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교육
내 아이를 더 밝고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정보교환과 질문의 장
젖만지는 8살아들 & 너무 규칙이 많은(?) 우리집
이제 돌이 다가오는 동생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외아들 시절에도 유난히 엄마젖 만지기를 좋아했습니다.
근데 저는 사실 싫고 아파요.
제가 컨디션이 좋으면 가만 있기도 하지만 보통은 "이제 많이 컸는데~, 엄마 아프다." 이야기 하구요.
아이는 많이 서운해 합니다.
그리고 무엇인가 빨고 싶어합니다.
다행히 손가락은 안빨지만... 동생 장난감, 때론 자기 팔뚝...을 빱니다.
2. 저희 집은 규칙이 많은 편입니다.
제가 성격이 좀 여린 편이고, 잘못하면... 이리저리 아이에게 휘둘릴 수도 있기에
규칙을 정해놓고, 주로 그 규칙에 근거하여 훈육을 합니다.
규칙은 제가 주로 제안을 하고 아이와 타협을 하여 조정합니다.
정해진 규칙은 일반적으로 죽 가지만
가끔씩 저나 남편, 아이의 제안으로 변동되기도 합니다.
즉, 규칙을 정하거나 변동시키는 과정은..
제 생각엔 어느정도 개방적이라 생각이 듭니다.
1. 밥 남기거나 안먹으면 간식없음.
2. 죽어도 먹기 싫은 반찬 세가지 정하라고 해놓고 (제 아들이 정한건 파프리카, 잣죽, 하나는 미정)
그 나머지 반찬은 꼭 세번 이상 먹기
아마 이런 규칙 없으면 늘 맨밥에 물말아서 밥먹을거에요..
좋아하는 반찬이 거의 없어요...
- 근데 아이가 어떤 반찬 안먹으면.... 규칙이라고 협박하면서 끝까지 먹입니다....
써놓고 보니 좀 무서운 규칙같기도 하네요...
3. 스티커와 보상에 관한 규칙 몇가지..
4. 숙제와 공부 및 텔레비전에 관한 규칙
5. 준비물 사는 용도 외에는 문방구에 일주일에 한번 이상 안들르기
맘같아서는 일주일에 한번도 많은 것 같아요. 괜히 문방구 들러서 두리번두리번 구경하고 싶어해요.
6. 기타... 용돈과 저금,책 사는 것에 대한 규칙 몇가지.
그 외에 지금 갑자기 생각이 안나는 규칙이 더 있을지 모르겠어요..
어느날 아이가 그러네요.
"엄마, 우리집은 규칙이 너무 많아요. 이제 규칙 좀 그만 만들어요~" 합니다.
웃으면서.. 그러나 진심이 섞인 듯 말했으니.. 농담반, 진담 반 인것 같았어요.
정말.... 너무 규칙이 많은건가요~?
어떻게 보면 어느 집에나 있을법한... 생활의 틀인데
저는 이렇게 굳이 "이게 우리집의 규칙이야~, "
"우리 이러이러한 규칙 정하자~"
라고 합니다.
근데 실은 저도 긴가민가 합니다.
아이가 커 가면서 규칙의 헛점들이 드러나기도 하거든요.
또 모든 상황에선 예외적인 상황들이 생기기 마련인데
그럴때면 딜레마에 빠지게 된답니다.
예를 들면...
숙제를 안하면 어디 놀러갈 수 없다.라는 규칙이 있지만
임신해서 입덧하는 이모가 온 날은
이모를 위해 멀리 있는 식당을 따라가 주거든요.
큰 아이의 의지와 관계없이요...
일관성있는 훈육 차원에서 보면 나쁘지만은 않지만
규칙 규칙... 때론 저도 헷갈리네요.
- [육아&교육] 초등5학년 전집구입관련.. 3 2013-01-17
- [육아&교육] 4학년;손톱뜯기, 피날.. 6 2013-01-02
- [요리물음표] 무채있는 오징어젓 만드.. 3 2010-03-01
- [요리물음표] 명란젓-쪄서 먹어도 될.. 3 2009-11-12
1. 동경미
'09.10.24 2:35 PM규칙이 너무 많다고 항의(?)하는 큰 아드님의 말에 미소가 지어지네요. 너무 귀여운 나이네요^^
아마도 큰 아이라서 더 그렇게 엄격하실 겁니다.
엄마들이 큰 아이 때에는 많은 기대 속에서 규칙을 많이 만들지요.
저도 예외가 아니어서 저희 집 냉장고에도 종이 한 장에 자리가 모자라게 규칙이 있었는데, 날이 갈수록 점점 항목이 늘어나서 다들 힘들어 했지요^^
그런데 항목이 너무 많으면 아이들이 동기부여가 안되는 것같아요.
간단한 기본적인 규칙을 몇 개 만드시고 그 항목들은 절대로 예외가 없게 무슨 일이 생겨도 꼭 지키도록 하시면 효과가 큽니다.
예를 들어 숙제를 안하면 어디를 놀러갈 수가 없다는 규칙이 있다면, 이모가 왔다 해도 꼭 숙제를 마치고 나가도록 유도를 한다거나, 아니면 그 날은 나가게 하고 대신에 다른 날에 다른 벌칙을하도록 만드세요. 집안 일을 돕게 만든다거나 노는 시간을 줄인다거나...
그리고 벌칙보다 더 중요한 것은 포상이에요.
벌칙으로 한 가지 머릇을 고칠 수 있다면 포상으로는 열 가지를 고칠 수 있답니다.
아이가 엄마 젖을 자꾸 만지려 하거나 하는 것은 애착관계가 조금 부족한 것은 아니었나 하는 생각도 드네요. 그런데 애착관계가 부족하다고 해서 엄마가 사랑해주지 않았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기질에 따라 사랑이 더 필요한 아이가 있고 덜 필요한 아이들이 있고든요. 아드님이 아마도 여리고 감성이 풍부한 아이라면 스킨쉽이나 공감등을 통해서 애착관계를 단단하게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들 기질 파악하기 어렵기도 하지만 그래도 알아두시면 큰 도움이 될 거에요. 여러 자료들이 많은 세상이니 잘 찾아보시고 응용하시면 엄마와 아이의 관계가 더욱 돈독해질 거에요.2. 자작나무
'09.10.25 9:07 PM2번은 꼭 지키고...
나머지는 규칙의 느낌보다는 습관이 되도록...
말이 쉽지... 저런 게 정말 교육인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