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 강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정보와 질문의 장
오메가3
혹시 어떤 제품이 좋은가 해서요.
GNC에서 나온걸 먹고는 있는데요, 혹여 추천해 주고 싶은 것 있으신가요?

- [살림물음표] 하단 싱크대문의~~ 1 2012-08-28
- [살림돋보기] 쿠쿠 2 2011-09-29
- [살림물음표] 에코스톤냄비 2 2011-09-29
- [요리물음표] 고추장아찌 질문~~ 2 2010-10-11
1. 도라에몽
'08.7.2 1:06 AM지엔씨는 미국에서도 가격대가 조금 있는 바이타민제고.. 많은 사람들의 인지도가 있죠...
미국에서 가격대 있다고 좋은건 아니지만.. 그래도 미국이나 캐나다 이쪽은 비타민 천국이잖아요...
특별히 좋은걸 모르는 상황이시라면 그냥 쥐엔씨 먹이겠는데요?
전 남편 당뇨약 한달에 한번 처방받으면서 내과에서 한달치분의 오메가쓰리를 줘요..
오메가3 정말 필요한 성분이죠..
두뇌영양공급해주고.. 등등... 왠만한 한약 지어먹이는것보다 이런 비타민제 챙겨주는게 훨씬 좋은것같아요..2. 패리스
'08.7.2 1:18 AM오메가3는 중금속때문에 정말 순도가 높은 걸로 드셔야 해요..
현재 가장 좋다는 것 중에 하나가 노르딕 내츄럴사에서 나오는 것들로 알고 있어요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고 순도가 높은 걸로 유명합니다..3. 아들둘
'08.7.3 5:49 PM님들 의견 수렴하겠습니다.항상 감사^^
4. docque
'08.7.3 5:51 PM - 삭제된댓글중금속함량이 낮게 정제를 많이한 것이 좋답니다. 가격은 좀 비싸지만....
A&C제품을 추천합니다. 유일하게 냉장유통됩니다.
(Pharmaceutical grade 라고 하네요)5. 소망
'08.7.3 7:18 PM1. 뇌는 작지만 에너지 소모는 최대
사람의 뇌는 무게가 약 1.4kg으로 체중의 2.2%에 불과하나 하루 에너지 소모량의 20%를 소모하고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의 15%가 뇌로 공급될 정도로 물질대사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신체기관입니다.
우리의 두뇌는 1000억개 이상의 신경세포로 이루어져 있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는 다른 신체기관의 5배 정도로 매우 높습니다. 뇌의 깊은 도량과 많은 표면 주름은 이렇게 높은 에너지 소모량 때문에 생겨나는 고열을 발산하기 위한 필수불가결한 구조라고 합니다.
이런 뇌에 좋은 음식 하면 제일먼저 "호두"를 떠올립니다. 호두의 모양이 뇌를 닮아서라고들 우스게소리처럼 말하지만 근거 없는 속설만은 아닙니다. 지금부터 건강한 뇌를 만들어주는 방법에 대해서 얘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 브레인 푸드, 콩
단백질은 뇌 신경세포의 틀을 만들어 줍니다. 단백질이 부족해지면 체력이 약해지고 의욕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뇌 세포도 약해지게 됩니다. 특히 인지질과 오메가 - 3 지방산인 DHA가 풍부하게 함유된 콩은 브레인 푸드(brain food)라는 그 별명이 무색하지 않을 정도로 두뇌 건강에 좋은 역할을 해주므로 자녀들의 두뇌발달을 생각한다면 두뇌 건강을 위한 단백질 급원으로 콩을 고려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3. 오메가 - 3 지방산은 항산화영양소와 함께
뇌세포의 주요 구성 성분인 오메가 - 3 지방산은 산화되기가 쉬운 구조로 항산화 영양소의 보호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아스타크잔틴과 같은 항산화 영양소를 오메가 - 3 지방산과 함께 섭취해주면 지방산의 산화를 예방해 줄 뿐만 아니라 산소 소모량이 많은 뇌에서 발생된 다량의 유해산소를 중화해주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4. 뇌세포를 유연하게 해주는 질 좋은 지방들
또한 뇌세포는 두 겹의 지방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기다란 축색돌기는 지방으로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뇌에는 질 좋은 지방이 필요합니다. 뇌세포를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지방은 등푸른 생선에 존재하는 오메가 - 3 지방산과 견과류에 존재하는 불포화지방산입니다. 호두가 뇌에 좋다는 것은 모양이 뇌를 닮아서가 아니라 호두에 들어있는 불포화지방산이 뇌세포막을 부드럽게 해주어 정보를 잘 주고 받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오메가 - 3 지방산도 뇌혈류를 증가시켜 뇌세포에 영양분과 산소가 더 잘 전달되도록 도와주고 뇌신경세포의 막을 유지 강화 시켜주기 때문에 두죄기능 항상에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최근 미국 건강관련 학술, 사회 전문가 집단 150여개 단체로 구성된 "미국의 건강한 엄마와 아이들 연합NHMHBC)"이 최근 자녀들의 두뇌발달을 위해서 임산부나 산모는 주당 최소 340g(중 크기 생선 약 3마리에 해당)의 해산물을 섭취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도 이에 기반한 것입니다. 그러나 지난 2004년 FDA와 연방환경청이 임산부나 산모는 수은 중독을 피하기 위해 340g 이하의 해산물을 섭취하라고 권고한 사항을 고려한다면 두뇌 건강을 위해 무작정 등푸른생선만 매일 섭취하는 것은 위험한 수도 있으니 보충제를 통한 섭취가 권장됩니다.
