 단골 길냥이 걱정이... ㅠㅠ 8 냥이님들.... 2011/06/29 566
655015 제 가계부 좀 봐주세요. ㅜㅜ 8 고민 2011/06/29 1,214
655014 즐거운적이 없었던 삶 3 . 2011/06/29 1,291
655013 남편 건강검진 결과가 간질환 의심이래는데 어떻게 해야 되요? 8 회사원 남편.. 2011/06/29 1,240
655012 의료보험에 대해 2가지 질문드려요. 1 질문. 2011/06/29 197
655011 밤에 하는 운동... 어떨까요? 5 빼고보자 2011/06/29 961
655010 6살 아이가 악몽꿀까봐 잠을 못자겠다는데.... 8 걱정이에요 2011/06/29 550
655009 원전.그날이후 후쿠시마와체르노빌의 현재. 7 .. 2011/06/29 941
655008 간만에 버스 타려다 치한을 봤어요. 2 버스정류장 2011/06/29 903
655007 성당 다니시는분 없나요? 21 부끄럼쟁이 2011/06/29 1,262
655006 등록금 문제 만큼은 창의력을 발휘했으면...선진국은 교육이 당연한 공공재라는데요. 5 씨리얼 2011/06/29 140
655005 내 생에 최고의 드라마 추천 해주세요. 국적불문/한개씩만 70 딱 한개! 2011/06/29 2,201
655004 시집과 인연을 끊을 수 있는 지혜를 빌려주세요 13 부들부들 2011/06/29 2,358
655003 저녁에 소개된 jyj 광주콘서트 이야기임다 12 풍경 2011/06/29 828
655002 아는 남자 5 그냥 2011/06/29 698
655001 아~~~~~여행가고 싶다~~ 7 랑제 2011/06/29 577
655000 된장 담았던 항아리에 매실 담아도 될까요? 3 .. 2011/06/29 465
654999 우리 추억들좀 같이 공유해요-비내리는 밤에 8 2011/06/29 547
654998 27일 방송된 오사카 한류콘서트 동방신기 15 오사카콘 2011/06/29 1,399
654997 방사능) 일상생활 대처법 다시 한번 알려드려요. 6 연두 2011/06/29 1,345
654996 한옥에 사시는 분 글이 없어졌나요? 8 한옥 2011/06/29 1,414
654995 베비** 블로그에서의 공구의 추억 8 자유 2011/06/29 3,363
654994 방사능에 대한 관심은 이 곳만 있나요? 이제 잊혀진 건지요. 7 이곳만 2011/06/29 741
654993 아이팟 클래식 흰색 있나요? 1 흰색을 찾아.. 2011/06/29 207
654992 이태리 더몰 가보신 분 계세요? 8 혹시 2011/06/29 733
654991 내일 비가 온다는데 어떤 드라마를 다시보기 할까요? 5 간만에여유 2011/06/29 7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