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요리물음표

요리하면서 생기는 여러가지 궁금증, 여기서 해결하세요

나물 데치기의 모든 것. 질문..

| 조회수 : 3,013 | 추천수 : 0
작성일 : 2005-03-24 10:47:33

어제 봄동을 데쳐서 된장넣고 무쳤습니다.

그런데 봄동을 데친 후 꼭 짜서 무치는건 알겠는데
데치고 나서 찬물에 헹군 후 짜는건가요?
그냥 뜨거운 김 날리고 짜면 되나요?
아님 대세에 지장없는 부분인가요? --;

어찌할바를 몰라서 슬쩍 찬물에 담궜다가 뜨거운기만 가시게 한 후 짰는데
각종 나물류 시금치나 콩나물, 숙주, 도라지, 등등등
데쳐서 무치는 나물류..

헹구면 왠지 맛이 더 없어지는 듯 싶고
어떤건 찬물에 헹궈줘야 할 듯 싶고 (초보의 한계.)

어떻게 하는게 맞는지 알려주세요..


* 전화로 엄마나 할머니한테 물어보려다
  저처럼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지않을까 싶어 질문 드립니다.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흥임
    '05.3.24 11:44 AM - 삭제된댓글

    크^^
    안행궈주면?
    색이 밉게 변할수도 있고
    알맞게 데친듯해도 잔열로 인해 물커덩 해지기도 하구요^^

    음식이 빨리 맛이 변하는걸 막기 위해 헹구지 않고 찬바람으로 식히는 방법을 쓰기도 합니다^^

  • 2. 이영희
    '05.3.24 11:47 AM

    ㅎㅎㅎ....
    푸른색 띠는 나물은 소금을 살짝 넣은뒤 데쳐서 바로 찬물로 씻어요.
    이유는 파란색을 살리는것도 되고(외국쉐퍼들은 얼음물에 담그죠),,
    시금치 같은것은 수산성분을 삶으면서 빠지고 물로 행구죠.
    콩나물은 미리 마늘과 파를 볼에 넣은뒤 데쳐서 바로 그위에 올리시면 양념이 살짝 숨이 죽거든요.
    그래야 양념과 어우러지는 맛을 내고요.
    도라지는 꼭 소금으로 절였다가 (숨이 절반 절을정도...너무 폭 절이면 나물 맛이 안나요.)
    바락바락 주물러서 쓴기를 빼신다음 꼭 물로 행구어서 무치세요.
    쓴기를 뺐으니 행구셔야 해요.
    모르시면 대부분의 푸른잎 채소는 데쳐서 찬물에 헹구워야 하고,,
    다른색은 바로 무치는 경우가 많아요.
    사실 나물을 마스터하면 요리가 두려워지지않는 좀 어려운겆ㅛ.
    또 중요한건 간 하는법...
    나물을 잘못하면 짜고,아니면 싱겁고,,
    시간이 지나면 간이 내리는것이 있어서 바로 만들때 짠거 같았는데 시간이 지난뒤 먹으면 싱거운 경우,,
    데쳐서 무치는것 중에 배추나 그런 억센 종류는 간을 좀더 먹지요.
    의외로 시금치는 시간이 지나면 싱거워지는 대표 나물 이구요.
    만약 나물이 싱겁게 되면 비빔밥으로 슬쩍 메뉴를 바꾸세요.
    비빔밥은 싱거워야 하니까~~~
    애궁...다 썼나???

  • 3. 빨강머리앤
    '05.3.24 2:28 PM

    아..그렇군요..
    감사합니다..^^;

    오늘의 도전 메뉴는 쑥국.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추천
14020 생신상 메뉴좀 봐주시구요,조언좀 부탁드려요^^꼭이요~ 5 딸둘아들둘 2005.03.24 1,039 1
14019 그린페퍼 파는곳 아시는분 계신가요? 2 달콤과매콤사이 2005.03.24 1,069 0
14018 드뎌 집들이를 합니다. 3 쿠리스마스 2005.03.24 896 0
14017 소렌토에서 파는 치킨 샐러드 말이에요 별이짱 2005.03.24 673 9
14016 수레 옐로 커리 페이스트와 레드커리 페이스트 2 2005.03.24 824 0
14015 나물 데치기의 모든 것. 질문.. 3 빨강머리앤 2005.03.24 3,013 0
14014 모르는게 많아서요 2 임이남 2005.03.24 549 0
14013 코스트코(양평)에 슬라이서 훈제연어 있나요? 1 white 2005.03.24 1,727 0
14012 토마토모짜렐라샐러드 만들때요... 5 이뿌지오~ 2005.03.24 1,205 0
14011 드롱기에 통닭할때요, 4 vero 2005.03.24 906 33
14010 소화불량인 신랑 ->이렇게 해 보세요 1 일지매 2005.03.24 1,102 6
14009 곰국에 넣을 만한 고기 뭐가 좋을까요? 2 정화사랑 2005.03.23 1,604 0
14008 닭똥집 냄새 제거법 알고 싶은데요... 6 ♡레몬트리♡ 2005.03.23 6,279 0
14007 케잌 만들때 시트용 빵은 어디서... 4 민들레 2005.03.23 2,711 11
14006 올리브 오일이 원래 쓴맛인가요? 10 솔모롱이 2005.03.23 9,943 1
14005 된장을 담그고 싶은데요.... 노마 2005.03.23 536 5
14004 미건오징어 다리요^^ 1 초록달 2005.03.23 712 9
14003 야채볶음밥할때요... 1 제인 2005.03.23 619 1
14002 호박즙 유효기간이 얼마나 되나요? 김진희 2005.03.23 2,435 7
14001 육게장요 3 nana 2005.03.23 1,699 1
14000 스파게티와 어울리는 요리 4 떡대의유혹 2005.03.23 12,134 0
13999 (급) 김자반 3 딸기공주 2005.03.23 871 7
13998 홍합으로 국물내기...좀 알려주세요 1 김은정 2005.03.23 725 22
13997 튀김닭하고 남은 식용유(기름) 어떻게 정리하면 좋을까나요..? 4 이뿌지오~ 2005.03.23 918 1
13996 콩자반에서 메주콩 냄새가? 2 가리가리 2005.03.23 1,238 1