5. 뼈를 위한 칼슘?? NO, 뇌를 위한 칼슘!!
칼슘은 뼈 건강을 위해서도 주요한 영양소이지만 집중력과 기억력 향상을 위해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뇌의 칼슘 이온 농도가 적절해야 세포와 세포 사이의 메시지 전달이 원활하고 신경전달물질이 재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뼈를 위해서만 먹었던 칼슘 이제는 뇌기능을 위해서도 꼭 챙겨 먹어야 하는 영양소입니다.
6. 뇌가 싫어하는 음식!!
- 인스턴트 식품 : 다량의 트랜스 지방산이 뇌세포의 신호 작용을
교란한다.
- 단음식 : 단음식을 먹으면 집중이 잘된다고? NO, 과도한 당실 섭
취는 신경과민을 초래한다.
- 커피 : 일시적인 각성 효과는 있으나, 뇌신경을 손상시킨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추천 |
---|---|---|---|---|---|
2669 | 매실청 1 | 즐건하루 | 2008.07.04 | 1,311 | 63 |
2668 | 웃음건강 | 즐건하루 | 2008.07.04 | 1,182 | 119 |
2667 | 왼쪽귀에서만 이명이 ...넘 괴롭슴 3 | 두맘이 | 2008.07.04 | 2,540 | 46 |
2666 |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원인 2 | 우리님 | 2008.07.03 | 1,593 | 34 |
2665 | 수박 많이 먹고 농촌도 살리고 부부금실도 좋아지자 2 | 안흥찐빵 | 2008.07.03 | 1,292 | 49 |
2664 | 고혈압 문의 드립니다. 4 | 하얀나비 | 2008.07.03 | 1,840 | 42 |
2663 | 경락을 알지 못해도 누구나 기혈순환을 시켜주는 방법 2 | 우리님 | 2008.07.03 | 2,526 | 89 |
2662 | 작년 한해 익사자 757명 | 짱구맘 | 2008.07.03 | 1,220 | 144 |
2661 | 몸에 좋지만 잘 안먹는 것들 2 | 짱구맘 | 2008.07.03 | 1,654 | 56 |
2660 | 치과 고민입니다. 1 | 이기영 | 2008.07.03 | 1,262 | 68 |
2659 | 4주간 우리딸과 고생한 이야기~~~ 18 | 들녘의바람 | 2008.07.03 | 4,758 | 94 |
2658 | 기지개를 펴다 1 | 우리님 | 2008.07.03 | 1,432 | 91 |
2657 | 이온수기 | 안경 | 2008.07.02 | 907 | 49 |
2656 | 수면내시경을 했는데 임신 같아요 ㅠ.ㅜ 1 | 보사노바 | 2008.07.02 | 5,080 | 44 |
2655 | 10년째 아토피인지 아닌지 모를 피부질환을 가지고 있는 여자입니다 2 | 우리님 | 2008.07.02 | 2,297 | 62 |
2654 | 왼쪽 갈비뼈가 찌릿찌릿?해요. 1 | 상구맘 | 2008.07.01 | 2,397 | 38 |
2653 | 익상편이라는데 2 | 램프 | 2008.07.01 | 897 | 40 |
2652 | 청결교육과 예방접종 | 우리님 | 2008.07.01 | 1,199 | 79 |
2651 | 오메가3 5 | 아들둘 | 2008.07.01 | 2,499 | 112 |
2650 | 제일병원 여의사 추천 할만한 분 계시나요? 2 | 신선할걸 | 2008.07.01 | 1,715 | 31 |
2649 | 백내장 수술 잘 하는 곳 추천 부탁드려요... 3 | 쭈니맘 | 2008.07.01 | 3,678 | 46 |
2648 | 수지침다이어트 3 | 오솔길 | 2008.07.01 | 2,307 | 45 |
2647 | 미워하지마라 ! 미워하면 나만 해롭다. 4 | 우리님 | 2008.06.30 | 1,815 | 56 |
2646 | 33개월 아이도 안과 진료 받을수 있을까요. 3 | 김병기 | 2008.06.30 | 1,093 | 67 |
2645 | 어지럼증에 대해서 1 | 쏘가리 | 2008.06.30 | 1,421 | 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